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에서 시간에 구분 없이 많이 쓰이는 인사말은 다음과 같다.
발음 듣기 |
영어 |
한국어 |
|
Hi! |
‘안녕하세요?’ |
|
Hello! |
‘안녕하세요?’ |
|
Hey! |
‘어이!’ (매우 가까운 사이에서만 사용) |
|
How are you? |
‘안녕하세요?’ |
|
What's up? |
‘별일 없어?’ (가까운 사이에서 격이 없이 사용) |
|
How's it going? |
‘어떻게 지내세요?’ |
|
How are you doing? |
‘어떻게 지내세요?’ |
|
How's everything? |
‘잘 돼가요?’ |
|
How are things? |
‘잘 돼가요?’ |
|
How have you been? |
‘그동안 어떻게 지냈어요?’ |
|
Good to see you. |
‘반가워요.’ |
|
Nice to see you. |
‘반가워요.’ |
|
Long time no see. |
‘오랜만이네요.’ |
|
It's been a while. |
‘오랫동안 못 뵈었네요.’ |
|
How do you do? |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격식체) |
|
Pleased to meet you. |
‘만나 뵈어서 반갑습니다.’ (격식체) |
|
Nice to meet you. |
‘만나 뵈어서 반갑습니다.’ (격식체) |
원래 Hi!는
Hey!와 어원이 같다.
놀라거나 흥분했을 때 상대를 부르던 말에서 시작된 것인데
두 인사말은 완전히 다르게 발전을 해서,
오늘날 Hi!는 웬만큼 사회적 지위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사용해도 결례가 되지 않지만
Hey!는 매우 친한 사이가 아니면 큰 결례가 된다.
Long time no see!는
얼핏 보기에도 영어표현 같지 않지만
실제로 중국어의 好久不見 ‘무척 오랫동안 못 보았습니다’를
문자적으로 번역한 표현이다.
문법적으로는 이상하지만 두루 쓰이는 인사말이다.
일부 언어에서는 시간대에 따라 사용하는 인사가 다른 경우가 있는데
영어도 그런 언어 중 하나이다. 그런 인사말은 다음과 같다.
발음 듣기 |
영어 |
한국어 |
|
Good morning! |
‘안녕하세요?’ (아침 인사) |
|
Good afternoon! |
‘안녕하세요?’ (오후 인사) |
|
Good evening! |
‘안녕하세요?’ (저녁 인사) |
|
Good night! |
‘편히 주무세요.’ (밤 인사) |
원래 Good morning은
중세영어에서는 Good morrow! (morrow는 ‘아침’의 뜻을 가진 고어)로 쓰였다.
15세기부터 Good morn!이 인사말로 쓰이게 되고
그 후 Good morning!으로 발전하였다.
원래는 God give you a good morrow! ‘
신이 그대에게 좋은 아침을 주시기를!’이라는 기원문에서 시작한 것이다.
현대식으로는 ‘좋은 아침이 되시길 빕니다’에 가깝다.
원래 morn은 일출시간을 가리켰지만
지금은 오전을 가리키는 표현이 되었고,
현대의 계산방식으로는 자정을 넘어서면 오전이 되므로
해가 뜨지 않은 새벽시간에도 Good morning!이라는 인사말을 사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Good evening!도 원래는 Good even!으로 사용되었었다.
그 기원은 God give you a good even! ‘신이 그대에게 좋은 오후를 주시기를!’이다.
even은 원래 ‘오후’를 가리키는 단어였지만
오늘날 Good evening!은 대략 해 질 무렵의 저녁 시간에만 사용한다.
Good night!은 단순한 밤 인사가 아니므로 밤에 사람을 만났을 때
Good night!이라고 할 수 없고,
저녁이나 밤에 헤어질 때 잘 자라는 인사로만 사용된다.
만날 때는 다양한 인사말을 사용하지만 헤어질 때 사용하는 인사말은 비교적 종류가 적다.
헤어질 때 사용하는 인사말의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발음 듣기 |
영어 |
한국어 |
|
Good-bye! |
‘안녕히 가세요. / 안녕히 계세요.’ |
|
Bye(-bye)! |
‘안녕!’ |
|
(You) Have a nice day! |
‘좋은 하루 보내세요.’ (아직 하루가 많이 남아 있을 때) |
|
(You) Have a good one! |
|
Good night! |
‘편히 주무세요.’ (밤 인사) |
|
Nice seeing you! |
‘즐거웠어요.’ |
|
Nice talking with you! |
‘얘기 즐거웠어요.’ |
|
See you later! |
‘나중에 또 봅시다.’ |
|
So long! |
‘나중에 또 봅시다.’ |
이 외에도 다양한 상황에 따른 인사말들이 사용되는데 그 중 몇 가지를 예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발음 듣기 |
영어 |
한국어 |
|
Happy New Year!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Congratulations! |
‘축하합니다.’ |
|
Happy birthday! |
‘생일 축하합니다.’ |
|
Merry Christmas! |
‘즐거운 성탄절 되세요.’ |
|
Good luck! |
‘행운을 빌어요.’ |
|
Best of luck to you! |
‘행운을 빌어요.’ |
|
Get well soon! |
‘빨리 나으세요.’ |
|
My sympathies to you! |
‘슬픔에 위로를 보냅니다.’ |
|
Good job! |
‘수고하셨어요!’ |
|
Nice job! |
‘잘 하셨어요.’ |
|
Many kudos! |
‘대단한 일을 하셨어요!’ |
상용 표현
인사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상용표현들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발음 듣기 |
영어 |
한국어 |
|
I love you. |
‘사랑해.’ |
|
I'm sorry. |
‘미안해.’ |
|
Thank you. |
‘고마워.’ |
|
Excuse me. |
‘실례합니다.’ |
|
I apologize. |
‘사과드립니다.’ |
|
I beg your pardon? |
‘다시 한 번 말씀해 주시겠어요?’ |
|
Do you have the time? |
‘시간이 몇 시인가요?’ |
|
Do you have time? |
‘시간 좀 있으세요?’ |
|
Please help yourself. |
‘어서 드세요.’ |
|
It's a shame. |
‘참 아쉽네요.’ |
|
May I help you? |
‘어떻게 도와드릴까요?’ |
|
Could you help me? |
‘저 좀 도와주시겠어요?’ |
|
Just a minute, please. |
‘잠깐만 기다려주세요.’ |
|
Is that so? |
‘정말 그래?’ |
|
May I talk to John? |
‘John 좀 바꿔주시겠어요?’ |
|
Good for you! |
‘잘 됐네요.’ |
|
That's good to hear. |
‘참 좋은 소식이네요.’ |
|
I'm sorry to hear that. |
‘참 안 됐네요.’ |
색깔 표현
영어에는 기본 색채어가
black ‘검정’, white ‘하양’, red ‘빨강’, green ‘초록’, yellow ‘노랑’, blue ‘파랑’, brown ‘갈색’,
orange ‘오렌지색’, pink ‘분홍’, purple ‘보라’, gray ‘회색’으로 총 11개이다.
통상 기본 색채어를 가장 많이 갖고 있는 언어는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히브리어인데
이들 언어에서는 영어보다 한 가지 색이 더 많아서
blue ‘파랑’과 azure ‘하늘색’을 구별한다.
영어권에서는 이 두 가지 색깔을 구별하지 못한다.
위의 11가지는 기본 색채어이고 실제로 사용되는 색상 표현은 훨씬 많다.
예를 들어, 여성들의 색조화장을 위한 아이섀도우나 파운데이션 팔렛에는
많게는 100여 가지 색깔의 화장품이 들어 있고 각각 모두 이름이 붙여져 있다.
참고로 한국어의 ‘파랑’은 ‘파란 하늘 밑에
파란 잔디밭’, ‘푸른 하늘과 푸른 숲’처럼 청색과 초록색을 모두 파란색으로 부르고 있어서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할 때 착오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처럼 green과 blue를 명확하게 구별하지 않는 언어를 grue 언어라 하는데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중국어, 태국어 등 여러 언어가 grue 언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