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③ 도시/광역철도 생각/ 점점 알쏭달쏭해지는 수도권전철 노선도... 그 원인?
주엽의 웅 추천 0 조회 1,329 07.09.01 00:01 댓글 2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07.09.01 00:11

    첫댓글 기본적으로 현행 노선도에 대한 개인적인 감상(=산만하고 뭔가 아리송하다)을 전제로 쓴 글입니다만.... '내가 보기엔 안이상하더라...'라 식의는 댓글은.....;; 현행 노선도에 대한 호불호만 서로 확인하는 셈이되고마니 별 의미가 없을 것 같습니다. 가급적이면 '만약 개선을 한다면'이라는 의제 안에서 의견을 말씀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07.09.01 00:58

    분명 크기에 대한 제약은 있습니다만, 현행 출입문 위 라는 위치에서 어디로 이동을 해야 여러 사람들의 시선에 잘 뜨이고, 수정도 비교적 쉬우며 가독성이 좋은가.. 에 대한 생각도 하셨는지요. 저는 몇년째 그 위치를 찾고 있습니다만 마땅한 곳이 없습니다..

  • 07.09.01 01:45

    구겨넣는 작업이 한계에 다다르게 되면, 천장으로 약간 늘릴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냥 차체에 붙이는게 아니라 일부 전동차에 붙은 광고판처럼 틀을 만들어서 출입문 바로 위에서 천장쪽으로, 최대한 정사각형에 가깝게 노선도를 만들어 붙이는거죠. 환승역은.. 태극문양을 고집하고 싶은 마음이지만, 서울의 노선도를 보니 그런 맘이 싹 사라지더군요. 환승역 문제는 삼태극 문양에 익숙해진 시민들과 노선도의 배치를 함께 배려하는 고민이 있어야 하리라 생각합니다.

  • 07.09.01 02:25

    예전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했던 천정식 노선도가 생각나네요....시험적으로 했다가 제가되었구요...;;

  • 07.09.01 10:13

    예전에 서울 올라갔을 때 본 것 같긴 한데, 무척 목이 아팠었지요.ㅎ 그냥 붙이는게 아니라 틀을 만들어 붙이면 보기에 좀 편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 07.09.01 03:02

    한편으로는, 스티킹 업데이트라도 제때제때 해줬으면 하는 생각도 많이 들죠. -_-;

  • 07.09.01 10:57

    아마 나중에는 일본처럼 출입문 위에다가 현재위치에서 위아래로 늘리는 형태가 될 것 같군요...

  • 07.09.01 11:17

    현 출입문 위 전체노선도에서 바로 위에있는 광고구역으로 세로 연장을 하는것이 어떻습니까?

  • 실제 일본에서도 그런 노선도가 채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JR 도쿄지역 전철노선도 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07.09.01 12:37

    잘 지적하셨습니다. 제 생각엔 출입문 좌우의 광고부분으로 옮기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양도 반듯하고 지금위치보다는 훨씬 넓지요. 지금 위치는 1개 노선의 안내도정도로 충분한 크기입니다. 그리고, 실제 지리모양을 좀 반영해서 지도를 그렸으면 하네요.. 서울의 상징인 한강도 넣어주고 말이죠.

  • 07.09.01 12:42

    사실 외국인이 본다면 지금 노선도처럼 알수 없는 것도 없을겁니다. 뉴욕의 노선도가 참 보기 좋더군요. 맨허튼의 전체적인 모양과 어떤 라인이 어느방향으로 가는지 강을 건너는지 거리는 얼마나 되는지 환승여부도 굉장히 직관적으로 표현되어 있구요, 급행/완행도 잘 구분되어 있죠.

  • 07.09.01 12:43

    서울 노선도도 서울시내/시계외로 나눠서 보다 정밀하게 그릴 필요가 있구요, 지금보다 직관성이 많이 향상되어야 된다고 봅니다.

  • 07.09.01 13:56

    런던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애초에 출입문 위 공간이 없습니다) 출입문 옆, 우리로 치면 광고가 붙을 자리에 전체노선도를 붙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출입문 위에는 해당노선만의 노선도를 붙일 수 있겠죠.

  • 제 생각에도, 점점 수도권전철의 노선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는 만큼 런던 지하철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 07.09.02 23:51

    대신 러시아워에는 전체노선도의 효용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죠. 여기서 고려할 점은, 정말 차내에서 전체 네트워크 노선도를 보는 사람이 그리 많은가 하는 것입니다. 많은 경우 출발역에서 먼저 (이를테면) '1호선 -> 2호선 -> 4호선 -> 7호선' 하는 식으로 본 다음 차내에서는 '2호선 타려면 어디서 내리더라' 식으로 재확인 정도를 한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이 점에 대해 이용패턴 조사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 07.09.01 15:42

    광고 수익 줄어든다고 지하철 공사에서는 별로 안 좋아하겠네요....ㅎㅎ

  • 07.09.01 20:56

    근데 태극마크는 괜찮지 않나요?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하는데.....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07.09.02 01:13

    몇개의 노선이 만나는가의 문제라기 보단 근본적으로 '한개의 점'에서 만나는 것으로 표시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봅니다. 그 대표적인 폐해(?)가 위에 말씀드린 신길역에서 만나는 1호선과 5호선 노선의 굴곡(?)입니다. 참 억지스럽게 한 점으로 끌어다 모아붙여놓은 모습이 안쓰럽더군요...

  • 07.09.02 15:25

    5호선 신길역의 경우는 실제로도 1호선과 환승을 위해 굴곡진 노선입니다. 그리고 너무 노선도 미관상의 문제만 지적하시는 것 같은데, 환승역의 경우는 나스카님 말씀처럼 4~5개 이상의 노선이 한꺼번에 만나는 환승역이 없는 우리나라 실정상 태극 마크로 하는게 일반 이용자들이 알아보기 훨씬 편할 것이라 생각되네요.

  • 작성자 07.09.02 17:08

    물론 해당노선이 실제로도 굴곡진 노선이긴 합니다만, 노선도를 그리면서 이런저런 개선방안 적용으로 실제보다 부드럽게 처리를 해 낼 수도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 듭니다. 뭐 이걸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미관상 보기 좋게'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군요. 일단 이 글 올리게 된 동기 자체에 '미관상의 문제'가 크게 자리잡고 있으니 이에 대한 말씀은 딱히 반박하지 않겠습니다.

  • 작성자 07.09.02 17:21

    이건 좀 반복되는 얘기가 되겠습니다만.... 환승역에서 '몇개'의 노선이 만나느냐도 중요하지만... 그 노선들이 '어떻게' 만나고 있나에 무게를 두는 환승역표기 방식을 시도해 보는 것도 개선방안으로 생각해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