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 real_sh_top=700; var real_sh_left=455;
그동안 주로 50대에서 발생하던 오십견이 최근 젊은 층에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장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컴퓨터 앞에 앉아 일을 하는 회사원이나 학생들이 평소 어깨에 통증을 가지고 있다가 운동이나 사고 등의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증상은 주로 팔이 저리면서 어깨관절이 둔해지고, 낮보다 밤에 심하며, 비가 오거나 찬 곳에 있을 때, 팔을 뒤로 올릴 때 통증이 나타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팔을 옆쪽이나 앞쪽으로 올리기 힘들어 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건양대학교병원 김승호 교수(통증클리닉)의 도움말로 오십견에 대해 알아본다.
◇전체 인구 중 약 2%는 오십견 환자
오십견은 전체 인구의 약 2%에서 유발되는 흔한 질환의 하나다. 코드만(Codman)이 처음 “동결건(frozen shoulder)”이라 부르기 시작한 데서 유래했다. 당시 이 질환 자체가 정의 내리기 힘들고 치료도 힘들며 그 원인에 대해 설명하기도 힘들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 후 Neviasier가 이를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이라 불렀지만 현재까지 그 기전이나 치료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없는 힘든 질환이다.
의학계 일부는 이런 동결견을 하나의 병명이라기보다는 증상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뚜렷한 병인이 있는 이차적 동결견은 제외해야 한다고 말한다.
◇직접적 원인은 관절 퇴행성…발병 원인 모르는 경우도 많아
특별한 외상이 없거나 경미한 외상 후에 견관절 부위에 둔통이 시작돼 서서히 통증이 심해지면서 관절 운동이 제한된다. 특발성(원인을 모르는 경우)인 경우 발병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주로 노화에 따른 어깨 관절 주의 연부조직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또 어깨 관절의 부상이나 깁스를 풀고 난 후, 또는 입원 등으로 장기간 어깨 관절을 사용하지 못한 후에도 발생한다. 특별한 원인 없이도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밖에 당뇨병이나 목디스크 등이 원인인 경우가 30-50%나 차지한다. 통상 50대 이후에 호발하며, 환자는 다른 견관절(어깨뼈와 위팔뼈 사이에 있는 관절) 환자와 마찬가지로 심한 동통, 야간통과 운동 제한을 보이게 된다.
흔히 누워 있는 자세에서 통증 및 불편감이 더욱 심해져 야간통증 때문에 수면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야간통은 다른 어깨 질환에서도 보이기 때문에 오십견(동결견)에서 보이는 특이한 증세라고 할 수 없다는 게 의료계 시각이다. 관절 운동은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모두 제한되며, 서서히 진행해 일상생활이 크게 불편해지기도 한다.
환자들 중에는 가만히 있을 때는 괜찮다가 팔을 위로 올리거나 뒤로 돌릴 때 어깨의 특정 부위가 깨지는 것처럼 아프거나 어깨부터 팔뒤꿈치까지 쑤시고 아프면서 어깨를 돌릴 때는 통증이 더 심해진다.
어깨가 아파 머리를 감거나 옷을 입고 벗을 수가 없다고 주로 호소한다. 따라서 오십견은 어깨의 통증과 함께 어깨 관절이 굳어지면서 운동의 제한을 받게 되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