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 풍경
해마다 정월대보름이 되면 온 가족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 한 해 건강을 다집니다. 해가 뜨기 전 일어나 서로에게 ‘내 더위 사가라’며 여름 더위를 염가 세일(?)하고는 눈과 귀를 밝게 하기 위해 ‘귀밝이술’을, 부스럼 등 피부병을 예방하기 위해 ‘부럼’을 나눠 먹습니다.
정월대보름,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 가장 중요한 날로 예전에는 설날만큼 아니 오히려 보다 의미가 깊은 날이었다 합니다 올 정월 대보름날에는 온 가족이 함께하며 정월 대보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수 있는 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
◐ 정월 대보름(正月 大보름) ◑ 정월 대보름(正月 大보름) 또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상원'은 도교적인 명칭으로, 삼원(상원, 중원, 하원) 중 첫번째이다. 대보름 전날인 음력 14일과 당일에는 각지에서 새해의 운수와 관련된 여러 가지 풍습들이 행하여진다.
정월은 한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는 달이다. 1월 15일인 대보름날에는 점을 친다. 또 율력서에 "정월은 천지인 삼자가 합일하고 사람을 받들어 일을 이루며, 모든 부족이 하늘의 뜻에 따라 화합하는 달"이라고 설명된다[출처 : 위키백과―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달아~ 달아~ 밝은 달아"
◐ 한국의 풍습 ◑ 보통 2월 4일에서 3월 6일에 대보름이 포함된다. 설로부터 2주 후에 대보름이 오므로 설과 요일이 같다.
한국에서는 달은 음에 해당하여 여성으로 본다. 달은 여신, 땅으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으로 출산하는 힘을 가졌다고 여겼다. 달은 풍요로움의 상징이었다. 한국에서는 대보름을 설과 같은 중요한 명절로 여겼다.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마을의 평안을 비는 마을 제사를 지냈다. 전남 해남의 도둑잡이굿, 전남 완도 장보고당제, 전남 보성 벌교갯제, 충남 연기 전의장승제, 전북 고창 오거리당산제, 경북 안동 도산부인당제, 경북 안동 마령동별신제, 강원도 삼천 억던 남근제, 전북 김제 마현당제가 있다.[출처 : 위키백과―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달맞이 정월 대보름날 저녁에 하던 점풍(占豊) 의례풍습으로 이날 초저녁에 동산에 올라가 달이 떠오르는 것을 보고 절을 하는 풍속이다. 짚으로 만든 집에다 불을 붙이는 달집태우기도 하며, 쥐불놀이와 불놀이도 함께 행한다.
정월 대보름의 달은 1년 중 추석 한가위의 달과 더불어 양기(陽氣)가 가득찬 달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신성시해왔다. 특히 태음력에 기초하여 책력(冊曆)을 만들어 농사를 지어왔기에 달에 대한 믿음이 더욱 강했다. 농민들은 풍년을 기원하여 이날 달빛을 보고 그해의 풍흉을 점쳤다. 달을 보고 과거급제를 기원하거나 총각과 처녀들이 시집·장가 가기를 빌기도 했다.
정월대보름,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 가장 중요한 날로 예전에는 설날만큼 아니 오히려 보다 의미가 깊은 날이었다 정월 대보름날(음력 1월 15일) 아침에 하는 풍속. 아침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 동네 사람을 만나는 대로 상대방의 이름을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 사가게” 하고 더위를 팔면 그 해 여름은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이 날은 다른 사람이 자기 이름을 불러도 대답을 하지 않고 도리어 “내 더위 먼저 사가게” 하며 응수하는데, 이것을 학(謔)이라고 한다. 이 풍속은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더위 파는 방법으로 대보름날 아침에 대나무쪽에 가족의 이름을 적어 동전을 종이에 싸서 길바닥에 버리면 누구든지 먼저 줍는 사람이 더위를 먹는다고 한다. 가축의 더위를 면하는 방법으로는 해뜨기 전에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 나뭇가지를 꺾어서 목에 걸어두고, 소에게는 왼새끼를 꽈서 몸에 매어주며 “올해는 더위 먹지 말라”고 외치면 여름 내내 더위를 피할 수 있다고 한다
◐ 행사 ◑ ◇ 보름새기 - 설날과 같이 수세하는 풍습이 있어 온 집안의 등불을 켜놓고 지새웠다. 보름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하였는데, 가족 중에 누군가 잠이 들면 장난삼아 밀가루 등으로 눈썹을 하얗게 칠해놓기도 한다. ◇ 더위팔기 - 보름날 해뜨기 전에는 다른 사람에게 한해 더위를 판다. ◇ 달맞이 -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을 맞으면서 새해의 풍년을 점치고 행운을 빈다. ◇ 달집태우기 - 달집을 만들어 달이 떠오를 때에 태우면서 풍년을 빈다. ◇ 다리밟기 - 땅에 놓여진 '다리'를 밟으면 밟는 사람의 '다리'가 튼튼해진다고 기대하며 다리를 밟는 풍습이다. ◇ - 영남지방에서 행하여지며, 농민들이 행렬을 이루어 집을 차례로 찾아가는 풍습이다. ◇ 액막이 연 - 그해의 액운을 멀리 날려 보낸다는 뜻으로 음력 정월 열나흗 날에 띄워 보내는 연. 연에는 이름, 생년월일 따위와 송액영복(送厄迎福)과 같은 글귀를 쓴다.[출처 : 위키백과―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소원을 적은 종이를 엮어서
달집태우기 달맞이·횃불싸움과 같이 정월 대보름에 하는 풍속놀이이다. 보름달이 떠오르기 전에 나무로 틀을 엮고 짚을 씌운 달집을 마을 동산의 적당한 기슭에 만들어 둔다. 달집의 위치는 마을에서 달맞이하기에 가장 좋은 곳에 자리잡는다. 형태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다르나 대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 쪽 면만을 터놓고 다른 두 면은 이엉으로 감싼다. 터놓은 쪽을 달이 떠오르는 동쪽으로 향하게 하고, 가운데 새끼줄로 달 모양을 만들어 매단다. 달이 솟아오르는 것을 처음 본 사람이 불을 당기고 달을 향해 절을 한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대나무 매듭을 태워 폭죽소리같이 '툭툭' 소리가 나도록 했다. 이는 잡귀와 액을 쫓기 위함이며, 달집에 수숫대·볏짚을 넣는 것은 풍요로운 생산을 위함이었다. 남자들은 온종일 거두어들인 연을 걸기도 하고, 아낙들은 소원을 적은 종이나 입고 있는 새옷의 동정을 떼어 달집을 태우면서 자신의 액이 소멸되기를 기원한다.
불꽃이 환하게 피어오르면 풍물을 신나게 울리며 한바탕 어울려 춤과 환성을 울리며 뛰어 논다. 달집이 타는 불에 콩을 구워 먹기도 했다. 지방에 따라서는 달에 절을 하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 하며, 또 1년간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믿기도 했다. 한꺼번에 불이 잘 타오르면 풍년이 들고, 타다가 꺼지면 흉년이 든다는 속설이 전해졌으며 달집이 타서 넘어질 때 그 넘어지는 방향에 따라 그 해의 풍·흉을 점쳤다. 대보름의 만월을 바라보며 풍농(豊農)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점풍(占豊)의 의미를 지녔다
달집태우기 ☞ 지난해 충남 태안군 남면 원청리 별주부마을에서 열린 정월 대보름 행사에서 농악대가 불타는 달집을 돌며 공연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2010-02-23 / 한겨레]
다리밟기
정월 대보름날 밤 다리를 밟으면 1년 동안 다리병이 없고, 열 두 다리를 밟아 지나가면 열 두 달의 액을 면한다고 믿었다. 다리를 많이 지나갈수록 좋다고 해서 성안에 있는 모든 다리를 밟고 지나갔는데 이것을 '다름밟기'라고 한다고 했다.
81년만에 재현된 `다리 밟기` ☞ 정월대보름인 12일 서울 청계천 광통교에서 ‘다리밟기’ 행사가 열렸다.81년 만에 재현된 이 행사는 자신의 나이만큼 다리를 밟으면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인다는 풍속에서 유래됐다.강은구 기자 [2006-02-12 / 한국경제]
지신밟기 지신밟기(地神--)는 한국에서 세시 풍속으로 하는 놀이의 하나이다. 주로 영남지방의 농민들 사이에 행하여진다. 음력 정월보름날 행하는데 이 놀이의 뜻은 그 동리와 동리 집집의 지신(地神)을 밟아서(鎭壓) 잡귀를 쫓아, 연중 무사하고 복이 깃들이기를 비는 데 있다.
일단 중의 사대부(士大夫)·팔대부(八大夫)·포수는 적당한 가장을 하는데, 사대부와 팔대부는 맨 처음에 서서 커다란 관을 쓰고 긴 담뱃대를 물고 마치 큰 의식 때와 같이 점잖게 느릿느릿하게 걷는다. 그 뒤에 망태기에 죽은 꿩을 넣고 나무로 만든 총을 둘러맨 포수와 여러 가지 모양의 가면을 쓴 많은 사람들이 따라오고 또 고깔을 쓴 사람들이 징·북·꽹과리·장고 등 악기를 성히 쳐 울리면서 동리에서도 비교적 부유한 사람의 집으로 차례차례 들어가서 지신을 밟아 준다.
그리고 이 지신을 밟을 때에는 반드시 ‘좋고 좋은 지신아, 잡귀·잡신(雜鬼雜神)은 뭍 알로 천행만복(天幸萬福)은 이 집으로’라고 소리를 하면서 그 집의 마당·부엌 또는 광에서 밟고 걸으며 춤추면서 한바탕 논다
지신밟기 ☞ 【용인=뉴시스】설연휴 마지막날인 10일 오후 경기 용인 한국민속촌을 찾은 관람객들이 지신밟기를 보며 오후 한때를 보내고 있다. /강종민기자 ppkjm@newsis.com [2008.02.10]
액막이 연 날리기 그해의 액운을 멀리 날려 보낸다는 뜻으로 음력 정월 열나흗 날에 띄워 보내는 연. 연에는 이름, 생년월일 따위와 송액영복(送厄迎福)과 같은 글귀를 쓴다.
오징어연 해마연도 잘 나네 ☞ 2009 제주 정월대보름 들불축제가 12일 제주시 애월읍 새별오름에서 개막된 가운데 네덜란드팀이 해마와 오징어를 닮은 천으로 만든 연을 날리고 있다.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2009-02-12 / 한국경제]
◐ 음식 ◑ ◇ 부럼 - 정월 보름날 새벽에는 부스럼이 생기지 말라는 의미에서 밤·잣·호두 등 단단한 견과류의 부럼을 먹는다. 이때 부럼(주로 밤)의 껍질을 직접 깨물어 먹는다. ◇ 오곡밥 - 쌀, 보리, 조, 수수, 팥 등의 다섯 가지 이상의 곡물을 섞어 지은 오곡밥을 먹는다. ◇ 진채식 - 무 (식물), 오이, 호박, 박, 가지, 버섯, 고사리 등을 말려둔 것을 먹는다. 여러 집에서 아홉 가지 나물을 아홉 번, 또는 열 가지 나물을 먹기도 한다. ◇ 약밥 - 대추, 밤, 감, 팥 등으로 약밥을 만들어 먹는다. ◇ 복쌈 - 밥을 김이나 취나무, 배추잎에 싸서 먹는다. 여러개를 만들어 그릇에 높이 쌓아서 성주님께 올린 다음 먹으면 복이 있다고 하였다. ◇ 귀밝이술 - 보름날 새벽에 데우지 않은 찬술(청주)을 남녀구별 없이 조금씩 마신다. ◇ 솔떡 - 솔을 깔고 떡을 쪄서 나누어 먹는다. ◇ 대보름날에는 세 집 이상 성이 다른 집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였다. 그래서 하루 세번 먹는 밥을 이 날은 아홉 번 먹어야 좋다고 믿었다. [출처 : 위키백과―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부럼깨물기 부럼은 음력 정월 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깨무는 밤·호두·잣·은행 등 껍질이 단단한 과실 부럼은 밤, 호두, 잣과 같은 견과류를 소리가 나도록 깨물어 먹는 풍습으로, 부럼을 깨면 1년 동안 치아가 튼튼해지고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했지만, 현대에서는 그런 의미보다는 견과류의 다양한 불포화지방산 섭취로 성인병을 예방하고, 두뇌활동을 개선한다는 측면의 건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번 깨무는 것보다 단번에 큰 소리가 나게 깨무는 것이 좋다고 하며 첫번째 깨문 것은 마당에 버린다. 깨물 때 "1년 동안 무사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기원한다.
오곡밥 주요한 5종의 곡물 또는 모든 곡물을 총칭하는 말. 쌀·보리·콩·조·기장을 오곡이라 부른다.
진채(묵은 나물)식 陳菜食(진채식)은 '대보름 나물'을 가리키는 말. 陳菜는 '묵은 나물'이라는 뜻이다. 갖가지 말린 나물을 잘 무르도록 삶은 뒤, 기름에 볶거나 푹 끓여서 즐기는 대보름 別味(별미)이다.
陳菜를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나물은 사람이 기른 菜蔬(채소)나 저절로 난 山野草(산야초)를 맛나게 만든 飯饌(반찬)을 가리킨다. 익힌 나물인 熟菜(숙채)와 생나물인 生菜(생채)를 통틀어 가리키지만 보통 熟菜를 나물이라 한다.
陳菜食은 시래기 무 호박고지 박고지 가지오가리 버섯 고사리 고비 취 아홉 가지를 장만한다.
대보름 나물 아홉가지 나물에는 콩나물, 무우나물, 숙주나물, 시라기나물, 도라지나물,취나물 더덕나물, 호박나물, 냉이나물, 시금치나물 등으로 아홉가지를 마련하면 된다
귀밝이술 음력 정월 보름날 이른 아침에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고 해서 마시는 술. 귀밝이술은 데우지 않고 차게 마시는데, 이를 마시면 귀가 밝아질 뿐만 아니라 1년 동안 좋은 소식을 듣는다고 한다. 귀밝이술은 부녀자도 마신다. 지역별로 행해지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
경기도는 정월 대보름날 이른 새벽에 술을 조금씩 마시는데 이때 술을 데우지 않고 어른·아이·부녀자들에 이르기까지 조금씩 마신다. 이렇게 하면 귓병에 걸리지 않고 귀가 밝아지며 좋은 소식을 듣게 된다고 한다. 전라남도에서도 역시 보름날 아침에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져 잘 듣게 된다고 하여 남녀노소가 모두 조금씩 마신다. '귀밝게'라고도 한다. 맑은 술인 청주여야 귀가 더 밝아진다고 한다. 강원도에서는 보름날 아침에 귀밝이술을 남녀 구별없이 1잔씩 마시는데, 귀가 어두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해에 좋은 소식을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찬 술을 마시며 그 양은 1잔으로 한정된다
◐ 가축 ◑ ◇ 소밥주기 - 소에게 밥과 나물을 차려 준다. ◇ 개보름쇠기 - 보름날에 밥을 주면 개가 마른다고 하여 달이 뜨는 저녁에 밥을 준다. ◇ 까마귀밥 - 찰밥을 지어 까마귀에 제를 지낸다. 또는, 약밥이나 나물을 까마귀에 던져 준다[출처 : 위키백과―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정월대보름 민속놀이로 가득한 2008 임진강 민속축제 사진
◐ 놀이 ◑ ◇ 연날리기 - 대보름 날에는 겨울 내내 띄우던 연을 날려보낸다. 대보름 이후로는 연날리기를 하지 않고, 대보름 이후에 연을 날리면 ‘고리백정 (또는 백정)’이라 불렀다. ◇ 쥐불놀이 - 대보름 밤에 쥐불을 놓아 벌레를 없앤다. ◇ 횃불싸움 - 두 마을이 다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횃불을 들고 싸운다. ◇ 널뛰기 - 정월대보름 밤에 널뛰기를 하며, 이후로는 하지 않는다. ◇ 사자희 - 머리에 사자 가면을 쓰고 농악을 울리고 집집마다 다니면서 춤추며 논다. ◇ 기타 줄다리기, 석전, 고싸움 등의 놀이를 벌이기도 한다.[출처 : 위키백과―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쥐불놀이 쥐불놀이는 논이나 밭두렁에 불을 붙이는 정월의 민속놀이로 음력 정월 첫 쥐날(上子日), 밤에 농가에서 벌이는 풍속이다. 해가 저 물면 마을마다 들로 나가 밭둑이나 논둑의 마른 풀에 일제히 불을 놓아 태운다. 이렇게 하면 1년 내내 병이 없고 재앙을 물리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날 쥐불을 놓는 까닭도, 잡초를 태움으로써 해충의 알이나 쥐를 박멸하여 풍작을 이루려는 뜻이 담겨 있다. 이 쥐불의 크기에 따라 풍년이나 흉년, 마을의 길흉화복을 점치기도 하는데, 불의 기세가 크면 좋다고 한다. 자정이 되면 각자 마을로 되돌아가는데 질러 놓은 불은 끄지 않는다.
쥐불놀이 ☞ 기축년 정월대보름(9일)을 이틀 앞둔 지난 7일 밤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판운리 섶다리 위에서 주민들이 한 해의 소망을 담아 벌이는 쥐불놀이가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섶다리는 여름 장마 뒤 주민들이 판운강에 설치한 것으로 영월의 테마관광지로 자리 잡았다. 영월/뉴시스 [2009-02-08 / 한겨레]
횃불싸움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하는 민속놀이의 하나. 마을 청소년들이 패를 갈라 진을 치고 있다가 달이 떠오른 후 농악대의 풍악에 맞춰 횃불을 밝혀 들고 편싸움을 하여 승부를 겨루는데, 진 편은 그해에 흉년이 든다고 한다.
양동마을 줄다리기 두 팀이 줄의 양쪽 끝을 각각 잡고 서로 상대를 끌어당겨 중앙선을 넘도록 하는 체육경기
한국에서는 전래 민속놀이의 하나로서 대개 정월 대보름에 즐겨 놀았으며, 지방에 따라 5월 단오나 7월 백중에 행하기도 했다. 한 마을에서 동서 양편으로 나뉘어 집집마다 볏짚을 모아서 새끼줄을 꼬고, 그 줄을 다시 모아 마을사람이 모두 함께 큰 줄을 꼬아 만든다. 줄머리에는 도래라는 고리를 만들어 양편의 고리를 연결해서 그 속에 비녀목이라 부르는 통나무를 꽂고, 양편에서 줄을 당긴다. 줄다리기를 하기 전에 양편의 줄을 마주보게 해놓고 줄고사를 지낸다. 동서 양편으로 나눈 줄을 암줄과 수줄로 구분하며 각 편의 줄패쟁이를 뽑아 대표로 삼고 농악에 맞추어 줄을 당긴다.
보통 암줄이 이기면 풍년이 들고 수줄이 이기면 흉년이 든다고 했는데, 지방에 따라 이기는 편이 풍년이 든다고 하기도 한다. 줄다리기가 끝난 줄은 칼이나 톱으로 베어다가 자기 논에 던져두면 풍년이 든다는 속신도 있고, 또는 아기를 낳지 못하는 여자가 줄을 삶아먹으면 아기를 낳게 된다고도 한다. 이는 줄다리기의 목적이 생산의 풍요에 있다는 증거이다.
이 놀이의 큰 목적은 한 해가 시작되는 때 마을사람들이 단결하여 줄을 꼬고 당기는 가운데 공동체의식을 갖고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데 있다. 주로 한강 이남 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놀이이다. 경상남도 영산줄다리기가 중요무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싸움 광주광역시 광산구 칠석동, 속칭 옻돌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속놀이이다. 해마다 음력 정월 10일경부터 2월 초하루에 걸쳐 줄다리기의 앞 순서로 행해지던 놀이이다. 그러나 요즘은 독립적인 놀이로 행해지고 있다. 고싸움의 ‘고’는 옷고름이나 노끈의 한 가닥을 길게 늘여서 둥그런 모양을 맺는다는 뜻이다. 따라서 2개의 고가 서로 맞붙어 싸움을 벌인다고 ‘고싸움’이라고 한다.
액운 막는 정월 대보름 `불넘기` ☞ 【수원=뉴시스】정월 대보름을 앞둔 27일 경기 수원 칠보초등학교에서 어린들이 달집태우기를 본뒤 불넘기를 하며 올 한해 액운을 막고 건강을 기원하고 있다. [2007.02.27 / 중앙일보]
투호놀이하며 화합 다져요 ☞ 충남 태안군이 9일 정월 대보름을 맞아 기름유출 사고로 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고 군민 화합을 꾀하기 위해 태안읍 경이정에 마련한 ‘제1회 범군민 중앙대제’에서 아낙네들이 투호놀이를 하고 있다 [2009-02-10 / 동아일보]
새해 소망 비는 ‘달불놀이’ ☞ 충남 태안군이 9일 정월 대보름을 맞아 기름유출 사고로 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고 군민 화합을 꾀하기 위해 태안읍 경이정에 마련한 ‘제1회 범군민 중앙대제’에서 아낙네들이 투호놀이를 하고 있다 [2009-02-10 / 동아일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관련 게시판으로 가실수 있습니다
▼ 2008 정월대보름
|
▼ 2005 정월대보름2
|
▼ 정월대보름 놀이의 깊은 뜻
|
▼ 정월대보름에 먹는 나물 9가지
|
▼ 정월 대보름 음식
|
▼ [문화에세이]정월대보름
|
▼ 사진으로 보는 대보름 풍경
|
▼ [다음 미즈쿡]정월대보름 음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