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경자 (千鏡子 Kyungja Chun1924년 11월11일 ~2015년 8월 6일).
출 생 : 1924년 11월 11일 전남 고흥군 옥화리
사 망 : 2015년 8월 6일 미국 뉴욕
학 력 : 도쿄 여자미술전문학교 미술학
수 상 :
1983년 은관 문화훈장
1979년 대한민국 예술원장
1998년 미국으로 이주
1998년 소장 작품 93점 서울시립미술관에 기증
1995년 천경자 회고작품전 '호암갤러리'
전남 고흥에서 부친 천성욱과 모친 박운아의 1남 2녀중 장녀로 태어났다.
본명은 옥자(玉子)였다.
('경자'라는 이름은 천경자가 센티멘털하던 소녀 취미로 스스로 지어 붙인 이름이라 한다)
그녀는 여동생 옥희와 남동생 규식과 고흥읍에서 어린시절을 보냈으며,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수려한 풍경을 가진 고흥은 그녀의 유년기의 감수성을 풍부하게 하는데 한몫하였다.
그녀는 고흥에서 고흥보통학교를 다니며 화가의 꿈을 키웠다.
또한 그녀는 보통학교 시절 소록도 나병원 간호부로 있던 선배 "길례" 언니를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았다.
이후 길례언니는 천경자의 연작에 등장하는 상징적인 여인이 된다.
이후 1940년 동경여자미술전문학교( 동경 여자미술전문학교)에 진학하였다.
동경에서 "고바야가와 기요시" 교수의 지도를 받았으며
유학 시절, 첫 남편 '이철식'을 만나 결혼을 하지만(1944) 얼마 못가 파경에 이르게 된다.
여동생 옥희의 이른 죽음과 더불어 첫 결혼의 실패는 천경자의 삶과 작품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녀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화가들이 배출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의 한 명으로서 우뚝섯다.
채색화를 왜색풍이라 하여 무조건 경시하던 해방 이후 60년대까지의 그 길고 험난했던
시기를 극복하고 마침내 채색화 붐이 일고 있는 오늘을 예비했던 그 확신에 찬 작가정신으로
그녀의 존재는 더욱 확고하다.
노부(老婦) 1943년작 - 117× 147cm 데뷔 작품
얼굴 1978년
꽃무리속의 여인
수녀 테래 1977년
미모사 향기 1977년 작
윤사월 1987년 작
탱고가 흐르는 황혼 1978년 작
편지를 읽는 여인 1993년 작품
아그라의 무희 1979년 작
막간 1986년 작
노오란 산책길 1983년 작
나바호족의 여인 1988년 작
자바의 여인
볼티모어에서 온 여인
첫댓글 화가 천경자의
작품세계 귀한 사진
가져왔어요 ~^!^~♡
평소 못보던
천경자님의 귀한 그림들을
잘 감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분홍꽃님
다녀가셨군요 저도접 해볼 기회가없었답니다. 고맙습니다.
우수와 신비에 찬 그림으로
우리에게 호감을 안겨주고 떠난 "천경자님"의
세계를 친구를 통해 오랜만에 다시
느끼게 됩니다.
친구님은 두루두루 많은 취미를 곁에두고
지내는것 같습니다.
즐거운 삶 입니다.
솔체친구님
칭찬의 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