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가 사라졌다!결혼 한 달 전, 부모님 댁에 내려가던 중 휴게소에 들른 문호와 선영. 커피를 사러 간 사이 선영은 한 통의 전화를 받고 급하게 나가고, 돌아온 문호를 기다리고 있는 건 문이 열린 채 공회전 중인 차 뿐이다. 몇 번을 걸어봐도 꺼져있는 휴대폰, 내리는 빗속으로 약혼녀가 사라졌다.
그녀의 모든 것은 가짜다! 미친 듯 선영을 찾는 문호. 돌아온 그녀의 집은 급하게 치운 흔적이 역력하고 다니던 회사의 이력서까지 허위다. 단서가 사라질 즈음, 선영이 개인파산을 했었고 정작 면책 서류에 남은 그녀의 필적과 사진은 다른 사람의 것이라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진다.
가족도 없고… 친구도 없고… 지문도 없다! 내가 사랑했던 그녀는 누구인가?그녀를 찾으려면 진짜 이름부터 알아내야 하는 문호는 전직 강력계 형사인 사촌 형 종근에게 도움을 청한다. 통장 잔액을 인출하고, 지문까지 지우고 완벽하게 사라진 그녀의 행적에 범상치 않은 사건임을 직감하는 종근. 결국 그는 선영의 실종이 살인사건과 연관되어 있음을 본능적으로 느끼는데...
....
어찌 보면 뻔한 이야기 일수 있습니다.
아직 일본 원작을 보지 못한 관계로 한일의 감독의 관점과 그에 대한 비교는 못하겠습니다마는
영화 내용은 조금 아련 합니다.
실제 차경선(김민희)은 단지 평범한 행복한 삶을 생각 하고 바랍니다.
하지만 그렇게 될수 없는 현실에서 도망 치고자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으로 살길 바랍니다.
영화는 스릴러 장르를 표방 하지만 스릴러 보다는 어찌 보면 사회에 대한 경종을 울리는 사회학 관점의 영화가 아닐까 합니다.
이선균의 부드러운 목소리가 영화 전반에 로멘틱 하지만은 않은 답답함 그리고 압박감에 어찌 할바 모르는 심리를 묘하게 닮아 관객의 귀를 자극 하고 그의 심정마저 가슴에 와 닿는 느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로 사건에 대해 알아 가면 알아갈수록 가슴 한켠이 아려 오는 문호(이선균)의 심리상태가 목소리로 대변 되는 느낌이었네요...
화차 꽤 괜찮은 영화 였습니다.
지옥불로 달려가는 요괴 이든 helpless 처럼 아무것도 할수 없는 무기력한 상태이던간에.
흔히 이야기하는 운명을 거스러 보려는 경선(김민희)의 소름 돋는 연기도 남을 죽여야 자신이 원하는 행복을 쟁취 할수 있다는 믿음에서 착한 천사의 탈을 쓴 악마의 모습의 김민희도.. 이 영화 한편으로 이제 그녀의 연기력 논란은 없을듯 하네요.
처음 부터 죽 그리 긴장감은 없었습니다.
음향도 , 화면도 조금 밋밋한 그래픽에 실망을 한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놉시스 자체는 참 높게 평가할 만한 영화더군요..
그리고 영화 포스터에 광고 또한 사람의 궁금증을 자극 할만한 .. (누가 카피 했는지 잘만들었다는 생각이..)
보는 내내 의문점에서 가슴 한켠 먹먹함으로. 그리고 그런 현실에 대한 이해 또는 그럴수 밖에 없는 처절한 숙명.
그리고 왜 그럴수 밖에 없는가에 대한 의문점.. 사회적인 부조리...
영화 내용중에 상속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우리 나라에서 그건 현실이랍니다...
부채에 대한 상속... 사회에 대한 약간은 고발 ? 그런 부조리 땜에 망가지는 한 여인의 슬픔과 한..이 영화 곳곳에 있는듯하더군요.
주말 시간 되시면 이영화 한편 추천 드립니다.
자리에 앉아서 편하게 볼수 있는 영화 하지만 보고난뒤 뒤가 개운 하지만은 않은영화...
화차.. 이번 영화에 대한 평점은 10점 만점에 8점 주겠습니다. 왜냐면 끝마무리가 좀.... 어설펐던 기억이 나네요....
첫댓글 우리나라엔 부채에 대한 상속에 대해서 모든상속 재산을 포기하겠다는 관련법령이 있어 부채를 면할수 있는 방법이 있슴
단순히 상속 포기만을 보면 그렇습니다만 상속권에 대한 포기는 자신에게만 해당 되는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내 자식 에게도 그 상속 즉 체무가 이향 될수 있는 것이고 영화에서는 악덕 사체 업자에 해당 하는 것입니다. 또 시사 고발 프로에서 자신에 대한 상속 포기만 했다 자기 아들에게 몇억에 채무가 상속 되 아주 어린 나이에 빛이 몇억인 경우에 해당하는 이야기가 방영 된적이 있습니다.
상속 포기 하면 된다고 하지만 해당 사람에게 이어진 혈연을 제대로 파악 하지 못하면 골치 아픈 경우가 발생 할수 있습니다. 예전 대딩때 법학 수업 들으면서 이것에 대한 맹점을 들은적도 있고 현재는 개정이 됐는지는 모르겠네요.
우왕~필수 평론 멋지게 분석했네 ㅎ 잘지내지? 난 갠적으로 이영화보고 많이 찝찝했음...배우들 열연했겠지만
내용이 꿀꿀해서 남들한테 추천하기 별로인거 같은데 ㅎ 10점에 5점 정도 ㅋ 인색...
ㅋㅋ 영화를 보고난뒤의 평가는 관객 개개인이 하는거지요 ㅋㅋ 형님 오랜만입니다 반갑습니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