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생개곡(有生皆哭)
살아남은 사람들이 곡을 한다는 뜻으로, 지난날(임진왜란)의 참상을 슬퍼한다는 말이다.
有 : 있을 유(月/2)
生 : 살 생(生/0)
皆 : 다 개(白/4)
哭 : 울 곡(口/7)
출전 : 이안눌(李安訥)의 四月十五日
이 성어는 동래부사로 부임한 이안눌(李安訥)은 4월 15일 아침 느닷없이 천지를 진동하는 곡성에 대한 연유를 적은 글에서 연유한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동래부사로 부임한 이안눌(李安訥)은 4월 15일 아침 느닷없이 천지를 진동하는 곡성에 휩싸였다.
깜짝 놀라 늙은 아전을 불러 영문을 묻자 돌아온 대답이 이랬다. '임진년 당시 왜적이 몰려와 이날 동래성이 함락되었습니다. 살려고 성안으로 몰려든 백성들이 몰살을 당했습지요. 그래서 이날만 되면 살아남은 백성들이 집마다 상을 차려 죽은 이를 제사 지낸답니다.'
이안눌은 이 일을 '사월십오일(四月十五日)'이란 장시에 담아 기록으로 남겼다. 다음은 아전의 설명 대목 중 한 부분이다.
父或哭其子, 子或哭其父.
아비가 제 자식 곡을 하고요, 아들이 제 아비 곡을 하지요.
亦有婦哭夫, 亦有夫哭婦.
할아비가 손자 곡을 하고요, 손자가 할아비의 곡을 합니다.
亦有母哭女, 亦有女哭母.
어미가 제 딸을 곡하기도 하고, 딸이 제 어미를 곡하기도 하지요.
亦有婦哭夫, 亦有夫哭婦.
지어미가 지아비를 곡하는가 하면, 지아비가 지어미를 곡한답니다.
兄弟與姊妹, 有生皆哭之.
형제나 자매를 따질 것 없이, 살아 있는 이는 모두 곡을 합지요.
蹙頞聽未終, 涕泗忽交頭.
이맛살 찡그리며 듣다가 말고, 눈물이 주르륵 흘러내리네.
吏乃前致詞, 有哭猶未悲.
아전이 나서며 아뢰는 말이, '곡할 이나 있다면 덜 슬픕지요.
幾多白刃下, 擧族無哭者.
칼날 아래 온 집안이 죄다 죽어서, 곡할 이도 없는 집이 얼마인뎁쇼.
시인은 때 아닌 곡성에 끔찍했던 만행의 그 날을 떠올리며 두 주먹을 부르쥐었다. 살아남은 사람은 모두 곡을 한다(有生皆哭). 하지만 곡할 사람조차 없는 집이 더 많다.
책임지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고, 위정자는 책임 전가에 서로 바빴다. 그 와중에 임금은 백성을 남겨 놓고 한밤중 폭우 속에 황황히 피란길에 올랐다. 방향 잃은 백성들만 우왕좌왕하다가 숱한 칼날 아래 목숨을 잃었다.
세상은 어쩌면 변하지를 않는가? 어디에도 없을 이런 지옥 속에서 고위 공직자는 사망자 명단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겠다고 포즈를 잡고, 선장은 아무 가책 없이 젖은 지폐를 꺼내 말렸다.
부끄럽고 참담하다. 목숨 있는 이들의 곡성이 메아리친다. 아! 피어보지 못한 꽃다운 넋은 고이 잠들라.
■ 유생개곡(有生皆哭)
살아남은 사람 모두 곡을 하다.
천읍지애(天泣地哀), 하늘도 울고 땅도 운다는 말은 언제 쓰일까? 북한에서 김일성이나 김정일이 사망했을 때 이 말을 사용했다. 하지만 대규모의 천재지변이나 대형사고가 났을 때, 가까운 예로 세월호 참사나 일본 쓰나미 희생자의 영결식에 적합한 말이다. 추적추적 비라도 내리면 더욱 실감난다.
이런 재해에 비할 정도가 아닌 전쟁의 참화는 전 국토가 마비되고 시체가 온 들판에 나뒹구니 더욱 슬피 울 일이다. 살아있는 사람(有生)이 모두 다 곡을 한다(皆哭)는 이 말도 임진왜란(壬辰倭亂)의 참상을 전하는 데서 나왔다.
임진년인 1592년 음력 4월 13일, 양력으로는 5월 23일 왜국의 700여 병선이 부산으로 물밀듯 밀려 왔고 이틀 사이로 1만 8000여 왜병들에 의해 부산진성과 동래성이 함락됐다. 고립무원으로 홀로 맞선 동래 송상현(宋象賢) 부사 이하 군민들은 끝까지 항전하다 순국했다.
왜란이 끝난 뒤 1608년(선조 41) 동래부사로 부임한 이안눌(李安訥)은 어느 날 아침 온 성안이 진동하는 곡소리에 놀랐다. 늙은 아전을 불러 어찌된 연유인지 물어 보았다.
아전은 왜란 때 왜적이 몰려 와 성안으로 피난 온 백성들이 몰살을 당했는데 4월15일 기일만 닥치면 살아남은 백성들이 집집마다 제상을 차리고 곡을 한다고 답했다. "아비가 자식 곡을 하고, 아들이 아비 곡을 하고, 어미가 딸을, 딸이 어미를 곡하는데 이렇게 곡할 사람이 있는 집은 그래도 다행이고 곡할 사람이 없는 집도 수두룩하다"고 아뢴다.
시문에도 뛰어나 이태백(李太白)에 비유되기도 했다는 부사가 이 때의 슬픔을 기록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동악집(東岳集)'의 내산록(萊山錄)에 실린 장시 '사월십오일(四月十五日)' 해당 부분을 보자.
兄弟與姉妹(형제여자매)
有生皆哭之(유생개곡지)
형제나 자매나 따질 것 없이 살아남은 사람은 모두 곡을 하지요
蹙額聽未終(축액청미종)
涕泗忽交頤(체사홀교이)
이맛살 찡그리며 듣다못해 눈물이 주르르 흘러내리네
율곡(栗谷)선생의 10만 양병설을 흘려듣고 방비를 소홀히 한 대가는 전 국토의 초토화였다. 일제 강점기는 물론 오늘날도 틈만 보이면 독도를 자신들의 땅이라고 우기는 일본은 한시도 방심해선 안 된다.
▶️ 有(있을 유)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달월(月; 초승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𠂇(우; 又의 변형)로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有자는 ‘있다’, ‘존재하다’, ‘가지고 있다’, ‘소유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有자는 又(또 우)자와 月(육달 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여기에 쓰인 月자는 肉(고기 육)자가 변형된 것이다. 有자의 금문을 보면 마치 손으로 고기를 쥐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내가 고기(肉)를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니까 有자는 값비싼 고기를 손에 쥔 모습으로 그려져 ‘소유하다’, ‘존재하다’라는 뜻을 표현한 글자이다. 그래서 有(유)는 (1)있는 것. 존재하는 것 (2)자기의 것으로 하는 것. 소유 (3)또의 뜻 (4)미(迷)로서의 존재. 십이 인연(十二因緣)의 하나 (5)존재(存在) (6)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있다 ②존재하다 ③가지다, 소지하다 ④독차지하다 ⑤많다, 넉넉하다 ⑥친하게 지내다 ⑦알다 ⑧소유(所有) ⑨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⑩경역(境域: 경계 안의 지역) ⑪어조사 ⑫혹, 또 ⑬어떤 ⑭12인연(因緣)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있을 재(在), 있을 존(存)이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망할 망(亡), 폐할 폐(廢), 꺼질 멸(滅), 패할 패(敗), 죽을 사(死), 죽일 살(殺), 없을 무(無), 빌 공(空), 빌 허(虛)이다. 용례로는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음을 유명(有名), 효력이나 효과가 있음을 유효(有效), 이익이 있음이나 이로움을 유리(有利), 소용이 됨이나 이용할 데가 있음을 유용(有用), 해가 있음을 유해(有害), 이롭거나 이익이 있음을 유익(有益), 세력이 있음을 유력(有力), 죄가 있음을 유죄(有罪), 재능이 있음을 유능(有能), 느끼는 바가 있음을 유감(有感), 관계가 있음을 유관(有關), 있음과 없음을 유무(有無), 여럿 중에 특히 두드러짐을 유표(有表), 간직하고 있음을 보유(保有), 가지고 있음을 소유(所有), 본디부터 있음을 고유(固有), 공동으로 소유함을 공유(共有), 준비가 있으면 근심이 없다라는 유비무환(有備無患), 지금까지 아직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을 미증유(未曾有), 계란에도 뼈가 있다는 계란유골(鷄卵有骨), 웃음 속에 칼이 들어 있다는 소중유검(笑中有劍), 입은 있으나 말이 없다는 유구무언(有口無言) 등에 쓰인다.
▶️ 生(날 생)은 ❶상형문자로 풀이나 나무가 싹트는 모양에서 생기다, 태어나다의 뜻으로 만들었다. ❷상형문자로 生자는 ‘나다’나 ‘낳다’, ‘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生자의 갑골문을 보면 땅 위로 새싹이 돋아나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그래서 生자는 본래 ‘나서 자라다’나 ‘돋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새싹이 돋아나는 것은 새로운 생명이 탄생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生자는 후에 ‘태어나다’나 ‘살다’, ‘나다’와 같은 뜻을 갖게 되었다. 生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본래의 의미인 ‘나다’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姓(성 성)자는 태어남은(生)은 여자(女)에 의해 결정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生(생)은 (1)생명(生命) (2)삶 (3)어른에게 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말. 흔히 편지에 씀 등의 뜻으로 ①나다 ②낳다 ③살다 ④기르다 ⑤서투르다 ⑥싱싱하다 ⑦만들다 ⑧백성(百姓) ⑨선비(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을 이르던 말) ⑩자기의 겸칭 ⑪사람 ⑫날(익지 않음) ⑬삶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날 출(出), 있을 존(存), 살 활(活), 낳을 산(産)이 있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죽을 사(死), 죽일 살(殺)이 있다. 용례로 살아 움직임을 생동(生動), 목숨을 생명(生命), 살아 있는 동안을 생전(生前), 생명을 유지하고 있음을 생존(生存),말리거나 얼리지 않은 잡은 그대로의 명태를 생태(生太), 자기가 난 집을 생가(生家),생물의 환경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생활 상태를 생태(生態), 세상에 태어난 날을 생일(生日), 사로 잡음을 생포(生捕), 태어남과 죽음을 생사(生死), 먹고 살아가기 위한 직업을 생업(生業), 활발하고 생생한 기운을 생기(生氣), 자기를 낳은 어머니를 생모(生母), 끓이거나 소독하지 않은 맑은 물을 생수(生水), 어떤 사건이나 사물 현상이 어느 곳 또는 세상에 생겨나거나 나타나는 것을 발생(發生), 배우는 사람으로 주로 학교에 다니면서 공부하는 사람을 학생(學生),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을 선생(先生), 사람이 태어남을 탄생(誕生), 이 세상에서의 인간 생활을 인생(人生), 일단 못 쓰게 된 것을 손질하여 다시 쓰게 됨 또는 죄를 뉘우치고 마음이 새로워짐을 갱생(更生), 다시 살아나는 것을 회생(回生), 아우나 손아래 누이를 동생(同生), 사람이 삶을 사는 내내의 동안을 평생(平生), 어렵고 괴로운 가난한 생활을 고생(苦生), 살림을 안정시키거나 넉넉하도록 하는 일을 후생(厚生), 사람을 산채로 땅에 묻음을 생매장(生埋葬), 생명이 있는 물체를 생명체(生命體), 이유도 없이 공연히 부리는 고집을 생고집(生固執), 날것과 찬 것을 생랭지물(生冷之物), 산 사람의 목구멍에 거미줄 치지 않는다는 생구불망(生口不網), 삶은 잠깐 머무르는 것이고, 죽음은 돌아간다는 생기사귀(生寄死歸), 삶과 죽음, 괴로움과 즐거움을 통틀어 일컫는 말을 생사고락(生死苦樂), 살리거나 죽이고, 주거나 뺏는다는 생살여탈(生殺與奪), 학문을 닦지 않아도 태어나면서 부터 안다는 생이지지(生而知之) 등에 쓰인다.
▶️ 皆(다 개)는 ❶회의문자로 사람이 줄을 짓는다는 뜻의 比(비)와 말함을 뜻하는 白(백)으로 이루어졌다. 모두 같이 말하다의 뜻이 전(轉)하여 죄다 또는 함께의 뜻이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皆자는 ‘다’나 ‘모두’, ‘함께’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皆자는 白(흰 백)자와 比(견줄 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皆자의 금문을 보면 白자가 아닌 曰(말씀 왈)자가 쓰여 있었다. 比자가 서로 나란히 서 있는 사람을 그린 것이고 曰자가 ‘말’을 뜻하니 皆자는 여러 사람이 함께 목소리를 내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皆자는 이렇게 여러 사람이 목소리를 낸다는 의미에서 ‘모두’나 ‘다 함께’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참고로 皆자는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다른 글자와 결합해 ‘모두’라는 뜻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皆(개)는 ①다(=總), 모두 ②함께, 다 같이 ③두루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④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비교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다 실(悉)이다. 용례로는 일정한 기간 동안에 휴일 외에는 하루도 빠짐 없이 출석 또는 출근함을 개근(皆勤), 한 사람도 빠짐없이 다 일함을 개로(皆勞), 일정한 부분의 산림을 일시에 모두 베어 냄을 개벌(皆伐), 다 또는 모두를 개시(皆是), 모든 사람이 말하되 라는 개왈(皆曰), 남에게 빌었던 것을 남김 없이 다 갚음을 개제(皆濟), 조세 따위를 남김없이 다 바침을 개납(皆納), 전혀 없음을 개무(皆無), 거의 모두나 대부분을 거개(擧皆), 거의 다를 기개(幾皆), 모두나 다를 실개(悉皆), 지구와 태양과의 사이에 달이 들어가서 태양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달에 의하여 가려지는 현상을 개기일식(皆旣日蝕), 누구든지 삼생을 통하여 불도를 닦으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개성불도(皆成佛道), 온 산의 풀과 나무까지도 모두 적병으로 보인다는 초목개병(草木皆兵), 사람은 있는 곳에 따라 행동이 달라지니 그 환경을 서로 바꾸면 누구나 다 똑같아 진다는 역지개연(易地皆然), 온 세상이 다 흐리다는 거세개탁(擧世皆濁) 등에 쓰인다.
▶️ 哭(울 곡)은 ❶회의문자로 외친다는 뜻을 가진 吅(훤)과 犬(견)으로 이루어졌다. 개가 울부짖는다는 뜻에 사람이 슬픔에 겨워 울다의 뜻으로 변화되었다. ❷회의문자로 哭자는 '울다'나 '곡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哭자는 두 개의 口(입 구)자와 犬(개 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런데 哭자의 갑골문을 보면 머리를 헝클어트린 사람 주위로 두 개의 口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갑골문에서의 哭자는 누군가의 죽음을 슬퍼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곡하다'를 뜻했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금문에서부터는 사람 대신 犬자가 쓰이면서 지금의 哭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哭(곡)은 (1)소리를 내어 욺, 또는 그 울음 (2)상례에서 사람이 죽었을 때 또는 제(祭)를 지낼 때나 영전에서 애고애고 혹은 어이어이 소리를 내어 욺 또는 그 울음 등의 뜻으로 ①울다, 곡하다 ②노래하다 ③사람의 죽음을 슬퍼하여 우는 예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옛날 장례 때 곡하며 따라가던 여자 종을 곡비(哭婢), 슬피 우는 소리를 곡성(哭聲), 소리내어 슬피 욺을 곡읍(哭泣), 국상 때 궁중에 모여 우는 관리의 반열을 곡반(哭班), 임금이 몸소 죽은 신하를 조문함을 곡림(哭臨), 조문함을 곡부(哭訃), 별자리 이름의 곡성(哭星), 상사가 났을 때 상제들이 모여 곡하는 곳을 곡청(哭廳), 소리를 높여 슬피 욺을 통곡(痛哭), 큰 소리로 섧게 욺을 통곡(慟哭), 하던 곡을 그침을 지곡(止哭), 밤에 곡함을 야곡(夜哭), 소리내어 슬피 울음을 읍곡(泣哭), 큰 소리로 곡함을 대곡(大哭), 장사를 지내고 돌아와서 정침에서 곡함을 반곡(反哭), 목을 놓아 욺을 방곡(放哭), 맞아들이며 곡함을 영곡(迎哭), 목놓아 슬피 욺 또는 그 울음을 호곡(號哭), 소리 내어 슬프게 욺을 애곡(哀哭), 근심하여 슬피 욺을 우곡(憂哭), 조상할 때에 한 차례 곡을 함을 일곡(一哭), 울어야 할 것을 마지못해 웃는다는 뜻으로 어쩔 수 없이 그 일을 하게 됨을 이르는 말을 곡부득이소(哭不得已笑), 정신에 이상이 생길 정도로 슬피 통곡함을 일컫는 말을 실성통곡(失性痛哭), 가난으로 겪는 슬픔을 이르는 말을 궁도지곡(窮途之哭), 울려는 아이 뺨치기라는 속담의 한역으로 불평을 품고 있는 사람을 선동함을 비유한 말을 욕곡봉타(欲哭逢打), 큰 소리로 목을 놓아 슬피 욺을 일컫는 말을 대성통곡(大聲痛哭), 하늘을 쳐다보며 몹시 욺을 일컫는 말을 앙천통곡(仰天痛哭), 한바탕의 통곡을 일컫는 말을 일장통곡(一場痛哭), 하늘을 부르며 목놓아 욺을 일컫는 말을 호천통곡(呼天痛哭)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