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생각하는 대학서열은? :
1. 공대의 독점적 지위 및 경쟁력 약화
한양공대가 강한 것은 인정한다. 그러나 그 원인은 바로 독점적 지위에 기인한 것이었다.
연대, 고대, 성대, 서강대 등 주요사립대는 대부분 공대를 1960년대 이후에 설립했지만 한양대는 일제말기 공대로 출발했고 공대 졸업생들의 숫자도 타대학들의 몇배에 이를 정도였다.
또한 70년대까지 후기대학으로서 서울대에 떨어진 수험생들을 거저 주워담다시피 했다.(이점은 성대 인문계와 비슷했다).
그리고 연고대 등 주요사립대는 1980년대까지도 공대키우기에 상대적으로 소홀했다(물론 이는 우수학생들이 인문계를 선호했고, 사회적으로도 인문계출신들이 우대받았기 때문에 공대육성에 소홀했던 것이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사회적 변화에 따라 그동안 소외(혹은 천시)받았던 공대출신들이 대거 기업체 임원으로 발탁되면서 재계에 한양공대 출신 임원들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또한 1990년대부터 각종 대학평가가 시작되었는데 공대가 강한 대학들이 유리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한양대, 아주대 등의 평판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독점적 지위에 기인했던 경쟁우위가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우선 포항공대의 출현과 카이스트의 학부모집, 그리고 연고대의 공대투자가 본격화되면서 후기시절 서울대 다음가던 인풋이 많이 약화되었다.
오히려 서강대나 성대 공대와의 격차는 예전보다 많이 좁혀진 상태다.
현재 인풋상 한양대 공대는 서강대 공대와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며, 성대 반도체시스템학과는 한양공대 전학과의 인풋을 올킬하고 있다(한대가 심혈을 기울여 창설한 융합전자공학부도 성반에 훨씬 못미친다) .
또한 수험생들의 선호도가 의대나 자연과학계열로 옮겨지면서 공대가 강한 한양대의 인풋이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예전에는 지방의대보다 서울대 공대를 선호했지만 요즘엔 서울대 공대보다 지방의대를 선호하고 있는 것이 이러한 트렌드를 보여준다).
자연과학계열의 경우는 서강대나 성대의 인풋이 한양대를 앞서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거기다 교수 1인당 연구비규모, 1인당 SCI 논문 등 각종 연구력 지표에서 한양대는 성대와 서강대에 계속 뒤지고 있다.
그리고 이공계 위주의 평가인 QS세계대학평가와 상해교통대평가에서도 한양대는 성대에 계속 뒤지고 있는데 이는 이공계열에서 신입생 입학성적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성대가 한양대를 역전했거나 곧 역전할 것이라는 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결국 한양대의 선봉장이었던 공대가 1990년대이후 시작된 각 대학간의 치열한 공대육성 경쟁에서 점차 밀리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2. MBA, 경영대 경쟁에서의 열세
법대가 폐지되면서 향후 대학서열을 좌우하게 된 것은 MBA와 경영대이다. 이점에서 한양대는 성대에 완패했다.
MBA는 이제 성대와 비교조차 어렵게 되었다.
MBA에서도 중요한 것은 주간 풀타임 MBA다.
그런데 주간 풀타임 MBA는 투자가 많이 필요할 뿐더러 소수 명문대가 아니고서는 운영하기가 쉽지 않다. 주간 풀타임 MBA 지원자들은 직장을 그만두게 되므로 미국 MBA와 국내 명문대 MBA 사이에서 고민하게 되고 여차하면 미국으로 가버리기 때문이다(참고로 서울대와 카이스트는 주간 풀타임과정만 있다).
현재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정통 주간 풀타임 MBA는 상위 6개대학 (서울대, 카이스트, 연대, 고대, 성대, 서강대) 정도에 불과하고 나머지 대학들은 점차 특화된 분야나 야간 혹은 주말과정에 집중하고 있다.
한양대 MBA는 주간 풀타임과정이 있기는 한데 영어비중이 매우 낮고 외국인 학생들이 전무하여 MBA라고 하기도 쑥스러울 정도다. 거기다 경쟁율은 매년 1:1을 간신히 넘기는 정도다.
특히 MBA의 생명은 국제화이고 국제화의 척도는 외국인학생 비중인데 이는 학생들간의 영어토론 등이 수업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기 때문에 교육부에서 MBA를 평가할때 외국인학생비중은 중요한 평가요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양대 자산운용 MBA와 글로벌yesMBA에는 2008, 2009, 2010년 연이어서 외국인 입학생이 전무하다는 기록아닌 기록을 세웠다.
결국 이런식으로 가면 점점 한양대의 주간 풀타임 MBA는 설 자리를 잃고 결국 한양대는 야간과 주말과정에 집중하게 될 것이다.
또한 경영대 경쟁이 격화되고 있지만, 한양대 경영대는 별다른 이목을 끌지 못하고 있다.
성대 글로벌경영을 흉내내서 파이낸스경영학과를 급조했지만 한파경은 성대 경영(도메스틱)도 따라오기 벅차 보인다.
그중 압권은 2009년 입시부터 거의 모든 배치표가 성대 인문과 한대 경영(도메스틱)을 비슷한 수준에 배치하기 시작했고, 2009년도 입결에서 실제로 그러한 일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3. 로스쿨, 사시경쟁에서 성대에 패배
사실 인문계에서 한양대가 급성장한 것은 사시합격자수를 발판으로 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때 누적 합격자수에서 성대를 앞서기도 했다.
물론 이는 1990년대 후반까지 법학과 입학정원이 성대보다 훨씬 많았던 것(200명 : 130명)이 원인이었다.
물론 성대가 학부제를 실시하면서 법학과 입학정원을 늘리자 2003년경부터 다시 한대를 앞서게 되었고 결국 누적합격자수에서도 한대를 다시 추월한 것이다.
(2009년 2차 합격자수에서 단독 4위를 차지하여 오랜만에 성대에 설욕하는 듯 했지만, 정작 중요한 최종합격자수에서 69:69로 동율을 이뤄서 단독 4위 탈환이 말짱 도루묵이 되버렸다).
그런데 문제는 해마다 사시정원이 줄고 있고, 입학생 수준도 2000년대 들어 성대와 더욱 격차가 커졌기 때문에 다시는 성대를 추월하기 어렵게 되었다는 것이다.
2010년에 성대에 또다시 완패(69 : 59)했는데 이러한 격차는 계속되거나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결국 사시합격자수 경쟁에서 성균>한양의 공식이 사람들의 뇌리에 영구히 굳어지게 될 것이다.
또한 로스쿨경쟁에서는 성대보다 입학정원이 20명 적어서 출발부터 뒤지게 되었다.
거기다 전체 로스쿨 합격자 현황에서도 계속 성대에 뒤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시는 물론 로스쿨경쟁에서도 성대에 뒤지게 되므로써 한양대 법대와 로스쿨 모두 성대보다 한수아래라는 인식을 깨기 어렵게 된 것이다.
4. 인문계 인풋의 하락
한양대 인문계는 성대의 침체기시절에도 동일과 비교에서 항상 성대에 뒤져왔지만 작년부터는 성대 인문과학계열과 한양대 경영학과가 비슷한 수준에 이를 정도로 차이가 커지고 있다.
거의 중앙대 경영학과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에 반해 성대 이공계는 한양대 이공계를 거의 턱밑까지 쫓아온 수준이다.
성대 이공계가 서울에 있었다면 벌써 한양대 이공계의 인풋을 앞질렀을 것이다.
이제 중앙대가 박용성 이사장의 구상대로 청소년학과나 민속학과 등 도움안되는 잡다한 과들을 인기전공 위주로 재편하면 인문계 인풋이 한양대와 비슷해지거나 오히려 앞지를 것으로 보인다.
첫댓글 고마해라 마이묵으따 아이가
삭제된 댓글 입니다.
욕하지 말고 논리적으로 반박해 보시지
한공이 밀리는거 모르나보네 ....ㅉㅉ
한양대 문과 정원1200 아웃풋 >병균관 개때 문과 1800 아웃풋 ㅇㅋ? ㅋㅋㅋㅋㅋㅋ
+ 한양대 이과 정원 1300 아웃풋 >>>>>>>>>>>>>>>>>>>>>>> 병균관 개때 이과 1600 아웃풋
너는 왜 병신이되었나?
와미친.......문과에서 한=성 드립을 이리도 치다니....... 진짜...........앞으로 이게에서 성=한 드립쳐도 너희도 인정해라..............
병균관 입결올릴려고 영문~노어~철학 다 묶어서 인문만든거면서 개 죶지랄을 떠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낚시과는 ㅈㄹ같이 만들어내고 ㅋㅋㅋㅋㅋㅋ 괜히 성훌이 많은게 아니야 ㅋㅋ 나만 엿먹을수 없다는거지 ㅋㅋㅋ
한양대개떼들 존나많네ㅎ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