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복력 강력한 생물종으로 도룡뇽과 개구리 산란을 꼽는다. 지렁이 만큼 강력하지는 못할지라도 기후변화에 민감하므로 그만큼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드리는 것입니다.
▦ 도룡뇽 열흘 후에는 부화될 것입니다. 산개구리알 산란무더기 서로 비교해 보세요.
마지막 사진의 산개구리 알 부화가 시작 되었습니다. 아직 산란도 하지 않은곳 많은데 이곳에서는 부화가 시작되다니.....
생태계의 야생생물 서식지 보호문제는 인간의 생존과도 관계가 깊어 장산습지 보호문제를 중요하게 짚어봅니다.
개구리 알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자체로도 다양한 생물들에게 먹이로도 제공됩니다. 양서류의 다양성은 생태계의 건강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개구리의 변태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그들의 생태와 주변환경의 관계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기후변화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 지구온난화는 전 세계의 생태계와 야생생물 서식지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그 중 몇 가지만 살펴보면.
1. 서식지 이동 :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많은 야생생물이 보다 시원한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육상 동물 : 산악 지역의 동물은 더 높은 고도로 이동해 적절한 온도를 찾아야 합니다. 그러나 고도 제한으로 인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해양 생물 : 해양 생물은 따뜻해진 해수 온도로 인해 더 차가운 지역으로 서식지를 옮기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북극곰은 얼음이 녹아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어 먹이를 구하기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2. 생태계 균형의 붕괴 : 야생생물 서식지의 변화는 생태계 균형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
먹이사슬의 변화 : 특정 종의 이동은 먹이사슬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포식자가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면 기존의 생태계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침입종 증가 : 온난화로 인해 더 따뜻한 지역에 적응한 외래종이 기존 생태계를 침범해 토착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3. 생물 다양성 감소 : 지구온난화는 멸종 위기의 종을 더욱 위태롭게 만듭니다. 서식지가 감소하거나 변화하면 생물 다양성은 급격히 줄어듭니다.
산호초 : 해양 온도의 상승으로 산호가 백화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는 산호초 생태계를 의존하는 수많은 생물에게 치명적입니다.
아한대와 극지방 생물: 북극과 남극의 얼음이 녹아 북극곰, 바다표범 등 서식지를 잃는 동물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4. 번식과 생존의 어려움 : 야생생물은 특정한 온도와 기후 조건에서 번식과 생존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이러한 조건이 변화하면서 번식 주기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새들의 번식 시기 : 일부 조류는 기온 상승으로 번식 시기가 변해 먹이 공급 주기와 맞지 않게 되었습니다.
수생 생물 : 산란 장소를 찾기 어려워지는 어류와 담수생물 개체 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첫댓글 도룡뇽알 개구리알 동물들의 봄소식이네요.
멸종위기종의 보호를 위한 장산습지 유지는 인간이 해야 할 가치 있는 일이다.
봄이 줄어지면 양서류 보기 어려워 질수도
있겠네.
어서 빨리 람사르로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