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관 수행과 심신치유 적용 ─상좌불교 전통의 호흡관과 MBSR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Mindfulness of Breathing(Ānāpānasati) and its application to Psychosomatic Therapy
저 자 ; 안병희(일중) 동국대학교
발 행 ; 불교학연구회
아래의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키 워 드 ; 호흡관(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 붓다의 수행법 4념처 사마타와 위빠싸나 심신치유 존 카밧진 마음챙킴에 근거한 스트레스 완화(MBSR) 프로그램
Ānāpānasati(Mindfulness of Breathing), Buddha’s meditation,Four Satipaṭṭhāna, Samatha and Vipassanā, Psychosomatic therapy,Kabat-Zinn, MBSR, MBCT
초 록
본 논문은 남방 상좌불교 전통에서의 호흡관 수행과 이 호흡관의 심신치유 적용에 관한 것이다. 빨리(Pāli) 문헌들과 상좌불교 수행전통에 의하면, 호흡관 수행은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즉, 호흡관은 석가모니 붓다가 직접 수행하였고 깨달음을 얻었던 수행법이라는 점, 신수심법 4념처를 다 성취하고 포섭한다는 점, 사마타 수행과 위빠사나 수행으로 다 적용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다른 수행법들과의 비교분석에서 제시한 4가지 조건들을 모두 다 충족시킨다는 점이다. 붓다가 가르친 50여 가지의 다양한 수행법들 중에서 각각의 수행법들이 가진 기능과 역할을 비교 분석 해볼 때, 호흡관 수행은 수행의 출발점부터 도착점까지 다 가능하게 하는 가장 완벽한 수행체계를 가진 가장 중요한 수행법이라는 점이다.
빨리(Pāli) 문헌에 나타난 호흡관 수행의 이익과 결실들에 의하면, 호흡관 수행은 탁월한 심리치유 기능을 가졌다. 서양의 심신치유 프로그램에서 이 호흡관 수행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몇 가지 예들을 살펴보았다. ‘마음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완화(MBSR)’프로그램에서는 호흡명상뿐만 아니라 바디스캔, 정좌명상, 걷기명상, 마음챙김 요가명상 등에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을 기본적으로 다 수반시키기 때문에, 8회기 전반에 걸쳐 호흡명상이 직접 간접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마음챙김에 근거한 인지치료(MBCT)’에서도 3회기에 3분 호흡 공간’이란 방법으로 제시되는데, 무의식적 자동반응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잘 구조화되어 있었고, 변증법적 행동치료(DBT)에서도 호흡명상을 몇 가지 측면으로 변화 있게 제시한다. 또한 심리치료 현장에서 상담자가 내담자를 상담하면서 호흡 명상의 원리를 잘 적용하고 있음도 나타난다.
불교수행을 서양의 심신치유 프로그램에서 적용하는 것은 분명 현대의 새로운 흐름이다. 이제는 불교수행이 불교라는 테두리를 넘어서서 고통 받는 수많은 사람들을 치유하고 지혜와 통찰의 빛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시사점이 많다.
목 차
Ⅰ. 머리말
Ⅱ. 호흡관 수행의 독특한 특징과 중요성
1. 호흡관은 붓다 자신이 직접 수행했었고 깨달음을 얻었던 수행법
2. 단일한 호흡관 수행이 4념처를 다 포섭한다
3. 호흡관은 사마타 수행과 위빠사나 수행에 다 적용 가능하다
4. 호흡관 수행과 다른 수행법들과의 비교분석
5. 현재 남방 상좌불교 수행전통에서의 호흡관 적용
Ⅲ. 호흡관 수행의 심신치유 프로그램 적용
1. 빨리(Pāli) 문헌에 나타난 호흡관의 수행결실로 본 심신치유의 측면
2. 호흡관 수행이 심신치유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실례
1) MBSR 프로그램에서 적용하는 호흡관 수행
2) MBCT 프로그램에서 적용하는 호흡관 수행
3) DBT 프로그램에서 적용하는 호흡관 수행
4) 심리치료 현장에서 적용하는 호흡관 수행
Ⅳ.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