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0만원 주면 정규직 전환되는 한국지엠

최근 한국지엠의 전·현직 회사 임원과 노조 간부들이 납품 비리로 잇따라 검찰에 구속되었다. 검찰은 납품 비리에 이어 협력(도급)업체 소속 비정규 직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노사가 얽힌 채용비리에 대해서도 수사하고 있다.
한국지엠은 정기적으로 1차 도급업체 소속 비정규직 직원을 대상으로 일정한 인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내부에서는 이를 '발탁 채용'이라고 부르는데, 1차 도급업체 직원들만 정규직으로 발탁될 수 있다.
한국지엠의 한 1차 도급업체 소속 생산직 비정규 직원 A씨도 지난해 한국지엠 정규직 직원으로부터 정규직 전환 제안을 받았다. "8천만원이 있으면 '발탁 채용' 때 무조건 정규직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8천만원이라는 큰 돈을 주고 정규직이 돼도 양심의 가책 때문에 다른 동료를 볼 면목이 없을 것 같아 제안을 거절했다고 털어놨다.
이같은 취업비리는 한국지엠에서 10년 넘게 이어져 온 고질적인 악습으로 알려져있다. 정규직 전환 청탁의 경로는 회사 내부에서 크게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하나는 노조 집행부나 대의원을 통해 회사 윗선과 줄을 대는 경우이다. 현재 한국지엔 생산직 가운데 전직 노조 간부의 자녀, 친인척, 지인이 상당수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방법은 사내에서 '브로커' 역할을 하는 정규직 직원을 통하는 것이다. 인맥이 없는 협력업체 비정규 직원도 이런 중간 연결책을 통해 회사 윗선과 줄이 닿으면 정규직 전환이 가능했다.
이런 이유로 발탁 채용 공고가 나와도 1차 도급업체 소속 상당수 비정규 직원은 응시를 포기한다. 빽이나 돈이 없으면 정규직이 되기 힘들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한국지엠 내부에서는 이런 '취업 장사'를 한 인물로 퇴직한 임원급 간부 이름이 오르내린다. 이 전직 임원은 자신이 바지사장을 앉힌 도급업체를 운영하며 취업장사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있다.
한국지엠은 이달 1일 검찰의 압수수색 이후 미국 글로벌 GM그룹에 보고한 뒤, 노사 비리와 관련해 자체 감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기사원문 보러가기
>> NH 투자 2년간 공채 전무! 증권업계 취업문 더 좁아져…
>> "현대그룹" 자산규모 대기업→"중견기업" 하락.....


첫댓글 이 글을 확인하신 분들은 확인완료 댓글을 남겨주세용! :)
정규직되는데 8000만원이라니.... 저런 비리는 사라졌으면 하네요
와 진짜 ; 별의별..
확인완료!
헐 뭐이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