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해양 방사능 모니터링 강화…우리 해역 밖까지 대폭 확대”
태평양도서국 인근·일본 인근 북서태평양 공해 18개 정점 추가 조사
방류 후 실제 데이터 확보, 삼중수소 확산 시뮬레이션 추가 실시
국무1차장 “국민 안전과 건강 지킬 이중, 삼중의 확인 점검·절차 마련”
정부는 오는 24일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개시되는 것과 관련, 해양 방사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해양 확산 시뮬레이션을 추가로 실시하기로 했다.
국무조정실 박구연 국무1차장은 이날 오후 열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이 같은 대응 계획을 설명했다.
박 차장은 “우리 정부는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초점을 맞춰 투명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되 어업인과 수산업계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먼저, 일본 측이 오염수를 계획대로 처리해 방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관련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점검·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일본 측이 공개할 실시간 정보 ▲방출 전 배출기준 만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정보 ▲이상 상황 발생 여부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등을 확인하게 된다.
일본 측의 실시간 공개 정보 종류는 방사선감시기(이송설비, 상류수조, 5호기 취수구), 오염수 유량, 해수 유량, 희석 후 삼중수소 농도이며, 배출기준 만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K4 탱크 69개 핵종 측정값, 상류수조 측정 삼중수소 농도값 등이다.
모니터링 결과 및 특이사항 발생 현황은 국민에게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방류 후 모니터링을 통해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 확산 시뮬레이션을 추가 실시할 계획이다.
추가 시뮬레이션은 실제 데이터에 기반해 보다 높은 수준의 현실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부 설명이다.
앞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도쿄전력 방류계획을 기반으로 수행해 지난 2월 발표한 ‘삼중수소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 방류된 오염수는 4∼5년 후부터 우리 관할 해역에 유입돼 10년 후 국내 해역 평균 농도의 10만분의 1 수준일 것으로 예측된 바 있다.
아울러 정부는 해양 방사능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현재도 우리 해역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7월 말부터 기존 92개 정점에 108개를 추가해 총 200개 정점을 운영 중이다.
정부는 이에 더해 해양 방사능 모니터링의 범위를 우리 해역 밖으로 대폭 넓혀, 방류 초기에 오염수가 해양에 미치는 영향을 선제적으로 조사해 일본이 방류계획 준수하는지를 능동적으로 확인·점검할 계획이다.
추가 조사가 이루어질 해역은 태평양도서국 인근 해역과 일본 인근 북서태평양 공해 영역이다.
태평양도서국 인근 해역에서는 우리 해역으로 직접 유입되는 쿠로시오해류와 연결된 북적도해류의 방사능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10개 정점에서 내년부터 조사를 시작한다.
정점의 구체적인 위치와 조사시기는 태평양도서국과 협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다.
또한 해양 방사능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2025년까지 태평양도서국과 조사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해양 방사능 공동연구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일본 인근 공해상 조사는 해류 흐름을 고려해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약 500~1600km 떨어진 2개 해역 8개 정점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
공해상 조사는 지난 4월 시범조사 이후 6월부터 매월 실시하고 있으며, 기상 여건상 출항이 어려운 겨울철(11~3월)을 제외하고는 조사를 계속 이어 나갈 계획이다.
박 차장은 “정부는 오염수 방류가 우리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이중, 삼중의 확인과 점검 절차를 마련해 뒀고, 실제로 방류가 이뤄졌을 때 이러한 절차들이 빈틈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긴장의 끈을 놓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방류 개시 이후에 정부가 알게 되는 정보는 브리핑 등을 통해 국민께 투명하게 전달하고, 일본 측에 개선을 요구할 사항이 있다면 신속하게 조치할 것”이라고 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