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고지에서 지리주능선을 조망하려했지만 깨끚한시야가 허락하지않고 하산길에 지리산 둘레길에서 지리 천왕봉을 올려다본다 ↓

함양『삼봉산(三峰山 )』ㅡ 1187m
◈언제:2020/6/21일(일요일)
◈소재지: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마천면과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경계
◈코스: 오도령→오도봉→삼봉산정상→큰깍음봉→등구재→지리산둘레길→창원마을회관
◈거리 : 10km GPS실거리
◈시간 :(느림속의 여유시간)
◈교통: 자가용
◈네비:오도재
◈누구랑 : 울부부 산행은 나홀로
◈날씨 : 더운날씨 간간히 시원한 바람불어줌
◈시야와 조망상태: 안좋음 연.박무가 심했음
5년전에 지리산 둘레완주했는데
요즘들어 자꾸생각이난다 워낙 보는 힐링이 많았지만 지리산 주위를 빙빙 잡아돌면서
주위의 있는 산들 들.날머리를 지날때마다 머리속에 짱박아놓고 생각 날때마다 올라봐야겠다 맴묵었는데
이더위에 생각나는것은 왜그럴까? 아마도 더위를 극복하면서 둘레길을 했기에 이계절에 자꾸 생각난것 같드만
구례에있는 견두산 하동에있는 형제봉 글고 이번에는 둘레길 3코스때 짱박았던 삼봉산이 생각나더라 해서 시행에 드가는데
마눌이 얼마전에 다림질하다 발목주위에 화상을 입고 현제 치료중이기에 같이 산행은 못하지만 산행지까지 동행해서
떨구고 나홀로 산행에 드가는데 날씨는 보통이라 하여 내심 시야를 기대했지만 연.박무가 심해 오름중에는 지대로 못보고
하산중에 그나마 조망을 했구만 그나저나 더워서 산행이고 나발이고 이제는 못하겠만
개 념 도 ↓

G.P.S.구글위성트랙 ↓

수직고도표 ↓

산행기와 이미지 ↓

삼봉산은 어떤산인가 ?
높이 1,187m·소백산맥 남단에 솟아 있으며,
주위에 백운산·법화산·상산 등이 있다.
동서로 길게 뻗어 있으며,
전 사면이 급경사를 이루어 산세가 험하다.
남쪽 산록은 백운산·지리산 등으로 이어져 지리산국립공원과 접하고,
북쪽으로는 상산·월경산·덕유산으로 이어져 덕유산국립공원과 연접해 있다.
지리산 주능선을 시원하게 보고싶어 먼길을 달려왔구만 ↓

역시 새벽3시에 기상이다
준비하고 아침묵고 4시쯤에 출발한다
무주쯤에 지나가니 웬소나기가 오는지 예보에는 없지만 암튼 10여분간 신나게 소나기 헤치며
함양시내를 가로질러 빠져나오니 이런 구불이길이 나오더만 짧은것이 흠인디 암튼 보기는 좋구만 ↓

구불이길은 지안재란다 광고에도 나왔다고 하는디 나는 첨본다 ↓

구불이길에서 약 5분여 올라오니 오늘산행들머리 오도재가 나오더만 해발773미터란다 ↓

오도재는
함양에서 지리산으로가는 가장 단거리 코스란다 유래는 이러하고 ↓

오도재에도착허면 눈에띄는것은 제1관문이다
지리산 제1문은 오도재 정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예부터 이 곳에는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 방장 제1문이 2개 있었으나
나무로 된 문은 6.25때 불타고 없어졌으며 돌로 만든 문이 아직 존재하고 있다. 2
005년 초에 오도재 옆 금대산에서 돌로 만든 방장 제1문의 표지석과 바위에 새겨진 방장 제1문에 관한 칠언시를
찾아냄으로써 지리산 제1문의 역사성이 증명되었으며
함양군에서는 2006년 11월 1일 지리산 제1문을 오도재 정상에 준공하였다 ↓

부연설명 ↓

오도재 주차장이다 ↓

마눌 1주일전에 발목화상을 입에
산행하기에는 무리라 여기다 띵겨놓는다
집에있는것보다 그래도 이런 콧바람이라도 쐬어야 기분전환이 될것같아 여기다 띵가놨지만 그래도 허전하구만 ↓

제1관문계단을 올라
좌측으로는 법화산으로 오르고 삼봉산은 우측으로오르는데 초입에 이런저런 시비석이
전시되어있더만 지리산이란다 읽어는 봤지만 몆일이나 기억하고 있을지 ↓

글고 등산안내도가 있더만
내심 백운산 금대산까지 가볼까나 계획했지만 언제 맴이 바뀔지는 나도모르겠다 ↓

산신각 앞을 지나 본격적인 산행길로 드간다 ↓

낡은 이정표 안내에 따라 ↓

나무계단을 올라 ↓

근디 땅이 약간 축축하다
먼지는 안나 좋지만 축축한날씨에 더위까지 합류하면 습식싸우나는 저리가라할텐데
일단은 간헐적으로 바람이 불어준다 아즉은 시원하다 ↓

꾸준한 오름은 잠시 여그서 멈추고 폐헬기장같고 관음봉으로 생각이들지만
암튼 아즉까지는 조망공간은 없고 등로또한 전형적인 육산등로이더만 여기서 잠시 내림으로 진행되고 ↓

등로좌측으로는 잘 조림된 낙옆송이 보는힐링을 주고 ↓

짧은 내림이 끝나고 안부에서 다시 올라오니 이정표와 헬기장봉이 나오는데 ↓

이제야 온전한 이정표가 나온다 ↓

조망공간은 없고 등로또한 특별한게 없어
카메라에 담을만한 이미지가 없구만 그렀다고 정상까지 냥 가기도 그렀고 혹시나 저위에 오르면 조망공간이
있을까 기대하고 오르니 역시 꽝이다 ↓

짧은 오름과 내림을 반복한다
이제 갈증도난다 입맛다지며 꺼내본다 잉? 아즉 절반은 얼음이다
이틀전부터 얼렸다 신문지 벗겨내고 한번 흔들어주고 정상에서 마시면 딱이겠다
근디 병색깔이 다르다 마눌이 그러는데 이마트에서 샀는데 같은것인데 색깔이 바뀌었단다 ↓

얼마나 올랐나
갑자기 뻥뚤린 봉우리가 나오는디 알고보니 오도봉 전위봉으로 전망공간이 있더만
이제야 첫 조망이다 ↓

봉우리에서는 약간 답답해서 여그로 올라본다 ↓

올라온 능선이다 저봉우리는 관음봉으로 짐작하고 그뒤는 법화산인디 찐한 곰탕에 말았구나 ↓

이번에는 지리 주능선이다 이것보고 싶에 올라왔는디 역시 곰탕이구만 ↓

천왕봉 땡겨본다
왼쪽부터 하봉 중봉 천왕봉인디 아쉬운 맴이구만 ↓

그나마 맞은편에 있는 삼봉만이 체면치레를 하는구만 ↓

우측끝이 정상이단다 ↓

너라도 온전하게 보여주니 ㅎㅎㅎ ↓

찝찝한 조망마치고 오도봉에 도착한다 ↓

오도봉 정상석 근디 함양소재 정상석은 거의 뻘건색인데 눈에 잘 들어와라고 그랬나?
꼭 중국이 연산되는데 ↓

오도봉이정표 ↓

오도봉에서 내려갈만큼 내려가서 다시 치고올라오면 ↓

이런조망공간이 있더만 ↓

정상이 코앞으로 보이지만 막상 올라가보니 만만치 않더라 ↓

올라온능선 오도봉과 관음봉 법화산 이 ↓

다시 지리주능선 ↓

지도상에는 촉동마을이라는데 ↓

버린건지 보관하는중인지는 몰라도
설마 이거 짊어지고 올라왔나 공사장비같은디 ↓

수풀이 왕성한 헬기장을 지나 ↓

직진은 가지 말라고 한다
우측으로 우회하라한다 우측 테크계단으로 내려간다 ↓

보아하니 암능때문에 우회하라는 것 같은데 ↓

우회해서 내림과 오름으로 이제는 숨이 목까지 찰쯤
쩌그 뻥뚤린 곳이 아마도 정상인것을 직감하고 ↓

정상에 도착한다 ↓

정상에서의 조망은 올라온 능선만 조망하고 지리조망은 곰탕때문에 생략하기로한다 ↓

에~~이 그래도 천고지인디 덩치값도 못하나 ↓

첫댓글 일요일날은 금강쪽도 히멀거쭉쭉했구만 .....
이제는 더워서 계곡이나 찾아댕겨야 되것어 .....
좋~~~지요
그래도 댁에서 잘 주무셨다니 다행입니다.
위없는 사람은 역류가 고통입니다
역류시작하면 밤새도록 않아서 자야합니다
과식이나 소화불량이면 나타나는 증상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