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일반가정에서 에너지 소비량에 따라 1인이 1년 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총 배출량과,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흡수를 위하여 심어야 할 나무그루 수를 계산하여주는 탄소나무 계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립산림과학원과 산림청 홈페이지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그러나 탄소나무 계산기 프로그램은 입력항목이 매우 간단하고, 사용자의 프로그램 운영 방식이 고정되어 있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견되었습니다. 이에 2006년 11월, 월별 에너지 이용에 따른 배출량 및 식재본수 비교 및 에너지 절약에 따른 효과분석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개선된 교육용 탄소나무 계산기 프로그램을 2006년 11월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프로그램 운영방법, 지구온난화와 산림,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 등과 관련된 내용들을 총 망라하여 교육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연구보고서(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6-14, 지구온난화와 산림 그리고 탄소나무 계산기)를 발간하였습니다. |
|
가. 월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식재 요구 본수 계산 사용자 가정에서의 월별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가정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그에 따른 식재본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
나. 월별/계절별 에너지 이용에 따른 효과 분석 사용자는 여름과 겨울의 월별 에너지 사용량을 입력 한 후 계절별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식재요구 본 수를 비교하여 볼 수 있습니다. |
|
다. 연년 동일 월의 에너지 사용량 비교 작년과 올해의 동일 계절(월)의 에너지 사용량을 입력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비교하여 볼 수 있음. 예를 들어 작년 여름은 열대야 지속기간도 올해보다 짧았고 평균 기온도 올해 여름에 비하여 낮았다면, 작년 여름에 비하여 올해 여름의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였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올해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더 많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음. |
|
라.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비교 가정에서 여러 에너지원을 동일 금액만큼 사용할 경우,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출하여 가장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많은 에너지원을 찾아볼 수 있음. 즉, 전기, 난방유, 도시가스, 지역난방, LPG 등의 사용량을 2만원으로 고정하여 입력하신 후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계산하여 보면 도시가스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