작심삼일
(作心三日)이라는 말이 있습니
다.
'결심한지 삼일도 안돼
포기한다' 는 뜻입니다.
작심삼일은 인조(仁祖)때
유학자인 유몽인(柳夢寅)
선생이 지은 어우야담
(於于野談)에 실려있는 조선공
사삼일
(朝鮮公事三日)'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서애 유성룡
(西涯 柳成龍)선생이 도체살사
(都體察使)로 있을 때의 일입니
다.
각 고을에 발송할 공문이 있어서
역리(驛吏)에게 주었지만
공문을 보낸 후 사흘 뒤에
그 공문을 다시 고칠 필요가
있어서 회수시켰더니
그 역리는 공문을 발송하지도
않고 있다가 고스란히 그대로
가지고 왔습니다.
이에 유성룡 선생이 화를 내며
"너는 어찌 사흘이 지나도록 공문
을 발송하지 않았느냐?" 라고 꾸
짖자
역리가 대답하기를 "속담에 '조선
공사삼일'이란 말이 있어
소인의 소견으로 사흘 후에 다시
바뀌지 않을까 생각되어
보내지 않고 기다리고 있었습니
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이말을 들은 유성룡은
"가히 세상을 깨우칠 말이다.
나의 잘못이다."라며 공문을
고친 뒤 반포했다고 합니다.
타고난 성격이 우유부단 하여
결심이 작심삼일(作心三日)이
되는 것이 다반사 였기 때문입니
다.
대신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을
생활신조로 삼고 있습니다.
거창한 결심보다는 날마다
새롭게 또 새롭게 하루하루를 성
실하게 살아가다 보면 오히려 생
각지도 않던 큰 결과를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일입니
다.
※일신우일신
(日新又日新)이란 말은
고대 중국의 탕왕(湯王)이 세수
대아에 '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구일신 일일신 우일신)이라고
새겨놓고 세수할 때마다
이 글귀를 읽으면서
'어제와 같은 오늘이 돼서는 안된
다'고 다짐한 데에서 유래되었다
고 합니다.
#좋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