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가사가 위치한 곳이 삼각산의 우측의 보현봉, 좌측의 문수봉(아래 문수사) 중간에 위치해 있기에
대웅전을 세운 것 같습니다.


신중단입니다.

대웅전 좌측의 나반존자님입니다.



비가 올듯 말듯한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대도행이 남지심님의 수필을 20여년 전에 읽고서 승가사에 가보고 싶다고해서 이제서야 같이 한 번 가게되었습니다.(송구합니다)
당연히 등산은 아니고 비봉주차장에 차를 두고 여기서부터 승가사행 봉고타고 갑니다. (1000원/인당)
차타기 전에 뒤의 보현봉을 배경으로 한컷.


차에서 내려 중앙 계단을 오르기 전에
승가사를 건립했다는 사적비가 큼직하게 서 있습니다.

청운교라고 이름이


올라가는 도중에 여기는 백운교라는 이름이.

오르다가 뒤로 돌아서

뒤로, 흐릿하지만 보현봉이 보입니다.
(보현봉 아래는 기氣가 세다고 해서 가끔씩 기도하는 사람이 가는 곳, 사실은 출입금지지역)




9층 석탑이라고해야 하나요. 몇 백년 인고를 세월을 견뎌내면 후대에 보물로 되겠지요.





거대한 바위 뒤로 명부전이 희미하게 보입니다.

바위 틈새 뿌리를 내린 나무가 인상적입니다.


보물 제1000호로 지정된 승가대사 상이 모셔진 약사전입니다.




약사전의 승가대사 광배.(뒷면에 고려시대에 조성된 기록이 있다고 함)
다른 예불하는 불자가 있어 사진 찍느라 방해할 수 없었기에 자세히 못 찍었으며
아래 위 사진 2장은 다른 곳에서 인용.









쌍룡교와 연화교 아래의 물길 모습입니다.
(다른 사이트에서 인용)
고려시대에 조성된 보물 제215호 마애불입니다.


다른 곳에서 캡쳐한 야경사진입니다.



향로각에서부터 마애불까지 108계단입니다.

향로각 위의 연꽃 봉우리가 아주 멋있습니다.


대웅전 뒤에서 향로각으로 오르는 길은 자연의 돌을 약간 갈아서 계단을 내었습니다.


종무소 안에 있는 만공스님의 법훈이라고 걸려있어 담았습니다.
읽기가 쉽지않아 아래에 다시 적었습니다.

사람이 만물(萬物)가운데 가장 귀(貴)하다는 뜻은 나를 찾어 얻는데 있느니라.
불법(佛法)은 이론(理論)이나 사량(思量)으로는 아는 도리가 아니이라.
허공(虛空)이 가장 무서운 줄을 알어야 하느니라.
물심(物心)이라면 우주(宇宙)의 총칭(總稱)인줄 알지마는 나의 법문(法門)못 듣는 것이 나의 임종게(臨終偈)니라.
감사합니다, 아미타불_()_
첫댓글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부처님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
조병선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_()_
서미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승가사 구석구석 자세히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나무아미타불 _()()()_
초모롱마님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궂은 날씨임에도 승가사를 찾으신 대도행님, 명관거사님 참 행복하십니다~
거기에 자세하게 소개 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나무아미타불_()_
하늘나루터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승가사 갔을 때는 산행 말미여서 이처럼 자세히 보지는 못했네요... 덕분에 승가사 이모저모를 자세히 보았습니다. 명관님 대도행님 설날선물 감사합니다, 아미타불_()_
여여성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대도행님이 읽었다는 책이름이 궁금하네요,너무 가고 싶어갔지만 제대로 보지는 못하고 대웅전하고 탑만 보고 왔네요 명관거서님 더분에 다시 자세히 보게됩니다.아미타불_()_
법흥심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콩트집 "새벽하늘에 향 하나를 사르고". 감사합니다.
드디어 가 보았네요. 승가사를... 20년 전부터 가 보고 싶었거든요.
유명한 약사전에 가서 우리 식구대로 인등 하나씩 밝히고 왔네요. 기분 좋은 오늘입니다. 감사합니다. 아미타불_()_
늦었지만 함께해서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멋진 명관거사님 최고. 복많은 대도행 보살님 부럽^^ 승가사의 멋진 모습 즐감하고 갑니다. 나무아미타불_()_
주련보살님! 감사합니다. 오실 때 조심하세요. 아미타불-()-
명관님~이쁜 대도행님의 밝고 환한 모습이 하얀 연꽃이 피어나는 듯하네요...승가사 에너지가 그대로 전해옵니다!...감사합니다.나무아미타불_()_
언제나 밝고 맑으신 수형님! 참으로 감사합니다. 혹 마지막 글 법사님께 다음에 한 번 설명 부탁드립니다. 아미타불-()-
@明觀(김영호) 네...그리하겠습니다_()_
오늘도 한없이 감사드립니다..나무삼신일불 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산골님. 아미타불-()-
감사합니다. 아미타불!_()_.
현로거사 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다정하신 금강모범부부이십니다^^ 저희들은 월암큰스님께 세배드리고 왔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_()_
아! 더 잘하셨네요.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_()_
우진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명관님 ~ 감사합니다,아미타불
대명거사 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명관거사님과 대도행보살님 덕분에


나무아미타불()()()
맑고 아름다운 승가사 참배 함께 하며 행복합니다
맑은미소님 닠이 아주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명관 거사님 덕분에 아름답고 장엄한 승가사, 그리고 고아하신 대도행 보살님까지 잘 알현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_()_
도안거사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부처님께서 생사를 여읜 참나를 찾아 인간의 존엄을 꽃피웠습니다.
불법은 신해행증으로 증명되어지는 것
허공이 다만 공이 아니라 무량복덕을 구비하고 장(場; 인드라넷)으로 촘촘히 연결된 허공
물심 곧 명상名相은 가상가명이니 반야지혜로 명상이 본공한 실상을 투철하게 조견
이상의 법문도 대반열반 전의 법문(의언진여)이니, 만공대선사의 대반열반 이후 의언(依言)을 떠나 적멸이 들어나는 것이 곧 임종게(이언진여離言眞如)
뎅~~~ 종소리 천만율동이 멎은 자리(음종직후音終直後)를 일러보시게!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_()_
법사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
@明觀(김영호) 법사님,

감사합니다. 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많은 노고에 감사드리면서. 나무아미타불
현욱거사님 노고에 늘 감사 드립니다. 아미타불-()-
평생도반이신 가이드 사진도 한컷 하시지 않고 모델만 하신 분은.....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_()_
ㅎㅎㅎ 모델은 한 사람만 족하지요. 수다반 산행 사진 기대해봅니다. 아미타불-()-
질투의 화신이 또살짝 내려오려다 화락 도망간 자리, 승가사 사진과 말씀, 정성에 감사합니다^^. 아미타불_()_
보원님의 미소띈 모습이 그려집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