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덩이에 시신 묻고 농사지었다” 탈북민들 北 실상 증언
탈북 여성 4명이 16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에서 자신들이 겪은 실상을 증언하며 북한 인권문제를 쟁점화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이날 미국 민간단체 북한자유연합이 뉴욕 구세군강당에서 ‘굴하지 않는 북한 여성들의 역할’이라는 제목으로 주최한 제67차 유엔 여성지위위원회(CSW) 부대행사에서 북한의 인권침해 현실을 증언했다
탈북 여성 지한나씨는 1996년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6살, 4살 아들을 먹여살리기 위해 중국 무역에 뛰어들었다. 제법 돈을 벌었지만, 2009년 북한의 화폐 개혁으로 재산이 100분의 1토막이 나자 탈북을 결심했다. 그는 중국에서 공안에 붙잡혔다. 화장실도 없고 간수들이 먹다 남긴 음식을 하루 한두 끼만 먹는 인간 이하의 대우를 받다 북송된 그는 뇌물을 주고 풀려났다. 이후 북한 보위부에서 감시하던 친구를 숨겨줬다가, 자신의 재산까지 빼앗기자 2차 탈북을 시도했다.
지씨는 다시 중국에서 잡혀 재차 북송됐다고 한다. 그는 “감방에서는 간수들이 냄새가 난다고 근무 시간 중에는 변을 못 보게 하는 고문을 했다”고 말했다. 개천1교화소에 투옥된 지씨는 “교화소 직원들이 매일 죽어나가는 수형자들의 시신을 웅덩이에 묻어놓고 그 위에 농작물을 심는 끔찍한 장면을 목격했다”며 “농사가 잘 된다고 이야기하더라”고 했다.
다른 탈북 여성 한송미씨는 북한의 가부장적 사회와 가정폭력 실태 등을 고발했다. 그는 “탈북하다가 잡히면 남은 가족들이 고초를 당한다. 잡히면 자살하기로 결심하고 나섰다”고 했다.
또 다른 탈북여성 이하은씨는 2015년 한국에 사는 탈북민의 부탁으로 북한의 가족에게 돈을 보내주려다 보위부에 걸려 양강도의 한 집결소에 수감됐다고 한다. 그는 “감방 안에서 10시간 동안 말도 못하고 무릎에 두 손을 얹고 앉아있어야 한다.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철창 밖으로 손을 내밀라고 하고 사정 없이 때린다”며 “제가 당한 고통은 다른 여성들보다 약소하다”고 했다.
행사를 주최한 북한 인권운동가 수잔 숄티 북한자유연합 대표는 “인권 이슈가 북한 문제의 전면에 등장해야 한다. 그것이 잔혹한 독재를 끝내는 열쇠”라며 “인권이 바로 김씨 독재의 아킬레스건”이라고 했다.
오경묵 기자 note@chosun.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52336?cds=news_edit
“北에서 김정은만 자유 누려…주민들 굶주려 죽는다” 탈북자들 호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17일(현지 시각) 북한 인권 문제를 논의하는 특별 회의를 열고 국제 공론화에 나섰다.
안보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 신탁통치이사회 회의장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관한 비공식 협의를 진행했다. 안보리 회의 방식 중 가장 비공식적 협의 형태인 ‘아리아 포뮬러’(Arria-Formula)로 열린 이날 회의는 중국의 반대로 유엔웹티비로 생중계되지는 않았지만, 안보리 비이사국이나 비정부기구(NGO), 언론 등에 모두 공개됐다.
미국과 알바니아가 주최하고 한국과 일본이 공동후원한 이날 회의에서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주유엔 미국대사는 “북한의 인권침해는 매우 심각할 뿐 아니라 북한의 불법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개발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말했다.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도 회의에 참석해 북한의 인권 실태를 보고하면서 “북한 인권침해 범죄에 책임있는 자들에 대해 유엔 안보리가 국제형사재판소(ICC) 기소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이날 회의에는 탈북자 2명이 직접 참석해 북한의 인권침해 실태를 낱낱이 공개했다.
북한 고위 관리의 자녀 이서현씨는 중국 유학 중이던 2013년 장성택 처형을 시작으로 이른바 ‘피의 숙청’이 시작된 후 가장 친한 친구 등 무고한 사람들이 정치범 수용소로 끌려가는 것을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그들에게 죄가 있다면 오직 북한에서 태어난 죄밖에 없다”며 “오늘날 북한에서 자유를 누리는 사람은 김정은뿐이고, 그 독재자는 호화로운 삶을 누리면서 자국민들을 향해 총을 겨누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씨는 “역사적으로 북한 문제를 다룰 때 비핵화가 우선순위이고 인권은 뒷전에 밀렸다”며 “그러나 사람들이 북한 인권 탄압의 진실을 알았다면 북한은 현 수준의 핵 능력을 갖추지 못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김씨 일가의 핵무기 개발이 바로 주민들이 굶주려 죽어가는 이유”라며 북한 주민들은 인권이 무엇인지, 자신의 인권이 침해당하는 줄도 모른다”고 밝혔다.
1990년대 ‘고난의 행군’ 당시 부친이 아사하고 모친, 누나와 헤어진 탈북자 조셉 김씨도 참상을 털어놨다.
김씨는 “북한은 어둠의 땅”이라며 “그러나 희망과 꿈을 가진 사람들이 살아가는 땅이다. 그들은 침묵 속에 자유를 희생당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잠잘 곳조차 없는 (북한) 사람들이 수백만명이나 된다”며 “인권과 안보가 별개라는 생각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해외 강제노동으로 핵무기 개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는 점을 예로 들었다.
유엔 안보리는 2014년부터 정기적으로 북한의 인권 문제에 관한 공식 회의를 열어오다 2018년 이후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 등으로 공식 회의를 열지 못하고 있다. 다만 미국을 비롯한 62개국이 북한의 인권 문제를 안보리 의제에 남겨야 한다는 공동서한에 서명해 올해 이 문제를 다룰 수 있게 됐다.
이 과정에서 주유엔 한국대표부가 유엔 회원국들의 동참을 독려해 지난해 공동서한보다 서명국이 두 배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 인권 문제의 안보리 논의에 반대한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886107?sid=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