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4
[1~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국군의 날 행사가 끝나고 / 아이들이 아파트 입구에 모여
전쟁놀이를 한다 / 장난감 비행기 전차 항공모함
아이들은 저희들 나이보다 많은 수의
장난감 무기들을 횡대로 늘어놓고
에잇 기관총 받아라 수류탄 받아라
미사일 받아라 끝내는 좋다 원자폭탄 받아라
㉠무서운 줄 모르고
서로가 침략자가 되어 전쟁놀이를 한다
한참 그렇게 바라보고 서 있으니
㉡아뿔싸 힘이 센 304호실 아이가
303호실 아이의 탱크를 짓누르고
짓눌린 303호실 아이가 기관총을 들고
부동자세로 받들어총*을 한다
㉢아이들 전쟁의 클라이막스가
받들어총에 있음을 우리가 알지 못했듯이
㉣아버지의 슬픔의 클라이막스가
받들어총에 있음을 아이들은 알지 못한다
떠들면서 따라오는 아이들에게
㉤아이스크림과 학용품 한아름을 골라 주며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들 앞에서 / 나는 얘기했다
아름답고 힘 있는 것은 총이 아니란다
아름답고 소중한 것은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이 세상과 별과 / 나무와 바람과 새 그리고
우리들 사이에서 늘 피어나는 / 한 송이 꽃과 같은 것이란다
아파트 화단에 피어난 과꽃
한 송이를 꺾어 들며 나는 조용히 얘기했다
그리고는 그 꽃을 향하여 / 낮고 튼튼한 목소리로
받들어 꽃 / 하고 경례를 했다
받들어 꽃 받들어 꽃 받들어 꽃
시키지도 않은 아이들의 경례 소리가
과꽃이 지는 아파트 단지를 쩌렁쩌렁 흔들었다
- 곽재구, ‘받들어 꽃’
*받들어총: 제식 훈련에서, 부동자세에서 왼손으로 총을 수직으로 세워 든 후 총목에 오른손을 대라는 구령. 또는 그 구령에 따라 행하는 동작. 총을 들고 하는 경례 가운데 최고의 경의를 나타낸다.
1. 윗글의 표현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대비되는 소재들을 활용하여 시어가 지닌 상징적 의미를 부각하고 있다.
② 한 편의 이야기를 하듯이 시상을 전개하여 상황의 구체성을 높이고 있다.
③ 글자의 크기를 점점 크게 하여 시각적 효과와 동시에 청각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④ 특정한 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공간의 특성이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⑤ 변형된 시어로 발상의 전환을 드러내 화자가 소중하게 여기는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2.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화자는 아이들이 전쟁의 무서움을 모르기 때문에 전쟁놀이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② ㉡: 아이들의 전쟁놀이도 실제 전쟁처럼 힘의 논리에 의해 승패가 결정되는 모습을 보여 준다.
③ ㉢: 화자는 아이들이 전쟁놀이를 하면서 논다는 사실조차 몰랐던 것에 대해 반성하고 있다.
④ ㉣: 화자는 천진난만한 아이들이 전쟁놀이를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데에서 슬픔을 느끼고 있다.
⑤ ㉤: 아이들에게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전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화자의 행동이다.
=
기본 문제 ❶ 01 ④ 02 ③
곽재구, ‘받들어 꽃’
http://blog.naver.com/kyorai/120064373761
http://blog.naver.com/handle01/50042306833
http://blog.daum.net/ckalws/8741390
해제 : 이 작품은 국군의 날 행사가 끝나고 전쟁놀이를 하는 아이들을 보며 화자가 느낀 바를 표현한 시이다. 화자는 살육을 전제로 하는 무서운 전쟁을, 아이들이 ‘놀이’로 한다는 것과 실제 전쟁처럼 힘의 논리에 따라하고 있는 것이 충격적이다. 일상화되어 무디어져 버린, 생명을 앗아가는 전쟁의 공포를 넘어서서 아이들이 주변에서 아름다운 것들을 느끼며 살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 이는 아이들이 ‘받들어총’이 아닌 ‘받들어 꽃’을 할 줄 아는 존재가 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드러난다. ‘받들어총’은 전쟁을 전제로 하는 군사 문화를 나타내는 것이고, ‘받들어 꽃’은 ‘꽃’으로 대표되는 생명이 있는 아름다운 것에 경의를 표할 줄 아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주제 : 생명을 파괴하는 전쟁 문화에서 벗어나 생명과 아름다움 을 느끼기를 바람.
구성
•1~15행: 전쟁놀이를 하는 아이들
•16~19행: 아이들의 전쟁놀이에서 충격과 슬픔을 느낀 화자
•20~31행: 아이들이 일상의 생명이 있는 것들에서 아름다움 과 소중함을 느끼기 바람.
•32~38행: ‘꽃’으로 대표되는 아름다운 것에 대한 경의를 표 하는 화자와 아이들
01 표현상 특징 파악 답 ④
이 문제는 작품의 표현상 특징을 파악하여 이해할 수 있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실마리[답지] 공간의 특성이 문제를 야기
이 시는 ‘아파트’라는 공간을 배경으로 설정하고 있으나, ‘아파트’라는 공간이 지닌 특성 때문에 아이들이 전쟁놀이를 한다고 볼 수는 없다. ‘아파트’라는 공간이 지니고 있는 삭막함, 단절 등의 이미지가 시의 의미 생성에 기여하는 바가 없지 않으나, 그 이미지가 문제를 야기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이 시에는 한쪽에는 비행기, 전차, 항공모함, 기관총, 수류탄, 미사일, 원자폭탄 등 생명을 파괴하는 각종 무기가 나열되어 있고, 그 반대편에는 이 세상, 별, 나무, 바람, 새, 꽃 등 생명을 지닌 아름답고 소중한 것들이 나열되어 있다. 이렇게 나열된 소재들은 서로 대비되면서 각각의 소재들이 지닌 상징적 의미가 부각되고 있다.
② 이 시는 인물, 배경, 사건 등이 모두 제시되면서 이야기의 특성 을 지니고 있다. 이런 특성은 시에 제시된 상황이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상황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상황처럼 느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③ 36행의 ‘받들어 꽃’은 세 번 반복되면서 글자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는 독자들로 하여금 그 시어에 주목하게 하는 효과를 거둔다(시각적). 그와 동시에 아이들이 ‘받들어 꽃’이라고 경례를 하는 소리가 점점 커지면서 아파트 단지에 울리는 소리를 떠올릴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지니기도 한다(청각적).
⑤ 전쟁 수행을 전제로 하는 군대에서 쓰는 용어인 ‘받들어총’에서 ‘총’이라는 단어를 ‘꽃’으로 바꾼 것은 발상의 전환이 바탕이 된 것이다. 여기에는 서로의 생명을 위협하고 빼앗는 전쟁이 아닌, 생명을 존중하고 아름답게 여기는 것이 더 소중하다는 가치가 제시되어 있는 것이다.
교육과정연계
문학Ⅰ (1) 문학의 성격 (다) 문학의 갈래
① 문학 갈래의 개념과 그 특징을 이해한다.
문학Ⅰ (2) 문학 활동 (가) 문학의 수용
① 내용, 형식, 표현의 유기적 연관을 고려하며 작품을 수용한다.
02 구절의 의미 파악 답 ③
이 문제는 시구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했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실마리[지문] 아이들 전쟁의 클라이막스가 / 받들어총
아이들의 전쟁놀이는 패자가 승자에게 ‘받들어총’이라는 인사를 하며 경의와 복종을 표하는 것으로 끝난다. 전쟁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아이들이 어른들을 보고 따라한 것이다. ㉢에는 순진한 아이들의 놀이에 어른들의 폭력과 복종의 질서가 배어 있는 것을 보고 화자가 받은 충격이 담겨 있다. 아이들이 전쟁놀이를 하는 장면을 보기 전에는 아이들이 전쟁놀이를 하면서 노는지조차 몰랐던 것에 대해 반성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화자는 아이들이 서로 죽고 죽이는 것이 얼마나 잔인하고 무서운 일인지 모르기 때문에 ‘원자폭탄’까지 포함한 각종 무기로 상대방을 공격하는 전쟁놀이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생각이 ㉠에 나타나 있다.
② ㉡에서 아이들의 전쟁놀이는 결국 ‘힘이 센’아이가 상대방을 제압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따라서 실제 현실에서의 전쟁처럼 힘의 논리에 의해 승패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④ ㉣은 전쟁놀이에서 진 아이가 이긴 아이에게 ‘받들어총’으로 경례를 하는 것을 보고 느낀 것이다. 즉 화자는 아이들이 전쟁놀이를 통해 아무렇지도 않게 서로 죽고 죽이며, 스스럼없이 승자에게 경의와 복종을 표하는 것에서 슬픔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⑤ ㉤은 아이들에게 자신이 하고 싶은 얘기를 하기 위해 아이들의 환심을 사려는 행동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교육과정연계
문학Ⅰ (2) 문학 활동 (가) 문학의 수용
② 섬세한 읽기를 바탕으로 작품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하며 평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