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어의 형성 |
(1) 파생법에 의한 단어의 형성 / (2) 합성법에 의한 단어의 형성 / (3) 한자에 의한 단어의 형성 |
※ 단어 : ① 단일어 : 하나의 실질 형태소로 이루어진 말 ② 복합어 : 파생어와 복합어로 나누어진다. ㄱ. 파생어 : 실질 형태소(어근) + 형식 형태소(접사) ㄴ. 합성어 : 실질 형태소(어근) + 실질 형태소(어근) |
(1) 파생법에 의한 단어의 형성
1) 어근과 접사
1>어근 -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이 되는 부분.
2>접사 - 어근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거나, 어근의 품사를 바꿔주는 형식 형태소.
㈀위치에 따라
① 접두사 - 어근의 앞에 붙는 것. 예) 맨손, 덧버선
② 접미사 - 어근의 뒤에 붙는 것. 예) 덮개, 지붕(집 + 웅)
㈁기능에 따라
① 한정적(同種的)접사 - 품사는 그대로 두고 어근의 뜻만 제한하는 것. 예) 집 + 웅, 덧 + 버선
② 지배적(異種的)접사 - 품사를 바꾸는 접사. 예) 덮개(동→명), 사람답다(명→형)
2)접두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
1>뒤에 오는 어근의 의미를 제한할 뿐이고 품사를 바꾸지 못함.
예) 한정적 접사
2>관형사성 접두사(명사 앞에 붙는 것)와 부사성 접두사(용언 앞에 붙는 것)가 붙어서 파생됨.
예) 갓스물, 개소리, 애호박, 맨손, 들볶다, 시퍼렇다, 설익다, 깔보다
3)접미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
1>명사로 파생됨
① 명사 + 접미사
예) 송아지, 선생님, 김씨, 모가지(목+아지)
② 동사, 형용사 어근 + 접미사(-(으)ㅁ,-이,-기,-개,-애)
예) 슬픔(슬프+ㅁ), 물음(묻+음), 벌이, 크기, 쓰기, 지우개, 마개(막+애)
2>동사로 파생됨
① 동사 어근 + 접미사(치,이,히,리,기) 예) 놓치다, 먹이다, 잡히다, 벌리다
② 명사 + 접미사(-하) 예) 위반하다
③ 부사 + 접미사(-거리,-하) 예) 꿈틀거리다, 철렁거리다, 더하다
④ 형용사 어근 + 접미사 예) 밝히다, 눅이다, 높이다, 낮추다, 늦추다, 넓히다
3>형용사로 파생됨
① 형용사 어근 + 접미사 예) 까맣다(깜+앟다), 높다랗다, 동그랗다
② 명사 + 접미사 예) 가난하다, 학생답다, 슬기롭다, 값지다, 기름지다, 자연스럽다
③ 부사 + 접미사 예) 차근차근하다, 보드랍다(보들+압다)
④ 관형사 + 접미사 예) 새롭다
⑤ 동사 어근 + 접미사 예) 아프다(앓+브다), 디덥다(믿+업다)
4>부사로 파생됨
① 동사 어근 + 접미사 예) 마주(맞+우), 너무(넘+우), 차마(참+아), 비로소(비롯+오)
② 형용사 어근 + 접미사 예) 자주(잦+우), 많이, 깨끗이, 높이, 달리(다르+이), 급히, 없이, 건강히
③ 부사 + 접미사 예) 곳곳이, 집집이, 더욱이, 일찍이
④ 명사 + 접미사 예) 정성껏, 힘껏, 진실로, 정말로
5>조사로 파생됨
① 동사 어근 + 접미사 예) 조차(좇+아), 부터(붙+어)
② 형용사 어근 + 접미사 예) 같이
③ 명사 + 조사 예) 밖에
■ 보충 학습
* 접미사의 표기
받침이 있는 어근 아래에 모음으로 된 접미사가 붙을 때는
① 원형을 밝힐 수도 있고 예)많이, 없이, 물음, 벌이
② 원형을 밝히지 않고 이어 적기도 함. 예) 모가지, 마주
(2)합성법에 의한 단어의 형성
1) 합성법의 유형
1>통사적 합성법 : 우리 말의 일반적 단어 배열과 같은 유형의 합성.
(명+명, 관형어+명, 주어+서술어, 부사어+서술어……)
예) 돌다리, 작은형, 힘들다, 앞서다
2>비통사적 합성법 : 우리 말의 일반적 단어 배열에 어긋나는 합성.
(용언의 어근 + 명사)
예) 묵밭(묵은 밭), 늦더위(늦은 더위), 부슬비, 날뛰다, 굳세다
※ 참고 - 우리말에서 조사는 생략이 가능하나 어미는 어렵다. 그래서 어미가 생략되면 비통사적 합성어가 된다
2) 합성법의 갈래
1>명사로 합성됨 : 명+명, 관+명, 관형사형+명, 의태부사+명
예) 길바닥, 사람사람, 새해, 날짐승, 늦잠, 부슬비
2>동사로 합성됨 : 주술관계, 목술관계, 부술관계, 본동사+연결어미+보조동사, 어간+어간
예) 힘들다, 본받다, 앞서다, 돌아가다, 들어가다, 날뛰다
3>형용사로 합성됨 : 주술관계, 어간+어간, 부술관계
예) 손쉽다, 수많은, 굳세다, 남부끄럽다
4>부사로 합성됨 : 명+명, 관+명, 부+부
예) 밤낮(늘), 온종일, 곧잘, 죄다
■ 보충 학습
* 반복 합성어(첩어) : 같은 말이 반복되어 이루어진 합성어.
예) 사람사람, 집집, 하나하나, 몇몇, 두고두고, 구불구불
3)합성어의 파생
1>합성어에 다시 접사를 붙여 새로운 파생어를 만들기도 함.
예) (해+돋)+이, (품+갚)+음, (팽이+치)+기, (나+들)+이, (다+달)+이, 되+(돌아+가다), (소금+굽)+이
4)합성어의 의미상 갈래
1>병렬관계 : 두 단어나 어근이 본래의 의미를 가지고 대등한 자격으로 연결된 말.
예) 마소(말+소), 높푸르다, 오가다
2>유속관계 : 두 단어나 어근이 본래의 의미를 가지되,서로 주종 관계로 연결된 말
예) 국밥(국+밥), 소나무, 돌다리, 돌아보다
3>융합관계 : 두 단어나 어근의 뜻이 없어지고 하나의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말.
예) 밤낮(밤+낮)(늘), 춘추(춘+추)(나이), 세월(세+월)(시간), 광음(광+음)(시간), 돌아가다(돌아+가다)(죽다)
■ 보충 학습
* 접미사 '-장이'와 '-쟁이'
① 기술자에게는 '-장이' 예) 미장이, 땜장이, 갓장이, 양복장이
② 성질, 행동, 모양의 뜻에는 '-쟁이' 예)멋쟁이, 심술쟁이, 앉은뱅이
(3)한자에 의한 단어의 형성
1) 한자의 특성
1>각 글자가 형태소이며, 새로운 단어 형성이 얼마든지 가능함.
2>접사와의 결합을 제외하고 2음절 이상의 한자어는 모두 합성어이다. 예) 미적(美的), 지적(知的)
2) 한자어의 단어 형성
1>서술어+목적어 : 問病(문병), 求職(구직), 植木(식목)
2>부사어+서술어 : 徐行(서행), 雲集(운집), 必勝(필승), 前進(전진)
3>서술어+부사어 : 下山(하산), 歸鄕(귀향)
4>주어+서술어 : 夜深(야심), 山高(산고)
■ 보충 학습
* 동사(의 명사형)와 (파생)명사의 구분
'-(으)ㅁ,-기'
1. 서술성이 없거나, 관형어의 수식을 받으면 (파생) 명사.
예) 다음 보기에서……, 좋은 그림은 비싸다.
2. 주어에 대한 서술성이 있거나, 부사어의 수식을 받으면 동사(의 명사형).
예) 나 보기가 역겨워……, 복잡한 것을 빨리 그리기는 어렵다.
* 파생어와 합성어
돌 + 배 + 나무 시 + 부 + 모
(접사) (어근) | | (어근) (어근)
|.......| | | |........|
파생어 + (어근) (접사) + 합성어
|..............| |............|
합성어 파생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