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시절 신라 태종 무열왕릉비
(新羅太宗武烈王陵碑)
1950년대 신라 태종(김춘추) 무열왕릉비는 비석은 없고
귀부와 이수만 남은 이런 모습으로 경주 벌판에 놓여 있었답니다.
대한민국 국보 제 25호로 지정된 이 비석은
지금은 경주시 서악동 844-1번지에 누각이 세워지고
국보답게 정중하게 모셔져 있답니다.
신라 태종무열왕릉비
신라 제29대 왕인 태종무열왕의 능 앞에 세워진 석비입니다.
태종무열왕(김춘추, 재위 654∼661)은 김유신과 함께 당나라를 후원세력으로 삼아
삼국통일의 기반을 다진 인물입니다.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졌던 비(碑)들은 중국 당나라의 영향을 받아
받침돌은 거북 모양을 하고 있고, 비몸위의 머릿돌에는 이무기의 모습을 새겨져 있는데,
태종무열왕릉비는 이러한 양식이 나타난 그 최초의 예가 되고 있습니다.
비각안에 모셔져 있는 비는 현재 비몸이 없어진 채
거북받침돌 위로 머릿돌만이 얹혀져 있습니다다.
거북은 목을 높이 쳐들고 발을 기운차게 뻗으며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모습으로,
등에는 큼직한 벌집 모양의 육각형을 새긴 후, 등 중앙에 마련된 비좌(碑座:비몸을 꽂아두는
네모난 홈) 주위로 연꽃조각을 두어 장식하였다.
머릿돌 좌우에는 6마리의 용이 3마리씩 뒤엉켜 여의주를 받들고 있으며,
앞면 중앙에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大王之碑)’라고 새겨 놓아
비의 주인공을 밝히고 있습니다.
통일신라 문무왕 원년(661)에 건립되었으며, 명필가로 유명했던
무열왕의 둘째 아들 김인문의 글씨로 비문을 새겨 놓았답니다.
표현이 사실적이고 생동감이 있어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한 강한 인상을 주며,
삼국통일을 이룩한 신라인들의 진취적 기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동양권에서도 가장 뛰어난 걸작이라 일컬어지는 작품으로,
능숙하게 빚어낸 기법에서 당시 석조 조각의 발달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 비석(碑石)은 신라(新羅) 문무왕(文武王) 원년(元年)(661)에
무열왕(武烈王)의 위대한 업적을 길이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인데, 비신(碑身)은 없어지고
지금은 비(碑)의 대석(臺石)이었던 귀부(龜跌)와 비신(碑身) 위에 얹혔던 이수(이首)만이 남아 있다.
목을 길게 쳐들고 힘차게 뒷발로 땅을 밀며 전진하는 거북의 모습에서
신라통일(新羅統一) 초기(初期)의 씩씩한 기상을 볼 수 있어, 여의주(如意珠)를 받들어 올린
여섯 용(龍)을 새긴 이수와 더불어 동양(東洋)에서 가장 뛰어난 걸작이라는 칭찬이 높다.
그리고 이수에 새겨진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大王之碑)'의 여덟 글자는
무열왕(武烈王)의 둘째아들인 김인문(金仁問)의 글씨라 전한다.
귀부(龜跌)의 길이 380cm, 너비 249cm, 높이 103cm, 이수 높이 106cm이다.
신라태종무열왕릉비정면
신라태종무열왕릉비측면
신라태종무열왕릉비
신라 태종무열왕릉비 이수(전면)
신라 태종무열왕릉비 이수(후면)
현재의 무열왕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