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깊어 가는 가을, 11월 11일(수)에 여의도포럼 회원들이 금년도에는 그간 찾아 가보지 않았던 북한산 둘레길의 '우이령 단풍길'을 답사 했다.
포럼회원들 대부분이 아직도 왕성한 사회활동을 하고 있고, 1. 21. 무장공비 침투사건 이 후 패쇄 되어 2009. 7월에 우이령길이 개방되면서 16시 이전에 하산해야 함으로 이날은 점심 행사만 하게 되어 참석 인원이 6명이여서 아쉬웠다.
♣ 참석 : 김형욱, 박양우, 안치운 내외, 전인구, 김석휘.(6명)
인구의 지혜로 녹번역#1출구에서 모여서 한산한 704번 뻐스로 구파발역을 경유하였는데 구파발역에서 평일임에도 등산객이 많이 탑승하였고, 양주 오봉산 입구역에서 대부분의 승산객들이 모두 하차 하였다.
정형적인 가을 날씨에 등산길은 먼지가 나지 않을 정도로 촉촉히 젖어 있었고, 단풍은 절정에 달하여 회원들은 단풍에 푸∼욱 젖었다!
오봉산 직하에 있는 석굴암은 아주 큰 암반을 파내어 내부는 넓은 법당이였으며, 인구가 미리 점심으로 절밥을 부탁해 두어서, 회원들은 도라지, 고사리, 콩나물, 가지, 고추, 곤약, 오이, 등, 유기농 음식들과 후식으로 방울토마도와 누룽지 숭녕까지 정성스런 접대를 받았다.
석굴암 대웅전 앞에서 인구가 대웅전 좌우, 뒷편 벽면에 그려 진 '십우도'의 의미를 해설하며 마음을 다스리는 과정을 설명 했다.
오봉산의 첫 봉우리는 앉아 있던 여인이 등을 구부리고 일어서는 형상이였고, 둘째 봉우리는 사모관대를 한 군주의 근엄한 앉은 자세였으며, 세째 봉우리는 상체를 구부린 신하의 형상이였다.
우이령을 넘어 우이동으로 하산하는 둘례길 주변은 단풍이 붉게 불타고 있었고, 참석자들만 즐기는 것이 함께하지 못한 회원들에게 미안 서러울 정도였다!
우이동 뻐스종점 부근의 민속 먹거리 집에서 뒷풀이는 도토리 묵, 해물파전에 소맥을 곁들이며, 우리들보다 앞서 간 오용근, 송석렬, 정경화, 등 아까운 친구들과의 추억도 회상했고, 양우는 서울 현충원 주변의 단풍이 환상적이라며 강추 했다.
▣ 12월 문화탐방은,
12월 8일(2화) 15:30부터 요즈음 '예술인 촌'으로 급 부상하여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는 '서촌'을 탐방하고, 송년회를 겸한 저녁모임을 18시경 갖기로 기약하고 헤어졌다.
♣ 회비 결산
전월 잔액 : 153,000원
수 입 : 50,000원(월 회비)
지 출 : 70,000원(뒷풀이 식대)
--------------------------
잔 액 : 133,000원
우이령 둘례길 초입에서





뒷풀이하는 맛집의 단풍과 흘러 간 유행가로 우리 마음을 사로 잡네!

오봉산! 대열 산호회에 강추하고프다!

11월
녹번역에서 704번 뻐스를 기다리며 ..

여기가 초입이였나? 사진을 옮기며 순서가 뒤엉켰네. 이제 회장직도 내려 놓아야겠다.










오봉산 석굴암 입구


'십우도'란?

홍일점으로 이날 모임을 찰지게 해 주시네! 남푠도 멋져부러!




첫댓글 혼자만 할망구 모시고 나가 하루 종일 미안한 맘. 초입에 콩볶는 듯한 총소리가 적과 마주하고 있다는 실감이 피부에 와 닿았습니다. 전장군님 맨발로 청춘. 절에 가면 횡으로 기둥에 문구가 써 있는데 그것을 주련이라하고 소와 인간의 열(10) 그림이 있는데 그것을 십우도라 한다는 전장군님의 설명. 날씨도 한부조해 가슴이 뻥 뚫렸습니다.
주도면밀하게 계획하시고 실행하시던 석휘지회장님께서 지휘봉을 내려놓지 않으면 안되는 사정이 있다하시니 말릴 수도 없고 ... 아무쪼록 하시는 일 성취하시고 강건하시어 행복하시길 축원합니다.
십우도의 내용:선을 수행하여 자기의 본심을 찾아 깨달음에 이르는 순서를 열 단계로 나타낸 그림.
본심을 소에 비유하여
1.소를 찾는 심우.
2.소의 발자국을 발견하는 견적
3.소를 발견하는 견우
4.소를 얻는 득우
5.소를 기르고 길들이는 목우
6.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우귀가
7.소를 잊어 버리고 사람만 남는 망우존인
8.소나 자기나 다 잊어버리는 인우구망
9.본래의 맑고 깨끗한 근원으로 돌아가는 반본환원
10.세속으로 들어가 중생들을 제도하는 입전수수
의 열 단계로 설명----표준국어대사전에서 빌려 옴. 사실은 전장군님이 일일이 설명하신 것인데 기억이 가물가물 뜻이 하도 좋아 사전 찾아 올렸습니다.
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