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황 및 전망 :국내 자동차 시장은 이미 성숙기에 도달한 반면, 차량용 블랙박스의 보급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하지만 차량의 보급이 갈수록 증가하면서 자동차의 안전성과 편의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하면서 관련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산업조사 전문기관인 데이코산업연구소 발표자료에 따르면, 매년 4.7%의 증가세를 보이며 2009년 기준 차량용 블랙박스 내수시장은 전년 대비 67% 성장하여 약 11만대가 판매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올해는 사업용 차량의 디지털운행기록계 장착 의무화, 보험료 할인혜택, 상용차 블랙박스 의무화 추진, 각 지자체들의 블랙박스 장착에 대한 지원 및 조례 발의 등으로 인하여 시장은 보다 크게 확대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또한 이런 시장 성장세가 뚜렷해지면서 제조사와 제품수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업계의 선두기업들은 2009년 고해상도 HD급으로 사고영상을 저장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출시하고 있으며, 선명한 화질로 사고의 상황을 보다 상세히 판단할 수 있어 운송업체와 더불어 개인 운전자들에게도 보다 빠르게 확산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2) 차량용블랙박스의 종류 : 차량용 블랙박스는 TAPE의 재질별로 Solid State형(반도체 기억소자) 및 일반 TAPE형(자기테이프), METAL TAPE형(금속테이프) 등으로 구분한다.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주행 중 발생하는 사고에 대응하는 주행 감시용 블랙박스와 주차시 발생하는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상황 감시용 블랙박스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카메라의 수에 따라 1채널에서 4채널까지 다양한 종류로 나눠지는데 단순 주행 중 발생하는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1채널 블랙박스가 있으며, 카메라가 두 개 장착된 2채널 블랙박스는 주차 시 주변 상황을 녹화하는 데 사용된다. 이밖에 최근에는 내비게이션과 하이패스의 기능이 접목된 일체형 블랙박스도 출시되었다.
3) 관련기술 ① 사고검지기술 : 사고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로, 일반적으로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 에어백을 위한 전방 충돌센서, 측면에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은 측면 충돌 센서를 이용하며 사고를 검지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EDR의 전방 및 측방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감지방식이 있다.
② 데이터분석기술 : 사고 당시의 상황을 차량 내 센서와 기록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 사후 해석 또한 차량의 가속도, 속도, 위치 정보, 주행 방향 등 차량 동적 거동에 대한 데이터와 조향각도, 전장비 구동여부, 제동여부, 가속 여부 등의 운전자 조작관련데이터를 제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한 CB구축이 가능하다.
③ 정보운용기술 : 사고 발생시 GPS수신을 통해 위치정보와 사고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해 교통 혼잡 완화의 역할은 물론, 운전자 및 차량관리, 사고 재현 시뮬레이션 구축, 충돌 속도 변화, 운전자 조작 및 차량 거동 등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함.
4) 차량용블랙박스시장의 파급효과 차량용 블랙박스 산업은 기존 텔레매틱스 사업과 연계해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차량의 내•외부 영상을 담는 카메라 산업과 음향을 감지하는 마이크, 속도, 조향각, 가속도 등을 감지할 센서, 차량의 위치를 알 수 있는 CPU와 메모리 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정보를 전송해주는 무선 통신 산업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