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 생일날 북한공군이 美 정찰기(EC-121기 사건)기습공격
1969년 4월 15일 오후 美 해군 7함대 소속 비무장 정찰기
동해 상공서 북한 전투기에 피격…승무원 31명 전원 사망
기사사진과 설명
1969년 4월 15일 북한군 기습공격에 의해 격추된 미군 EC-121기와 동종의 항공기. 연합뉴스 |
기사사진과 설명
미 정찰기 EC-121기 격추 당시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 북한 에대해엄중항의하는모습. 연합뉴스 |
기사사진과 설명
북한군 공군 조종사. 연합뉴스 |
● 계획된 기습공격, 미군 31명 사망
EC-121기 사건은 1969년 4월 15일 오후 1시50분쯤, 미 해군 7함대 소속의 비무장 정찰기가 동해 상공에서 북한 전투기에 피격당한 사건이다. 당시 정찰 임무 중이던 EC-121기는 북한 연안에서 90해리 떨어진 지점에 추락했다. 이 사고로 미군 승무원 31명 전원이 사망했다. 북한은 정찰기가 자국 영공을 침범했다고 주장했지만, 미국은 연안으로부터 40해리 이내로는 접근하지 않았다고 했다. 당초 EC-121기의 임무는 일본 아쓰기(Atsugi) 기지를 이륙해서 북한 연안과 평행선을 그으며 함경북도 무수단 근해의 목표 상공까지 비행 후 오산기지로 돌아오는 것이었다.
탈북자들은 이 사건을 북한의 치밀한 계획하에 이뤄진 기습공격이었다고 이야기한다. 이들에 따르면 북한은 미군 정찰기를 격추하기 위해 평양 인근의 비행장에서 전투기를 분해해 기차에 싣고, 함경북도 청진 부근의 어랑비행장에 옮겨 놓았다는 것이다. 당시 어랑은 조종사 훈련부대로 훈련기 이외에 전투기는 없었다. 이를 미군도 잘 알고 있었다. 옮겨진 전투기는 활주로 상에 위장해 놓았다. 전투기의 중량을 가볍게 해 이륙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미사일도 1발씩만 부착했다. 미군의 레이더를 피하기 위해 개마고원 지역에서 저공비행 훈련도 했다고 한다. 결국 4월 15일 EC-121기는 동해 상공에서 북한 MiG-21 전투기의 미사일에 격추당했다. 이날은 김일성의 57회 생일이었다.
● 미국, 무력시위 외에 구체적 보복 못해
사건 발생 직후 미 국방부는 소련·중국·쿠바 등지에서의 정찰비행을 일시적으로 중단시켰다. 그리고 항공모함 4척을 포함, 40척의 전력을 동해로 보내 무력시위를 전개했다. 미 행정부 내에서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 보복이나 배상요구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력히 제기됐다. 그러나 이행되지는 못했다. 4월 18일 제290차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본회의에서도 이 문제를 다뤘지만 별다른 해결책은 찾을 수 없었다. 북한에 대한 전술 핵무기 사용 등 25개의 행동계획이 포함된 긴급계획(Contingency Plan)이 수립되긴 했지만 이 또한 장차 유사한 사건이 재발할 경우를 대비한 것이었다.
1년 전 정보수집함 푸에블로호가 북한에 피랍됐을 당시 닉슨은 미온적인 대응을 한 존슨 대통령을 비난했었다. 그러나 정작 본인이 대통령이 된 상황에서 무력시위 외에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한 것이다. 당시 백악관 안보보좌관이었던 키신저는 회고록을 통해 그 이유를 세 가지로 밝혔다. 첫째는 미국이 중국과 관계 개선을 추진하고 있었던 점, 둘째는 닉슨 행정부가 출범한 지 3개월이 채 되지 않았던 데서 오는 조직의 미숙함, 셋째는 당시 미군 전력 중 24시간 이내에 어떠한 군사력도 이동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당시 베트남전쟁이 진행 중이었던 것도 고려 요인이 됐을 것이다. 결국 미국은 5월 8일 이후 전투기의 엄호 아래 정찰기의 비행을 재개하는 것으로 사건을 일단락 지어야 했다.
● 북한공군, 6·25전쟁 기간 급속한 성장 이뤄
그렇다면 당시 북한의 공군력은 어느 정도였을까? 북한공군은 6ㆍ25전쟁을 거치면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뤘다. 전쟁 초기 226대의 항공기를 보유했지만, 미 공군에 의해 궤멸되다시피 했다. 그러나 전쟁 기간 만주와 연해주, 모스크바 등지에서 소련의 지원으로 조종사를 양성하고, 제트전투기인 MiG-15기를 지원 받았다. 그 결과 1953년 6월에는 병력 1만547명에 항공기 492대, 그리고 3개 전투비행사단, 1개 폭격사단, 2개 독립폭격연대를 보유하게 됐다. 전쟁 이전에 비해 놀라운 성장이었다. 1953년 9월 21일 MiG-15기를 몰고 남한에 귀순한 노금석은 북한공군의 이러한 전력 증강 과정을 상세하게 확인해 주었다.
북한은 이후에도 중국과 소련의 지원으로 공군력을 증강시켜 1958년에는 제트전투기 622대를 포함해서 약 870대의 항공기와 28곳의 비행장을 보유하게 됐다. 1970년에는 한국공군과 비교해 2배 이상의 수적 우위에 설 수 있었다. 북한은 이 같은 공군력을 1967년 베트남전쟁과 1973년 4차 중동전쟁에 파병해 실전 경험을 쌓게 하였다.
●김정은 시대 북한 공군
국방부가 발행한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은 1650여 대의 항공기 중 820여 대가 전투기다. 그러나 MiG-29기 등 일부 기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구형이고, 유류 부족으로 정상적인 비행훈련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다. 과거에 비하면 공군력이 많이 약화됐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최근 김정은의 공군에 대한 관심이 여러 곳에서 확인되고 있다. 지난 4월 15일에는 제1차 비행사 대회를 개최하고, EC-121기를 격추한 미그기 1대를 전시했다. 5월에는 전투비행기술 경기대회에 참석하면서 자신의 전용기를 공개하기도 했다. 공군부대 방문도 올해에만 네 차례나 된다. 김정은은 왜 그랬을까? EC-121기를 격추하고, 베트남전쟁과 중동전쟁에 참전했던 북한공군을 다시 부활시켜보려는 의도는 아닐까? 김정은의 ‘속셈’이 무엇이든 EC-121기 사건에서 보듯 북한은 언제나 기습공격을 해왔다. 여기에는 철저한 대비만이 상책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