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ㆍ기아차 노조가 `광주형 일자리 철회를 위해 향후 3년 간 투쟁`을 선포해 지난달 31일 마무리 된 `광주형 일자리` 불씨가 재현될 조짐이다. 당시 미봉책으로 덮어둔 부분이 결국 화근으로 등장한 것이다. 일자리 축소를 이유로 광주형 일자리를 반대해온 울산 노동계와 진보정당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된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한국ㆍ민주 노총 등 양대 노총이 불참한 가운데 지난 달 31일 타결됐다. 광주시는 당시 양대 노총이 불참한 가운데 현대차와 최종 투자협약에 합의했다.
이 합의안에 따라 광주시가 590억원을, 현대차가 534억원을 투자해 연간 경차 1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자동차 공장을 짓는다. 오는 2021년 상반기쯤 공장이 완공되면 경형 SUV 등 총 35만대 가량이 우선 생산될 예정이다.
이에 앞서 광주시와 현대차는 투자협상을 통해 노사 단체협약을 5년간 유예하는 조항을 두기로 했었다. 그러나 지난해 9월 노동계가 당초 주 44시간에 임금 3천 500만원을 지급하기로 한 조항을 주 40시간에 3천 500만원으로 바꾸고 단체협약 유예 조항을 삭제하면서 양측의 투자 협약이 중단됐다.
그러다가 양측이 5년 유예조항을 두기로 다시 합의하면서 최종 협약이 체결됐다. 그러나 현대차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 협약 내용을 아직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ㆍ기아자동차 노조가 "광주형 일자리 철회를 위해 광주형 일자리 공장 완공시까지 3년간 총력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19일 밝힌 것이다.
현대ㆍ기아차노조는 이날 오전 민주노총, 금속노조와 함께 공동성명서를 내고 "나쁜 일자리와 사회 양극화 확대, 소득 불평등 성장을 촉진하는 광주형 일자리가 재추진됐다"며 "광주형 일자리 공장이 완공되는 오는 2021년까지 총파업을 포함한 총력투쟁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광주형 일자리는 반값 연봉으로 전체 노동자의 임금 하향 평준화와 지역별 저임금 기업 유치 경쟁을 초래해 자동차산업을 공멸시키는 불법협약"이라며 "국내 자동차 생산시설은 466만대 규모로 현재 100만대가 남아돌며 경차시장은 2017년 14만대에서 지난해 12만7천여대로 매년 축소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노동3권을 제약하는 5년 단체교섭권 봉쇄는 한미FTA 협정 19조 2항 위반이며 세계무역기구(WTO)의 보조금 금지조항에 따라 해외수출마저 어려운 상태"라며 "광주형 일자리가 국내기업의 해외공장 U턴을 촉진한다는 주장도 국가간 보호무역주의와 세계 통상마찰을 감안하면 허무맹랑한 망발"이라고 지적했다.
또 "광주형 일자리 협약 체결은 현 정권의 정경유착 노동적폐 1호"라며 "촛불혁명 정신을 정면으로 위배하는 정권을 규탄하며 민주노총, 금속노조와 연대해 3년간 총력투쟁을 강력하게 전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종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