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그림책 체화과정은
그림책과 함께 아래의 물음들을
따라 가보는 과정입니다.
1. 왜 나의 삶에 ___ 그 일이 일어났을까?
왜 그 일이 일어나야 했을까?
2. 내 삶은 나에게 무얼 알게 하려는 걸까?
3.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나?
자아초월과 심리영적발달에 대한 체험과
인식을 그림책 포커싱으로 따라가봅니다
11월 7일 개강 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림책체화4 S영그림책과정
(온라인 8주, 대면 6시간)
일시: 11월 7일 ~ 12월 26일 매주 (목) 저녁 7:45-10:00(비대면 Zoom)
12월 7일(토) 오전 9시 45분~ 오후 4시 (대면)
인원 : 10명 이내
신청 : https://naver.me/Ged9rnxz 마감
* 과정 상세 문의는 sheentp@hanmail.net
영 그림책(spiritualizing Picturebook) 이란?
지금까지의 과정이
몸의 감각느낌을 통한 자기이해와 수용의 과정이었다면,
영그림책 과정은 자기를 넘어서는 의미추구
심리영적발달에 대한 과정입니다.
초월하고 내포하는...
모든 연결
겹겹이 쌓인 존재의 대둥지 안과 밖
어디에든 언제든 있는
나와 너, 그리고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에
깃든 신성을 만나 봅니다
개요
1. 그림책 속 영적 차원을 통해
자신의 영적 여정을 알아차리기
2. 영 그림책에서 자신만의 영적 내러티브 발견하기
4. 오래된 자신의 이야기와 영적 여정을
연결하고 따라가보기
일정
1강 영 그림책, 위대한 보이지 않는 것
2강 자아초월 성향, 하늘 보기
3강 의미에의 의지, 나는 생명인가?
4강 죽음, 처음이 무엇이지? / 닿, 연결그림책 만들기
5강 과정지향, 빛을 따라서
* 대면: 그림책 회절적 읽기/ 뫼비우스 그림책 구조 만들기
6강 간츠펠트, 완전한 영역 / 뫼비우스 그림책 나누기
7강 나의 영 그림책, 어떤 영적 내러티브를 원하나?
8강 오래된 영적 내러티브, 온전하고 아름다운 세계의 사람
* 영그림책 보고서 제출 시(1회 이내 결석만 인정), 과정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 한국독서치료학회 독서치료사와 독서치료전문가 자격에 필요한 시간 30시간.
<독서치료와 심리학>, <문학과 독서치료> 자격시험 과목 시간 인정
PDFS 그림책체화의 모든 과정은
강의, 집단상담과 그림책워크숍으로 진행됩니다.
그림책에 대한 경험이 없는 분도 무방합니다.
기존의 그림책 읽기 방식과는 다른 접근이므로
단지 그림책에 대한 이해를 위해 참여하는 경우에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림책 몸으로 읽기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찾고, 심리영적발달의 내러티브로
나아가려는 분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경이로운 시간이 될 것입니다.
신혜은 교수
성균관대 학사 석사 박사
Florida Atlantic Univ. 심리학과 Post-Doc.
그림책심리학자, 발달심리학자,
그림책 글작가, 독서심리상담전문가
한국독서치료학회 회장,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 KBBY 부회장,
그림책협회 부회장, KBBY 장애아동도서추천위원회 실행위원장 역임
현,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한국문화교육학회 부회장,
지은 그림책으로 조개맨들, 내이름, 비가오면, 나비잠, 마음아 작아지지 마 등
번역 그림책으로 이색다바나나, 내안에내가있다, 가만히 들어주었어, 기억의 끈, 피아노를 쳐줄 게 등
저서 청소년을 위한 상호작용 독서치료, 영유아교수방법, 번역서 발달과학 등
논문
발달장애인과 함께하는 그림책 예술교육: 점그림책 만들기에 관한 예술기반연구(2023)
K-그림책 30년 체계모델접근분석: 장르의 변화와 삶, 관점의 변화(2022)
[그림책, 길을 걷다] 인문 활동 사례 분석: 문화역사활동이론의 관점에서(2020)
독서치료의 뇌과학적 기반을 위한 고찰(2018)
인지, 문화인지, 문화예술의 관계(2017)
영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윤리강령을 중심으로(2016)
포커싱 몸그림책 예술치유과정에 대한 탐색(2015)
외상후의 현상학, PTSD에서 PTG 까지(2014)
그림책에서의 문화인지: 체화인지의 관점에서(2014)
모두를 위한 그림책,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새로운 문화인지의 관점에서(2014)
문화인지로서의 그림책 공간 읽기: 몸으로 체험하는 그림책 공간(2013)
문화인지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체화이론과 발달적 체계접근을 기초로(2013)
그림책 표현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 점그림책 만들기(2012)
그림책 치료의 새로운 접근: 그림책 몸으로 읽기와 첫그림책 찾기(2012)
그림책과 삶예술교육(2011)
그림책 번역시 나타나는 제목의 번형과 그이유(2011)
그림책을 통한 행복감에 대한 연구(2009)
The adaptive nature of children's overestimation in a strategic memory task(2007)
내러티브를 통한 세계이해 교육(2006)
아동의 목적론적 사고의 적응적 가치(2006)
아동발달에 대한 진화발달적 관점(2005)
아동의 자기과대평가의 적응적 가치(2005)
영아기 그림책 맥락의 발달적 적합성(2005)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