솥鼎은 임금(군왕)을 의미로 솥이 무거우면 성군이며 솥이 가벼우면 통치력에 부족함이 많다는 뜻이 담겨 있다.
솥鼎은 3개의 욕망의 다리로 균형을 유지한다. 즉 3개의 다리는 재물욕, 명예욕, 권력욕이다.[출처 장자추수편]
鼎足里 마실은 산과 물이 산태극 물태극으로 흐르는 곳으로 새 것을 취하고 옛 것을 버린다는 내용이 함축되어 있다.
양조장마실에 황급제묘가 소재한 곳이 솥이다. 묘 아래에 있는 집에 하루에 세 번 햇빛이 드는 집터가 있다. 이 곳이 부엌이다. 아침 점심 저녁에 세 번 불을 땐다는 의미이다. 또한 흙두들(토구) 오른쪽 부뚜막이고 흙티(토현)가 왼쪽 부뚜막이다. 솥바리(정족)에 3개의 발은 재물(우체국이 있는 마실) 명예(임산서당 있는 마실) 권력(가호정있는 댓두들 정자뫁 마실)이다.
세월이 흘러 사람은 떠나도 산천은 알고 있다. 나무가 마실을 지켜 준다. 역사를 증언하는 큰나무로 임산서당마실에 참나무 정족중심마실 위목인 동구나무가 말채나무이며 가마솥상징마실에 효자소나무(황급제묘를 향해 절하는 소나무)가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청기면 정족리는 역사적으로 안동부 예안현의 동쪽이이어서 지명에 동쪽을 의미하는 靑자를 취하였으며 정족리에 흐르는 하천은 東川이다.
작금 슬로시티 슬로라이프가 인기있다. 이 곳을 자연역사탐방 트레킹로드를 만들면 좋겠다. 이를 위해 역사를 증언하는 노거수나무를 천연기념물 지정을 제안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