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는 의심이라,
자기가 과거에 경을 보았거나 또는 어떠헌 법문을 들었거나, 보고 듣고 알고 있는 것
그러헌 지식, 교리,상식, 그러헌 것을 동원을 해가지고 이렇게 따져보고저렇게 생각해보고, 이리 분석하고 저렇게 종합허고이래가지고서 그런 것으로 살림을 삼고,
또 이 선지식한테 가서 법문을 듣고 가서 이러쿵저러쿵, 저 선지식한테 들은 것과 비교해가지고 이러쿵저러쿵,
이런 식으로 공부를 삼는다고 허며는
그 공부는 미륵불이 하생헐 때까지 공부를 해도 점점중생의 알음알이만 더 조장이 될 뿐 깨달음이라고 허는 것은 영원히 있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 말이여.
법문은 많이 들어서 속에다가, 머릿속에다가 넣어놓고
많이 듣고 많이 알고 있는 디에 있는 것이 아니라,
법문을 듣고서 자기에 그동안에 보고 듣고 알고 있는일체 지식 알음알이를 놓아버리고
다못 자기 본참화두에 대한 대의단이 현전해야만 그것이 법문을 옳게 들은 것이다 그 말이여.
천 번 만 번을 법문을 듣고 해도
다못 알 수 없는 한 생각뿐이라야 된다그 말이여.
세상에 법문은...
세상에 공부는 많이 듣고 알고 있어서
많이 기억을 하고 머릿속에 알고, 많이 알고
있어야 그 사람이 ‘유식허다’ 그러고 ‘참 훌륭헌 학자’라 그러지마는, 이 참선공부는 많이 알고 있는 그러헌 것은 오히려 병이요 공부가 옳게 되아간 것이 아니다.
비유를 해서 말허자며는
세속에 공부는 병 속에다가
많은 것을 담었는... 담는 공부라 하겠지마는,
이 불법에 참선공부는
이미 들어있는 것도 다 쏟아 내버려야,
될 수 있으면 쏵 쏟아서 추호도 냄새까지도 나지 아니할 정도로 깨끗이 부셔내는 공부다 그 말이여.
그래서 고인네가 말씀허시기를,
“불조가 나와서 설법을 해도 깨닫자 생각도 아니
하고 염라대왕이 와 잡으러 와도 두려워 헐 중도 모르고 철두철미 똥 멍칭이, 천치, 바보가 된다며는, 깨달을 중도 모르고 죽인다고 해도 두려울 중도 모르고 그렇게 철저히 바보가 된다며는 내가 너를 인가하리라.”
이렇게까지 말씀허신 일이 있습니다.
다 썩은 나무둥치가 되아가지고,
나무둥치가 썩지 아니헌 나무둥치는 나무꾼이 불을 때기 위해서 끌텅을 캐가기라도 허지마는 완전히 버근버근허니 썩어 문드러져버린 그러헌 나무둥치는 나무,나무꾼도 그것을 돌아다보지도 않고 아무 쓸모없는 물견이다
그 말이여.
그러헌 쓸모없는 물견이 되아가지고
오직 자기 본참화두에 대한 의심만을 간절히
지어가야, 그래야 그 사람에게는 깨달을 분(分)이 있는 것이다 그 말이여.
잘난 척하고 똑똑한 척 하고 유식한 척하고
이러헌 것은 우리 공부를 해나가는데 있어서
장애가 될 뿐이지 아무 이익이 없는 것이여.
깨닫지 못한 분상에 무엇을 잘난 척하고 유식한 척하고 말 잘한 척하고, 그것이 다 쓸데없는 일이다 그 말이여.
한 숟갈 먹으며는, 먹지 아니하며는 공부를 못허니까 그저 잘못, 잘 먹거나 잘 못먹거나 그저 한 숟갈 먹으며는 ‘이 뭣고?’ ‘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번뇌망상이 일어난 것도 두려워하지 말고 무슨 생각이 일어나든지 일어나는 그 생각을 돌이켜서, 일어나는 생각을 없앨라 허지 말고 일어나는 그 생각으로 일어난 줄 알면 퍼떡 그 생각으로 ‘이 뭣고? ’를 들면 되는 것이여.
번뇌망상 일어나는 놈이나 ‘
이 뭣고?’ 들은 놈이나
내나 그놈이 깨닫지 못했으면
그것이 중생심이고, 버릴랴고 허며는 버려진 것이 아니라 버릴랴고 헌 그 생각도 역시 번뇌망상이여.중생심이여.
버릴랴고 허지를 말고 일어나는 그 생각으로 ‘
이 뭣고?’ 또는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이렇게만 들어나가면 되는 것이다 그 말이여
첫댓글 ()()()
모든 중생 참 나를 깨달아 생사의 윤회에서 벗어나며
우주법계에 깨달은 부처님으로 가득차기를 발원합니다 _()_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