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1557BD594DD7D6DA17)
헤고,괴목, 관솔에 착생시킨 석곡 풍란들
덴드로비움(석곡)이란?
덴드로비움은 오래 전부터 원예가들에 의해 애호되고 재배 보급되어 왔으나
우리나라에는 근래 급격하게 새로운 품종들이 보급되어 노빌, 덴파레,둥과는
재배환경이 전혀 다른 품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덴드로비움의 어원은 그리스 어의 "Dendro"와 "Bious"에서 나온 말로
"나무"와 "살다"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즉 Dendrobium이라는 말은 대부분의 "덴드로비움이 나무 위에 붙어서
살아가는 식물"이라는 뜻입니다.
현재 발견된 덴드로비움의 종류는 난과 식물중 가장 많은
2000여 종이나 되는 많은 종들이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덴드로비움은 우리나라 남쪽지방를 최북단으로 하여
일본 중남부, 중국, 인도, 히말라야, 필리핀, 오스트렐리아 동쪽, 뉴질랜드등에 분포하며,
이중 뉴기니 지방에 150종 이상의 많은 종이 산다고 합니다.
이렇게 넓은 지역에 살므로 식물체의 특성, 형태, 자생지의 기후 등에 따라
재배 방법도 무척 상이합니다.
특성과 생태에 의한 분류.
흔히 재배하는 덴드로비움은 외관이 대나무와 흡사한 가늘고 긴 줄기를 가지며
대부분 착생종으로매년 전년에 자란 줄기에서 새로운 줄기가 나와 자라고
꽃을 피우는 형태를 가집니다.
잎은 대부분 유선형의 대나무 잎과 같은 모양을 가지며
1~2년에 잎이 떨어지는 종류를 낙엽성이라고 하며,
3 ~ 4년동안 잎이 떨어지지않고 붙어 있는 종류를 상록성이라고 칭합니다.
1. 꽃줄기(花莖)에 의한 분류.
ㄱ) 화경이 직립하는 종류.
ㄴ) 화경이 휘며 10개 전후의 꽃이 달리는 종류.
ㄷ) 화경이 휘며 많은 작은 꽃이 달려 늘어지는 종류.
ㄹ) 화경이 없고 벌브의 각 마디에 꽃이 붙는 종류.
2. 벌브의 형태에 의한 분류.
ㄱ) 많은 마디를 가지며 직립성인 종류.
ㄴ) 벌브가 지하경만 가지고 있는 종류.
ㄷ) 많은 마디를 가진 지하경과 한 두개의 직립성벌브를 가진 종류.
ㄹ) 지하경은 없고 새로운 벌브가 오래된 벌브의 기부에서 나오는 종류.
3. 재배 특성에 의한 분류.
ㄱ) 제 1구룹. (노빌 류)
ㄴ) 제 2구룹. (anosmum류)
ㄷ) 제 3구룹. (chrysotoxum류)
ㄹ) 제 4구룹. (Formidible류)
ㅁ) 제 5구룹. (gouldii류)
ㅂ) 제 6구룹. (덴파레류)
ㅅ) 기타구룹
![](https://t1.daumcdn.net/cfile/blog/1115F74C4DD6AD1303)
![](https://t1.daumcdn.net/cfile/blog/11173B484DD6ACB60E)
관솔에 착생시킨 하트마니(호주풍란)
![](https://t1.daumcdn.net/cfile/blog/1416014C4DD6AD1303)
덴드로비움 러브로드로 꽃달림이 풍성함
(길거리 좌판에서 7000원에 구입한 석곡)
![](https://t1.daumcdn.net/cfile/cafe/16107C3C4DD80DA810)
덴드로비움 화이어버드로 꽃달림이 풍성함
(길거리 좌판에서 7000원에 구입한 석곡)
![](https://t1.daumcdn.net/cfile/blog/1314A34C4DD6AD1404)
덴. 화이어버드는 시간이 지날수록 꽃색깔이 노랑색에서 주황색을 진해짐
![](https://t1.daumcdn.net/cfile/blog/2017AE484DD6ACB80E)
![](https://t1.daumcdn.net/cfile/blog/1916054C4DD6AD1403)
헤고 홈에 심고 앞에 착생시킨 목부작
![](https://t1.daumcdn.net/cfile/blog/141683484DD6ACB90F)
소황화석곡과 취석곡의 교배종(덴드로비움 왕펑)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15E4A4DD6ACBA08)
디차에오이데스와 옵투시세파룸의 교배종
![](https://t1.daumcdn.net/cfile/blog/201824484DD6ACB90E)
![](https://t1.daumcdn.net/cfile/blog/1751654A4DD6ACBA09)
괴목에 착생시킨 덴드로비움 다운마리와 후홍석곡 교배종
오늘의 팁
화아분화 시기와 꽃이 피는 시기를 종류별로 분류
1. 춘란
은 장마가 끝난 후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사이에 꽃눈이 형성되어 빠르면 8월 하순,
좀 늦으면 9월 하순부터 꽃대가 화장토 위로 올라와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 2월 ~ 4월 사이에 핀다.
2. 한란
은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에 꽃눈이 형성되어 9월 하순에서10월 중순에 꽃대가 나와
11월 중순을 전후해서 핀다.
3. 광엽혜란(보세란)
은 장마 후 7월 중순부터 8월 초순에 꽃눈이 형성되어 11월 하순 경에 꽃대가 나와 1월에 핀다.
4. 하란(옥화란계, 건란계)
은 4월 초순부터 하순 사이에 꽃눈이 형성되어 6월부터 7월 사이에 꽃대가 올라와
꽃대가 오르기 시작한 지 2~3주 후부터 피기 시작한다.
5. 사계란
은 4월 초순부터 하순 사이에 꽃눈이 형성되어 7월에서 8월 사이에 꽃대가 오르기 시작하여
2주쯤 후부터 꽃이 피기 시작한다.
6. 추란(소심난계)
은 5월부터 6월 중순 사이에 꽃눈이 형성되어 8월 하순부터 꽃대가 올라 9월에 꽃이 핀다.
7. 부귀란(풍란)
은 10월 초순에서 하순 사이에 꽃눈이 형성되어 그 해 겨울을 넘기고 5월 하순에서
6월 중순부터 꽃대가 오르며 6월 말경부터 꽃이 피고 대엽풍란은 5월에 꽃이 핀다.
8. 장생란(석곡)
은 10월 초순에서 하순에 꽃눈이 맺혀 겨울을 지내고 꽃대는 오르지 않고
그냥 줄기에서 4월에 꽃이 핍니다.
따라서 꽃눈이 맺히는 그 시기를 잘 알아두었다가 그 시기에 시비하는 것을 중단해야 하고
물을 한 일주일 정도 끊어 주고 햇빛을 충분히 쪼여 주면 꽃눈이 형성됩니다.
바로 화아분화라고 하는 거죠.
춘란 ,석곡처럼 가을에 꽃눈이 형성된 난은 겨울철에 저온 5~10도 정도에서
60~80일 정도 동면을 시켜야 꽃눈이 성숙이 되어야 봄에 꽃을 피우게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9503F4A4DD6ACBB07)
![](https://t1.daumcdn.net/cfile/cafe/186F444E4DD7E91E32)
소형헤고 기둥에 심고 착생시킨 덴드로비움 노빌 원종
![](https://t1.daumcdn.net/cfile/cafe/202E94494DD7E94025)
헤고화분에 심은 덴드로비움 노빌 원종
![](https://t1.daumcdn.net/cfile/cafe/17444B344DD80C3B18)
헤고판에 착생시켜 공줄걸이한 흑산도자생석곡
첫댓글 잘![~](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8.gif)
보고 , 많이 배워 갑니다, 감사합니다![~](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8.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8.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와우 ~~일반 솜씨가 아니네유~~~.
예쁜꽃과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