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脫解>尼師今
○<脫解>尼師今立.[一云<吐解>.] 時年六十二. 姓<昔>, 妃<阿孝>夫人. <脫解>本<多婆那國>所生也, 其國在<倭>國東北一千里. 初, 其國王, 娶<女國>王女爲妻, 有娠七年, 乃生大卵. 王曰: “人而生卵, 不祥也, 宜棄之.” 其女不忍, 以帛裹卵幷寶物, 置於櫝中, 浮於海, 任其所往. 初至<金官國>海邊, <金官>人怪之, 不取. 又至<辰韓><阿珍浦>口, 是始祖<赫居世>, 在位三十九年也. 時, 海邊老母, 以繩引繫海岸, 開櫝見之, 有一小兒在焉. 其母取養之. 及壯身, 長九尺, 風神秀朗, 知識過人. 或曰: “此兒不知姓氏, 初櫝來時, 有一鵲飛鳴而隨之, 宜省鵲字, 以<昔>爲氏. 又解鞰櫝而出, 宜名<脫解>.” <脫解>始以漁釣爲業, 供養其母, 未嘗有懈色. 母謂曰: “汝非常人, 骨相殊異, 宜從學, 以立功名.” 於是, 專精學問, 兼知地理. 望<楊山>下<瓠公>宅, 以爲吉地, 設詭計, 以取而居之. 其地後爲<月城>. 至<南解>王五年, 聞其賢, 以其女妻之. 至七年, 登庸爲大輔, 委以政事. <儒理>將死曰: “先王顧命曰: ‘吾死後, 無論子壻, 以年長且賢者, 繼位.’ 是以寡人先立, 今也宜傳其位焉.”
탈해 이사금[토해라고도 한다.]이 왕위에 올랐다. 이 때 나이가 62세였다. 성은 석이며, 왕비는 아효부인이다. 탈해는 본래 다파나국에서 태어났다. 이 나라는 왜국의 동북쪽으로 천 리 밖에 있다. 본래 그 나라 왕은 여국의 왕녀를 아내로 삼았는데, 임신한 지 7년만에 큰 알을 낳았다. 왕은 “사람이 알을 낳았으니 이는 상서로운 일이 아니다. 그것을 버리는 것이 마땅하리라”라고 말하였다. 그 여인이 알을 차마 버리지 못하고 비단으로 알과 보물을 함께 싸서 상자에 넣어 바다에 띄워 보냈다. 그 상자는 처음에 금관국 해변에 닿았다. 금관 사람은 이를 괴이하게 여겨 거두지 않았다. 그 상자는 다시 진한 아진포 어구에 닿았다. 이 때가 곧 시조 혁거세 39년이었다. 그 때 해변에 사는 할머니가 상자를 줄로 끌어올려 해안에 매어 놓고 열어보니, 한 어린아이가 있었다. 그 노인은 이 아이를 데려다 길렀다. 이 아이가 어른이 되자 키가 9척이 되었으며, 기풍과 정신이 훌륭하였고, 지식이 남보다 뛰어났다. 어떤 사람이 “이 아이는 성씨를 알 수 없으나 처음 상자가 도착하였을 때, 까치 한 마리가 울면서 날아 따라 왔으니, 까치 작(鵲)자를 줄여 ‘석(昔)’으로 성을 삼는 것이 좋겠고, 또한 상자를 풀고 나왔으니, ‘벗을 탈(脫)’과 ‘풀 해(解)’로 이름을 짓는 것이 좋겠다”고 말하였다.
탈해는 처음에는 고기잡이를 하여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그는 한번도 게으름을 피운 적이 없었다. 그의 어머니는 “너는 보통 사람이 아니다. 골격과 관상이 특이하니 마땅히 학문에 종사하여 공명을 세우라”라고 말하였다. 이에 따라 그는 학문에 전념하였고 동시에 지리도 이해하게 되었다. 그는 양산 아래에 있는 호공의 집을 보고 그 곳이 좋은 집터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꾀를 써서 이 터를 얻어 그 곳에서 살았다. 이 땅은 뒷날 월성터가 되었다. 남해왕 5년에 이르러 그가 어질다는 소문이 나자 왕은 자기의 딸을 그에게 시집보냈다. 7년에 그를 등용하여 대보로 임명하고 정사를 맡겼다.
유리가 죽음을 눈 앞에 두고 말했다. “선왕은 ‘내가 죽은 후에 아들과 사위를 막론하고 나이가 많고 현명한 자로 하여금 왕위를 잇게 하라’고 유언하였다. 이리하여 내가 먼저 왕위에 올랐다. 이제는 마땅히 왕위를 탈해에게 전해야 할 것이다.”
○二年春正月, 拜<瓠公>爲大輔. 二月, 親祀始祖廟.
2년, 봄 정월, 호공을 대보로 임명하였다.
2월, 왕이 직접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
○三年春三月, 王登<吐含山>, 有玄雲如蓋, 浮王頭上, 良久而散. 夏五月, 與<倭>國結好交聘. 六月, 有星孛于天船.
3년, 봄 3월, 왕이 토함산에 올라가니, 우산 모양의 검은 구름이 왕의 머리 위에 피어 났다가 한참 후에 흩어졌다.
여름 5월, 왜국과 친교를 맺고 사신을 교환하였다. 6월에 천선 성좌에 혜성이 나타났다.
○五年秋八月, <馬韓>將<孟召>, 以<覆巖城>降.
5년, 가을 8월, 마한 장수 맹소가 복암성을 바치고 항복하였다.
○七年冬十月, <百濟>王拓地, 至<娘子谷城>, 遣使請會, 王不行.
7년, 겨울 10월, 백제왕이 국토를 개척하여, 낭자곡성까지 넓히고 사신을 보내 왕을 만나기를 요청했으나, 왕은 가지 않았다.
○八年秋八月, <百濟>遣兵, 攻<蛙山城>. 冬十月, 又攻<狗壤城>. 王遣騎二千, (+逆)擊走之. 十二月, 地震. 無雪.
8년 가을 8월, 백제가 군사를 보내 와산성을 공격하였다.
겨울 10월, 백제가 다시 구양성을 공격하자 왕은 기병 2천 명을 보내 그들을 공격하여 물리쳤다.
12월, 지진이 있었다. 눈이 내리지 않았다.
○九年春三月, 王夜聞<金城>西<始林>樹間, 有鷄鳴聲. 黎明遣<瓠公>視之, 有金色小櫝, 掛樹枝, 白鷄鳴於其下. <瓠公>還告. 王使人取櫝開之, 有小男兒在其中, 姿容奇偉. 上喜謂左右曰: “此豈非天遺我以胤{令胤}乎!” 乃收養之. 及長, 聰明多智略, 乃名<閼智>. 以其出於金櫝, 姓<金>氏. 改<始林>名<雞林>, 因以爲國號.
9년 봄 3월 왕이 밤에, 금성 서쪽 시림의 나무 사이에서 닭이 우는 소리가 나는 것을 들었다. 날이 샐 무렵에 호공을 보내 어찌된 일인지를 알아보도록 하였다. 호공이 가보니 그 곳에는 나무 가지에 금빛나는 작은 상자가 걸려 있었고, 흰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 호공이 돌아와 이를 보고하였다. 왕은 사람을 보내 그 상자를 가져와 열게 하였다. 그 속에는 어린 사내 아이가 들어 있었고, 그 아이는 자태와 용모가 뛰어났다. 왕이 기뻐하며 측근들에게 “이 아이는 어찌 하늘이 나에게 아들로 준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말하고, 그 아이를 거두어 길렀다. 아이는 자라면서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났다. 그의 이름을 알지라고 하였다. 그는 금빛이 나는 상자에서 나왔기 때문에 성을 김씨라고 하였다. 시림을 고쳐 계림이라 부르고, 이를 국호로 하였다.
○十年, <百濟>攻取<蛙山城>, 留二百人居守, 尋取之.
10년, 백제가 와산성을 공격하여 점령하고, 2백 명을 그 곳에 남겨 거주시키며 수비하게 하였으나, 얼마되지 않아서 우리가 이 땅을 다시 빼앗았다.
○十一年春正月, 以<朴>氏貴戚, 分理國內州郡, 號爲州主․郡主. 二月, 以<順貞>爲伊伐湌, 委以政事.
11년 봄 정월, 박씨의 귀척으로 하여금 국내의 주와 군을 나누어 다스리게 하였다. 그 직위를 각각 주주와 군주라고 불렀다.
2월, 순정을 이벌찬으로 임명하여 정사를 맡겼다.
○十四年, <百濟>來侵.
14년, 백제가 침범하였다.
○十一{七}年, <倭>人侵<木出島>. 王遣角干<羽烏>禦之, 不克, <羽烏>{死}之.
17년, 왜인이 목출도를 침범하였다. 왕이 각간 우오를 보내 방어토록 하였으나 승리하지 못했다. 우오가 전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