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불황에도 잘 팔리는 이것?… 삼성·LG·TCL, 미니LED TV 3파전
이기사가 겉보기엔 LCD(Mini LED) TV의 인기를 기사화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마지막 부분에선, OLED TV보다 못한 제품으로 몰고 가고 있어, 아쉬움에 몇자 적어 본다. 우선 먼저 기사 내용 오류다. 기사 중간에 "중국의 TCL도 미니LED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라고 하였는데, Mini LED는 TCL이 2019년에 최초로 선을 보이면서 인기를 끌자, 2년 후에 삼성-LG가 Neo QLED TV, QNED TV라는 이름으로, 중국 TCL을 따라서 출시한 것이다. 해서 기사 내용도 "삼성-LG도 미니LED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 그리고 이 기사의 또 다른 문제는, 하단에 있다고 본다. 기사 하단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 미니LED가 LCD를 개선한 제품인 만큼 기존의 단점도 그대로 계승해 기술적인 경쟁력은 떨어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미니LED는 어디까지나 LCD의 단점을 개선한 제품일 뿐 완전히 극복한 제품은 아니다”라며 “빛샘 현상이나 제한적인 명암비 같은 LCD의 문제점을 그대로 지닐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설명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빛샘이나 제한적인 명암비다. 우선 같은 Mini LED라고 해도, Mini LED 개수를 얼마나 사용하느냐에 따라 빛샘은 수준은 달라진다. 즉, Mini LED 개수를 4K 기준 1만5천개, 8K 기준 3만개 내외에 로컬디밍(구역) 기술을 적용하면, Mini LED라해도 빛샘은 거의 느끼기 힘들다. 참고로 요즘은 일반 LCD(LED) TV도 빛샘은 거의 느끼기 힘들다. 빛샘은 4~5년전 이야기이거나, 일부 저가형 제품의 이야기다. 그리고 제한적인 명암비를 이야기 하였는데, OLED는 암부가 좋아 명암비가 좋은 것이지, 밝기는 Mini LED에 비해 한참 떨어진다. 결국 명암비도 양단간의 장단점이 있다. 한 예를 든다면, 75" 4K Mini LED TV랑 77" 4K OLED TV랑 비교를 한다면, 화질은 미미한 차이일 뿐, OLED TV가 비싼 가격만큼 화질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OLED TV의 가격만큼 OLED TV의 내구성(번인현상/밝기저하)은 현격하게 떨어진다. 해서 내구성을 포함한 가성비적으로 OLED TV는 Mini LED TV를 따라갈 수가 없다. 끝으로 LCD의 문제점, 즉, 빛샘이나 제한적인 명암비를 극복한 LCD TV도 있다. 바로 Dual LCD TV다. 중국의 하이센스가 출시한 65"/75" 4K Dual LCD(Cell) TV는, 2장의 LCD패널을 사용한다,. 1장의 LCD패널은 LCD TV처럼 구동을 하고, 한 장의 LCD(흑백)패널은, 화소별로 백라이트를 On/Off하는 역활을 하여, 암부는 OLED수준에, 밝기는 LCD수준을 가져감으로서, OLED화질을 넘어선다. 물론 내구성은 LCD처럼 우수하다.
해서 LCD TV를 문제 있는 TV나 OLED TV보다 못한 TV로만 몰고 가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 양쪽 모두 장단점이 있지만, LCD TV만큼 가성비적으로 우수한 TV는 아직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