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다익선ㅣ多多益善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다 ○ 多(많을 다) 多(많을 다) 益(더할 익) 善(착할 선) 많으면 많을수록(多多) 더 좋다(益善)는 이 성어는 중국 漢(한)나라의 통일에 공을 세운 韓信(한신)이 병사의 수가 많을수록 능력을 잘 발휘 할 수 있다는 의미로 썼다. 실제 많은 군사를 이끌며 승리를 가져온 한신이지만 넘치는 능력에 두려움을 느낀 劉邦(유방)에 의해 兎死狗烹 (토사구팽) 당하고 만다. 다다익판(多多益辦)과 같은 의미이다. 한나라 고조(高祖) 유방 (劉邦)은 천하를 통일한 후 왕실의 안정을 위해 개국 공신들을 차례로 숙청하였다. 초왕(楚王) 한신(韓信)은 천하 통일의 일등 공신으로 항우군의 토벌에 결정적 공헌을 하였지만, 통일이 완성된 한 왕실로서는 위험한 존재가 아닐 수 없었다. 그는 본래 항우의 수하에 있다가 유방이 촉으로 들어간 후 한나라에 귀순한 인물이었고, 제(齊)나라를 정복하였을 때는 스스로 제왕에 즉위하였으며, 초에 들어가서는 항우의 장수였던 종리매(鐘離眛)를 비호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고조는 계략을 써 그를 포박한 후 장안으로 압송 하고는 회음후로 좌천시켰다. 후일 거록(鉅鹿) 태수 진희 (陳狶)와 공모하여 난을 일으켰으나, 장안을 떠나지 못하고 여후(呂后)에 의해 처형되었다. 어느 날, 고조는 한신과 함께 여러 장군들의 능력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던 끝에 이렇게 물었다. "과인과 같은 사람은 얼마나 많은 군대의 장수가 될 수 있겠는가?" "아뢰옵기 황송하오나 폐하께서는 한 10만쯤 거느릴 수 있는 장수에 불과합니다." "그렇다면 그대는 어떠한가?" "예,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습니다(多多益善)."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그렇다면 그대는 어찌하여 10만의 장수감에 불과한 과인의 포로가 되었는고?" 한신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하오나 폐하, 그것은 별개의 문제이옵니다. 폐하께서는 병사의 장수가 아니오라 장수의 장수이시옵니다. 이것이 신이 폐하의 포로가 된 이유의 전부이옵니다. 또 폐하는 이른바 하늘이 준 것이옵고 사람의 일은 아니옵니다." 이렇게 군사의 통솔 능력을 말하면서 만들어진 다다익선이라는 말이 오늘날에는 다방면에서 많을수록 좋다는 뜻으로 두루 쓰이고 있다. - 오늘의 고사성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