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제주시 조천 평화통일 불사리탑사 순례 ① 濟州道 濟州市 朝天 平和統一 佛舍利塔寺 巡禮 一
불기 2554년 12월 12일 한라산 관음사를 참배하고 물러나 마지막 순례지 제주시 조천의 바 다가 보이는 평화통일 불사리탑을 찾았을 때는 4시 30분을 헤아렸습니다. 불사리탑사는 바 로 1132번 해안도로 옆에 있습니다. 처음부터 이색적인 모습에 마음을 설레게 합니다. 어 제(11일) 마지막 코스로 순례를 했는데 날이 어두워 절의 풍광을 담을 수 없어서 오늘 다시 마지막 코스로 찾게 된 것입니다. 웬만해선 두 번 찾기 어려운 법인데 뜻 깊은 곳이라 사지 에 담아 보고자 재방문을 하게 된 것입니다. 여기는 제주공항과도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 기 때문에 무난했습니다.
그런데 불사리탑에 도착했을 때 날씨는 싸늘해졌고 하늘에서는 보슬비가 내렸습니다. 그러 나 의지를 꺾을 만한 기세는 아니고 크게 옷을 젖을 정도도 아닌 안개비 형태입니다. 이제 안으로 들어가 봅니다.
평화통일 불사리탑사 일주문
일주문의 모양이 특이합니다. 이 일주문은 우리 민족의 오랜 숙원인 평화통일을 기원하며 북쪽의 백두산 천지를 향하도록 설계해 놓았다고 합니다. 이 문부터 평화통일을 담고 있습 니다. 왜 평화통일을 염원하게 되었을까요?
이 불사리탑은 제주시 조천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조천이란 지명에 주목해 보면 이 조천이 란 곳이 얼마나 한이 서려 있는 곳인지 알게 됩니다. 여기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고관 사(古觀寺)라는 절이 있습니다. 이 고관사는 관음사의 옛절이란 뜻인데 이 절 역시 고난의 역사를 간직한 절입니다.
1927년 화주(化主) 고계부, 강정완이 기와로 된 개인 주택을 매입하여 전남 순천 선암사(仙 巖寺)의 제주포교소로 창건하였습니다.
그후 고관사는 활발한 불교활동을 벌였는데 1948년 4.3사태로 조천 일대는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1920년대에에 와서 조천리는 민족해방 투쟁의 본산이라 할 만큼 수많은 인사들이 일제에 대한 저항운동을 벌여왔고, 해방 후 제주도 인민위원회나 남로당을 주도하 는 인물들이 이곳에서 태어나 활동했는데 4.3사태가 발발하여 불온하다는 이유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된 것입니다. 조천은 4.3사태에서 가장 피해가 심했다고 합니다. 이 와중에 사찰이 강제로 매각되었다가 이후 1968년에야 되찾았다고 합니다. 이념의 갈등은 왜 있을 까요. 분단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불사리탑사는 억울하게 숨져간 수많은 영령들을 위로하며 평화통일을 염원하며 고관사의 주지였던 도림(道林) 스님의 원력에 의해 세워진 것입니다.
일주문 안에는 보살상이 세워져 있습니다. 좌측면.
우측면 보살님.
일주문이 특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니 그 안에 좌우로 보살입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좀 엉성하고 스산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하얀 차는 우리차입니다.
이 절에 전날에 이어 재차 방문한 탓인지 모두 나오려 하지 않네요. ㅎㅎㅎ 날은 추운데 추적추적 이슬비가 내리기 때문인 모양입니다. 그래서 길상님과 둘이서만 불사리탑을 사진 에 담아 보고자 비에도 아랑곳 않고 나아가 참배하면서 열심히 담아 보았습니다. 이곳까지 와서 다시 사진에 담지 않으면 얼마나 아쉬운 일입니까? 여기에 서린 내력과 서원을 알면 보고 싶기도 하련만... 차안에서 이 탑사에 대하여 브리핑 한 것으로 만족하시는지...ㅎㅎㅎ
평화통일불사리탑사
이 절은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2268-1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입니다. 고관사에서 약 200m 떨어진 언덕 위에 인도의 산치사리탑과 같은 독특한 형태를 띠고 서 있는 사찰입니다. 고관사 주지였던 도림(道林) 스님이 『법화경』의 사경 공덕으로 조국 통일과 세계평화를 발원하면서 1988년 10월 10일 기공하여1999년 8월에 완공하였습니다. 이 날은 바로 세계 평화의 제전 88올림픽이 개최된 날입니다.
조천은 1919년 3월 21일 마을주민들과 함께 만세를 부르던 역사의 현장입니다. 이 절은 제주에 유배되어 당시의 제주목사 변협에 의해 장살되어 순교하신 조선시대 허응 보우(虛應 普雨, 1509~1565)스님과 또한 유배되어 순교하신 환성지안(喚醒志安, 1664~1729) 스님, 그리고 중국의 정법(正法) 대사 등의 순교비를 세워 전법 정신을 잇고, 일제강점기와 제주 4.3사건 당시 억울하게 숨져간 수많은 영령들을 위로하며, 우리 민족의 숙원인 평화통일을 이루어 내고자 하는 원력으로 창건 된 절입니다.
불사리탑사의 위용
탑사의 외양이 마치 인도의 산치 대탑과 같은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은 석가모니부처님 진신 사리의 원력으로 세워진 사찰임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이 탑은 1층은 356평, 2층은 280평, 3층은 108평, 총 높이는 33m의 3층 구조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이 숫자들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짐작이 가시지요?
탑의 난간은 신라의 황룡사 9층탑을 형상화한 것이랍니다.
이 불사리탑사는 전국적 『법화경』사경 수행도량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사찰입니다. 법화경 사경탑에는 5만권의 사경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지장보살 사경탑, 관세음 보살 사경탑, 평화통일의 종 사경탑 등 도량의 모든 탑에 사경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모든 불상과 탑 속에는 미얀마 보디타타웅에서 모시고 온 부처님의 정골사리와 십대제자 사 리 및 오백아라한의 사리가 봉안 되어 있습니다.
매해 8월 15일 광복절을 기하여 3일 동안 『법화경』사경 봉안식을 거행하고 있다고 합니 다.
극락세계 아미타불이라 했으니 이 안으로 들어가면 아미타전에 들어가게 됩니다.
석탑 안으로 들어가면 원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우주의 완전한 평화와 행복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1층에는 약사여래불, 2층은 법당으로 석가모니불을 봉안하였고, 3층에는 아미타불을 봉안 하여 삼십삼천의 연화세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형상화 해 놓았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내부에서 찍은 사진은 하나도 못 건졌네요. ㅠㅠ
대탑을 중심으로 외부엔 석탑이 외요하고 있습니다.
평화통일의 종 사경탑
이 종소리 법계에 두루 퍼지소서.
석가모니불
묘법연화경이란 글자가 음각되어 있습니다.
관세음보살님.
바다쪽을 바라보시는 관세음보살님
앞의 관세음보살님과는 다른 모양을 취하고 계십니다.
법화경 사경을 봉안한 영탑(靈塔)
법화경 사경을 봉안한 영탑(靈塔)을 조성 중입니다. 영탑에는 개인ㆍ가족ㆍ부부 등을 모실 수 있는데 108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세계평화 조국통일
나무지장보살
또 다른 지장보살님이 모셔져 있습니다.
불교순교성지
허응당 보우 스님과 환성당 지안 스님 순교비
중국정법대사입적비
허응당(虛應堂) 보우대사(普雨大師)
허응당 보우대사 (虛應堂 普雨大師. ?~1565)
삭발. 1548년 명종(明宗)의 모후 문정왕후의 천거로 봉은사(奉恩寺)주지로 부임하여 불교 중흥의 대역사를 시작하셨다. 봉은사를 선종(禪宗) 총본사로, 봉선사를 교종(敎宗) 총본사로 정하여 고려시대 승과를 다시 부활시켜 서산, 사명, 영규와 같은 인물을 발굴했고, 스님들 에게 도첩을 주어 지위를 향상시켰다.
사에 영원히 꺼질수 없는 진리의 횃불이시다. 한 몸을 던져 불교를 다시 일으켜 세움으로 써 민족정신의 명맥을 이어 오늘이 있도록 하신 육신보살이시다.
오늘을 살고 있는 모든 불자는 보우대사의 정신을 계승하여 불국정토를 건설하자.
주지 석도림 합장』
환성당(喚醒堂) 지안대사(志安大師)
환성(喚醒) 지안대사(志安大師 1664~1729)
길이라 하던가. 조정의 유생이 놀라고 긴장하여 지리산 토굴에서 참선수행중에 계신 스님 을 체포하여 호남 감옥에 5년 동안을 가두었다. 무죄가 판정되었음에도 끝내 유죄를 만들 어 제주도 조천 연북정으로 유배시켰다.
영조 5년 7월 1일 도착하여 모진 고문을 당하시다가 7월 7석 오후에 순교하시니 3일동안 한라산이 울고 바다물이 들끓었으며 영결식 하던 날 하늘에 무지개가 서고 서기가 빛을 내 니 세인들은 "성자의 입적" 이라 하였다. 세수 66세이시고 승납 51세였다.
1994년 7월 7석날 순교비를 세우니 무지개가 뻗치고 하룻 밤을 사령탑과 순교비가 방광하 였다.』
두 분 순교 성사의 석상이 모셔진 정경
☞ 제 2부가 이어집니다.
|
첫댓글 독특한 양식의 절입니다. 보우스님과 지안스님의 순교가 마음을 아프게 하는군요. _()_
가장 유생들이 훼불의 기치를 올리던 때입니다. 이 변협이란 목사는 보우 스님을 그렇게 만들고 천벌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의 뒤를 이은 목사도 더욱 훼불의 칼을 휘둘러 제주는 그야말로 쑥대밭이 되게 된 것입니다. 지안 스님은 도인인데 어처구니 없게도 무고를 받아 그렇게 되셨네요. 조천이 그런 곳이었습니다. 그리고 4.3사태... _()_
제주도의 불교역사는 좀 슬프네요...
절이 우리나라 절같지않게 특이하고 일주문에 보살상이 있는건 처음인것같아요..
자세한 설명과 사진 감사합니다...()
조선시대는 숭유억불책이 강화되면서 불교가 대대적인 탄압을 받았는데 제주도는 지형적인 특성상 가장 많은 훼불이 자행된 것 같습니다. 아주 남김없이 무불지대로 만든 것은 전례없는 일입니다. 거기에 4.3사태는 상처의 골을 더욱 깊게 해 놓았네요. 여러 가지로 많이 특이합니다. 의미 깊은 사찰입니다. _()_
나무관세음보살
이제 제주 불교는 활기차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_()_
서방세계 에 있는 사찰은 아직방문을 못해봤지만 꼭 다른나라 풍경였답니다 백우님
우리언제 인도 성지순례 합시다 
_()_
그런 날이 오겠지요. 부처님 성지에서 기도할 그날 상상해도
겁습니다. 제주도에 다시 가시걸랑 불사리탑사 구석구석 잘 살펴 보세요. 


_()_
몇년전에 제주도 갔을때 근처에서 놓쳐 버렸던 불사리 탑사를 이번에는 두번이나 갔다와서 원풀이 했습니다. _()_
잘보고갑니다~
늦게사 다녀가셨습니다.


_()_
늦게나마 보우대사의 순교함에 나무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