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홀로’의 고독한 소통, 트위터와 페이스북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는 여친과 대화가 전혀 되지 않는다. 끊임없이 자신의 이야기만 쏟아내고, 상대방 이야기를 들으려 하지 않는 소통장애인에게 절망해 어여쁜 여친은 떠나 버린다. 홧김에 기숙사에 돌아와 만들기 시작한 것이 페이스매시. 캠퍼스 여학생들의 사진을 놓고 누가 예쁜가를 투표하는 소셜 사이트로 페이스북 혁명의 시발점이다. 컴퓨터 천재이지만 사람과의 소통에서는 낙제점을 받은, 그러나 2010년 타임스가 뽑은 올해의 인물이자 세계 최연소 억만장자인, 저커버그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 ‘소셜네트워크’는 이렇게 시작한다.
바야흐로 소셜네트워크의 시대가 도래했다. 사람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전 세계 6억 명의 유저를 단숨에 빨아들인 페이스북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웹의 새로운 지존으로 등극시켰다. 웹2.0 혁명의 총아였던 구글의 트래픽을 지난해 이미 능가한 페이스북은 개인의 신상정보에서 출발해 거대한 오픈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이다.
특히 오픈 플랫폼 전략으로 수많은 제3의 기업이 페이스북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들을 구현하게 한 것과,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플랫폼을 앞서 개발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이다. 비록 저커버그 자신은 가까운 지인들과 소송에 휘말릴 정도로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었지만, 대중이 어떤 소통을 원하는지 정확히 알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개방·참여·공유의 웹2.0식 일반적 정서에 더해 관계성과 연결성을 한층 더 증폭시킨 것이다. 결과적으로 정보의 생산·유통, 그리고 소비가 관계와 연결망에 의해 결정되는 세상이 온 것이다.
소셜네트워크 시대의 또 다른 스타는 트위터다. 140자 이내의 짧은 구문으로 의견을 피력하면, 팔로어들의 스마트폰으로 메시지가 일시에 전달되고 응답도 받을 수 있다. 수많은 관계망을 타고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확산되는 트윗(지저귐)들의 모바일 의사소통이 강세인 우리나라에서는 여론 형성에 큰 힘을 발휘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지방선거 때는 ‘인증샷’을 통해 민주당에 표를 몰아주었고, 최근엔 ‘통큰’ 논쟁의 터전으로 동네 치킨집들의 이익을 대변한 바 있다. 트위터는 정치인과 연예인들 사이에서 팬과의 소통 도구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핵심 기술은 비슷한 사람들을 끼리끼리 묶어 주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그렇다면, 소셜네트워크는 ‘진짜 소통’을 만들어주고 있는가. 조사에 의하면 트위터는 상위 10%의 사용자가 전체 메시지의 90% 이상을 작성한다고 한다. 풀뿌리 민주주의라기보다 여론의 쏠림현상이라 봐야 할 것이다. 페이스북은 성향이 비슷한 사람들 간의 관계망에서 대부분의 정보가 생산돼 소비되게 한다. 정보 편식 현상이 심해지고, 기존의 편견이나 선입견이 고착되기 쉽다. 천안함 정국을 보라. 객관적 사실의 존재 자체를 믿지 않고, 감정에 쏠려 우왕좌왕하며, 포퓰리즘이 번성하는, 그리고 그것을 참여·공유·개방이라고 믿는 사회에는 소셜네트워크라는 관계망이 한몫을 하고 있다. 미네르바가 활개치고 타블로는 절망하는 사이버 공화국의 현실인 것이다.
소셜네트워크 혁명은 우리를 행복하게 할까.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어떤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가. 멀리 있는 사람과 이음새 없는 연결을 보장해 주지만, 정작 가까이 있는 사람과는 오히려 소통의 단절을 가져오고 있진 않은가. 언제부터인가 가족의 식탁에서 자녀들은 휴대전화 화면과의 대화에만 푹 빠져 있다. 지하철에 ‘막말녀’가 출현해도 아무도 말리지 않고 오직 카메라를 들이대며 촬영에 열중한다. 모두 디지털처럼 넓고 얇은 자아를 펼치며 새로운 흥밋거리를 찾아 끊임없이 부유할 뿐이다. 실리콘처럼 드라이한 인간관계는 소통에 대한 갈증을 낳고, 마음이 통할 수만 있다면 ‘과잉 공유’라든가 프라이버시는 별 문제 되지 않는다.
소셜네트워크 산업의 폭발적 성장은 역설적으로 현대인의 소통 부재를 웅변하고 있지 않은가.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은 ‘함께 홀로 있는’ 개인을 양산하고, 또 다른 소외와 단절을 잉태하고 있다. 저마다 쉬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를 포스팅하고 관심을 끌려고 하지만, 뭔가 공허하고 고독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허전함과 무료함을 달래려고 또 다른 포스팅을 한다. 그러는 동안 우리는 스쳐가는 바람도, 따스한 햇빛도, 지나가는 사람의 친절한 눈빛도 모르고 지나친다. 영화 ‘소셜네트워크’에서 저커버그가 자아만으로 꽉 찬, 불통의 인간으로 그려진 것처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중앙일보 인용>
----------------------------------------------------------------------------
6년만에 5억..신화는 계속되는가.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말 미국 캘리포니아 팰로앨토의 페이스북 본사를 방문했다. 자신의 저서 '결정의 순간(Dicision Point)'홍보를 위해서다. 그는 “책을 소개하려는 데 사람들이 다 페이스북 사이트에 몰려 있으니 여기 오는 게 당연한 거 아닌가”라고 말했다. 페이스북은 창업자 마크 주커버그와 부시 전 대통령의 인터뷰를 페이스북 사이트(ht tp://apps.facebook.com/facebooklive)를 통해 전 세계에 실시간 방송했다.
페이스북이 개인적인 교류의 장을 넘어 정치와 경제에 다양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008년 선거 때 페이스북을 통해 ‘담대한 희망’이라는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의 친구로 등록한 사람은 190만 명으로 경쟁자인 존 매케인 후보의 세 배에 달했다. 정치에 무관심하던 젊은이들에게 다가가 공감을 이끌어 낸 덕에 그는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 됐다.미국에서만 페이스북이 힘을 쓰는 것은 아니다. 2008년 초 콜롬비아에서는 평범한 한 시민이 ‘콜롬비아무장혁명군(FARC)에 반대하는 백만 명의 외침’이라는 그룹 페이지를 열었다. 순식간에 35만 명의 회원이 모였다. 곧 콜롬비아 전역의 시민운동으로 확산됐다. 결국 무장단체는 몇 년간 인질로 잡아놓았던 정치인들을 풀어줬다. 지난해에는 페이스북에 ‘위구르독립투쟁운동’이라는 그룹이 생겨났다. 전 세계 곳곳에서 많은 사람이 여기에 가입해 지지를 보냈다. 위협을 느낀 중국 정부는 급기야 중국 내 페이스북 접속을 차단했다.
중국·인도 이은 세계 3위 ‘인구 대국’ 페이스북은 세계 최대의 소셜 네트워크다. 미국 하버드대 학생이던 컴퓨터 천재 마크 주커버그가 2004년 2월 설립했다. 사람들을 온라인으로 연결해 자유롭고 투명한 세상을 만들고 싶다는 스무 살 청년의 꿈에서 시작된 것이다. 6년여가 지난 2010년 10월 현재 전 세계 5억5000만 회원을 확보했다. 인구로 따지면 미국(3억1000만 명)을 뛰어넘어 중국·인도에 이은 세계 3위의 거대 국가가 된 셈이다.아직도 페이스북을 온라인에 사진을 올리고 소소한 일상을 친구들에게 자랑하거나, 게임이나 하는 그저 그런 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로 여기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페이스북의 영향력을 알고 나면 생각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인류 역사상 페이스북처럼 빨리 성장하고, 전 세계에 순식간에 퍼져나가 사람들의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 방식에서부터 기업 마케팅, 정치 민주화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 기업은 유래를 찾기 힘들다.
그 힘의 원천은 실명이다. 페이스북은 익명성으로 대변되던 인터넷에서 철저하게 실명으로 자신의 실체를 밝혀야 한다는 원칙을 내세웠다. 한편으로 사생활보호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하지만 오히려 온라인 인간관계에 대한 신뢰를 마련했다. 페이스북 개인 프로필에는 내가 사는 지역, 현재와 과거 직업과 출신 학교, 좋아하는 음악과 영화, 친한 친구와 정치적 성향 등을 공개한다. 엄청난 개인정보는 페이스북을 어떤 인구통계보다 자세한 개인정보를 보유한 정보기관이자, 강력한 마케팅 장소로 만들었다. 페이스북에서 개인은 누구나 평등하며 과거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만이 누렸던 미디어의 힘을 너무나 쉽게 가지게 됐다. 전 세계 사람들이 “너 이거 좋아해? 나도 이거 좋아해”라고 속닥인다. 마치 지구를 하나의 작은 마을로 축소한 듯하다.
올해 하반기에 페이스북은 중요한 정책을 잇따라 내놓았다. 친구들의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플레이스’를 출시하더니, 곧이어 ‘딜스(Deals)’라는 기능을 더해 기업과 가게들이 근처에 있는 페이스북 사용자들에게 할인쿠폰 등을 제공할 수 있게 했다. 최근에는 인터넷전화 스카이프와 제휴한 데 이어 e-메일과 비슷한 모습의 메시지 서비스도 내놓았다. 회원들에게 ‘아이디@facebook.com’ 형태의 메일 계정도 줄 예정이다. 페이스북 e-메일에 대해 언론들은 페이스북이 구글·야후와 경쟁을 시작한다고 보도했다. 정작 주커버그는 아니라고 말한다. “제 세대만 해도 e-메일은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죠. 그런데 문자와 인스턴트 메시지에 익숙한 10대들과 얘기를 해봤더니 e-메일은 느리다고 하더군요. 저는 사람들이 좀 더 단순하고 쉽고 빠르게 서로 소통(커뮤니케이션)할 수 있게 하고 싶을 뿐입니다.”
기업 공개 땐 역사상 최대 규모 전망 페이스북은 2004년 봄 하버드대 기숙사에서 시작됐다. 대학 신입생 시절 주커버그는 재미 삼아 ‘코스매치’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다른 학생들의 수업시간표를 알아내 자신이 들을 수업을 고를 수 있게 하는 사이트였다. 학생들은 마음에 드는 여학생이나 똑똑한 학생들과 같이 수업을 듣기 위해 그 사이트로 몰려들었다. 코스매치의 인기에 힘을 얻은 주커버그는 곧 ‘페이스 매시’라는 새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두 명의 학생을 나란히 놓고 누가 더 얼짱인지 가리는 사이트다. 불과 몇 시간 만에 폭발적 인기를 얻었다. 하버드대는 기숙사 서버를 해킹해서 학생 사진을 사용한 점을 문제 삼아 사이트를 폐쇄하고 주커버그를 징계했다.
주커버그는 두 번의 경험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의 힘을 믿게 되었고 페이스북 개발에 나섰다. 페이스북의 시작은 신중하거나 진지한 기업가 정신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하버드대 교지는 당시 주커버그의 프로그램을 “인간에 존재하는 원초적 본능을 토대로 한다”고 평가했다. 사람은 누구나 소속 본능, 약간의 허영심, 어느 정도의 관음증을 갖고 있는데 이 부분을 잘 파고들었다는 것이다.
주커버그는 어찌 보면 유복한 지식인 집안에서 자란 똑똑한 괴짜일 수도 있다. 그를 진정한 기업가로 키운 것은 “세상을 바꿔보겠다”는 이상이다. 2005년 12월 실리콘밸리의 한 투자자는 최신 전세 제트기까지 주커버그에게 보내며 극진하게 대접했다. 페이스북을 인수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주커버그의 반응은 덤덤했다. “방금 제 아파트 보셨잖아요. 돈은 그리 필요하지 않아요. 제가 페이스북만큼 좋은 아이디어를 다시 낼 수 있을 것 같지도 않고요.” 2006년 야후가 10억 달러에 인수를 제안했을 때는 지인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회사 사람들의 인생을 바꿔놓을 수도 있을 만큼 어마어마한 돈이야. 그런데 우리에게는 회사를 파는 것 말고도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기회가 너무 많아.”
페이스북 매출은 올해 20억 달러에 달한다. 기업가치는 337억 달러(약 40조원)로 평가된다. 기업공개를 할 경우 세계 역사상 최대 규모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작 주커버그는 여전히 열린 세상에서 사람들이 함께 시간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하는 데에만 관심을 기울인다. 페이스북 안에서 누구라도 게임·쇼핑 기능을 자유롭게 개발할 수 있다. 다른 기업과 사이트 역시 페이스북의 ‘좋아요’ 아이콘을 통해 예상치 못했던 거대한 소비자들과 만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개방된 플랫폼은 인터넷 전체를 점점 ‘소셜’하게 진화시키고 있다. 페이스북의 미래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중앙 선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