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 17. 네이버 카페 오두막 지기.
2023년~2024년, 우주 및 생사, 시공의 이치 등 보다 가치있는 삶부터 맑고 밝은 세상, 더불어 고르게 잘 사는 사회까지 271개의 과제 수행 흔적.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 지나치게 늦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 및 부동산 시장 대세 상승과 관련하여 무기력, 무능력한 정부, 기업 등 경제 주체에 경각심과 분발을 촉구 함.
게으른 네이버 단칸 모옥 청소부 A-2.
2023. 9. 16.
미래 계속될 우리 장부, 기업 등이 반드시 완수해야 할 필수 과제에 관한 플랜 B, 혹은 C 목표 중 작은 하나인 국민의 실물 자산 매 십 년마다 배 이상 증가 목표 4.
지역, 자산 양극화 완화, 국토, 지역 균형 발전과 관련한 낙후된 지방 부동산 5.
다른 낙후된 지방 부동산 시장도 마찬가지다. 도시 및 주거 환경이 크게 개선된 만큼 공급, 입주 물량이 지나치게 많았던 인천, 대구광역시 등의 집값도 부산처럼 입주 물량이 급감할 무렵이면 대세 상승에 동참하게 될 것이다. 만약, 최근 과제인, 우리나라 주식 시장이 대세 상승할 정도로 국내,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고 법인을 포함하여 우리 국민의 금융 자산이 크게 늘게 되면 집값 대세 상승 폭은 더욱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부동산 대세 상승이 있더라도 만성적 저출산 기조, 총인구 감소만으로도 지역, 지방간 양극화, 심지어 지방, 지역 내 양극화는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더불어 고르게 장 사는 사회를 위한 당위와 다르게 겁 많고 약삭빠른 자본주의 돈의 본성이 당위와 정반대의 현실을 증명시켜 줄 것이기 때문이다.
이하, 지역 양극화 낙후된 지방 부동산 대세 상승 등과 관련하여 최근에 언론 등에서 모니터링 된 자료다.
2023년 9월 13일 네이버 뉴스...부동산R114가 서울 아파트 약 116만가구를 기준으로 2021년1월부터 올해 8월까지 가구당 평균 시세를 월별로 분석한 결과 25개 자치구 중 서초구의 가구당 집값이 26억7529만원으로 가장 높고 강남구가 25억1564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강남북 평균 집값은 16억으로 더 벌어졌다.
2023년 6월 27일에 모니터링된 부산 국제신문 기사에 따르면 올해 부산 입주 예정 물량은 2만5275가구지만, 2024년 1만4950가구, 2025년은 8570가구로 갈수록 크게 줄어든다. 업계는 한 해 부산 아파트 적정 입주 물량을 적게는 1만5000가구에서 많게는 2만 가구로 본다.
2023년 6월 58일...집값 떨어지는데…부산 아파트 분양가 고공행진...올 초 부산에서는 처음으로 '남천 자이'가 3.3㎡당 분양가 3천만원 시대를 열면서 민간 아파트 고분양가 논란이 벌어졌다. 이어 올해 부산 아파트 분양 최대어 '대연 디아이엘'(대연3구역 재개발)의 일반분양가는 3.3㎡당 2천300만원이고 '해운대 경동리인뷰 2차' 분양가도 3.3㎡당 2천800만원이다. 수영구 남천동 삼익비치 재건축조합은 조합원들에게 조합원분양가를 3.3㎡당 4500만원으로 통보했다.
2023년 9월 16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9월 16일 부동산 단신 3.
한강 변 초고층 재건축 '격돌'...서울 강남구 압구정 아파트지구는 1976년부터 1987년까지 조성된 현대 1~14차, 미성 1·2차, 한양 1~8차 24개 단지 및 대림빌라트를 통칭한다. 압구정 2~5구역이 서울시 신통기획 재건축에 합류키로 했다. 지난 7월 3구역 현대 1, 2차는 52평이 65억원에, 2구역 신현대 9·11·12차 61평은 64억원에 각 거래됐다. 압구정동 ‘영동한양1차아파트’ 전용면적 78㎡는 지난 5일 35억원에,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76㎡는 지난 5일 23억3500만원에 손바뀜됐다.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는 최고 70층 신통기획 정비계획안을 확정했다. 앞서 잠실주공1단지는 잠실엘스(2008년 입주), 2단지 리센츠(2008), 3단지 트리지움(2007), 4단지 레이크팰리스(2006)로 재건축됐다. 한편, 서울 서초구 반포주공 1단지 제3주구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이 HCD현대산업개발에 164억원에 달하는 손해배상액을 물어주게 됐다.
강남구에서는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래미안강남포레스트, 래미안블레스티지 등 신축 아파트들의 매매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한편, 양주 옥정신도시에서 2020년 입주한 e편한세상옥정메트로포레 전용면적 74㎡는 2억원부터, 전용 84㎡는 2억2000만원부터, 의정부 의정부동 의정부역푸르지오더센트럴 전용 59㎡도 2억3000만원, 전용 84㎡는 3억5000만원부터 매물이 나와있다.
지난 7~8월 두 달간 서울시 마포구 성산시영 거래건수는 2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급증했다. 3885가구 규모 대단지로 마포구 시세를 이끄는 마포래미안푸르지오(21건)보다 많이 거래됐다. 타 자치구에서도 특히 거래량이 많은 단지로 꼽히는 잠실 리센츠(26건)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송도 집값 1년2개월만에 상승... 인천시 연수구 '송도자이크리스탈오션' 전용 110㎡의 경우 지난달 4일 최고가인 11억8328만원(22층)에 거래됐다. '힐스테이트송도더스카이' 전용 120A는 지난달 22일 12억6002만원에서 이틀만에 13억2949만원에 거래됐다. 대전 유성구 원신흥동 '인스빌리베라' 전용 130㎡는 지난달 10억8000만원에, 서구 둔산동 '한마루' 전용 101㎡는 지난달 25일 7억5000만원에 거래된 며칠 후 8억5000만원에 거래 거래됐다.
대전시 서구 '둔산 자이 아이파크'는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각각 68.6대 1에 달했다.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1공구 '월드메르디앙 송도'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반면, 경기도 용인 기흥구 마북동 ‘용인센트레빌그리니에’가 1.18대 1로 간신히 미달을 면했고, 평택 진위면 ‘진위역 서희스타힐스더파크뷰’(0.12대 1)와 포천 군내면 ‘포천대광로제비앙’(0.05대 1)은 찬바람이 불었다. 광명 소하동 ‘광명소하 신원아침도시 1단지’가 14.2대 1이다.
2023년 6월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6월 16일 부동산 단신 3.
서울 집값 3주 연속 뛰어...서울 송파구 잠실엘스와 리센츠 전용 84㎡가 최근 22억원에 거래됐다. 올초(19억~20억원대)보다 3억원 가까이 뛰었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84㎡도 지난 4월 31억원에서 한 달 만에 35억7000만원에, 마포구 염리동 마포프레스티지자이 전용 84㎡도 최근 17억9800만원에 거래됐다.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전용면적 59㎡는 지난달 30일 지난해 12월보다 1억원 오른 20억5000만원에 손바뀜됐다. 강동구 상일동 ‘고덕자이’ 전용 59㎡도 지난달 25일 10억7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지난 2021년 7월 최고가(12억6000만원)에 도달하기는 어려워 보이지만 10억원대를 회복했다. 용산구 이촌동 ‘이촌코오롱’ 전용 59㎡도 지난 2일 18억3000만원에 팔렸다. 지난 4월 직전가 17억8000만원보다 5000만원 높은 금액이다.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4단지(개포자이 프레지던스)의 보류지 중 펜트하우스가 최근 전용면적 185㎡(73평)의 펜트하우스가 70억원에 팔렸다. 한편, 송파구 잠실주공5 전용 76㎡은 일부 지분 매각에 19명이 응찰 해 감정가(2790만원)의 138%인 3858만원에, 강남구 대치동 은마 전용 84㎡는 총 45명이 응찰 해 26억5288만원 낙찰되었다.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1차’ 전용면적 164.9㎡는 지난달 16일 49억 원(30층)에,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12차’ 170.4㎡는 2021년 2월 기록한 45억 원(2층)보다 무려 9억 원이 오른 54억 원(3층)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강남구 수서동 ‘강남더샵포레스트’ 146.7㎡ 역시 5월 2년 전보다 2억원 오른 34억 5000만 원(5층)에, 영등포구 여의도동 ‘삼부아파트’ 146.7㎡도 2021년 4월 30억 2000만 원에서 지난달 31억 원(6층·11층)애 손바뀜됐다.
마포구 상수동 ‘신구강변연가’ 152.3㎡는 이전보다 8000만 원 오른 22억 8000만 원(15층)에 지난달 거래됐다. 성동구 하왕십리동 ‘텐즈힐1’ 148.9㎡ 또한 올해 4월 21억 9000만 원(21층)에 거래됐는데 2021년 3월 21억 원(23층)이다. 동대문구 용두동 '청량리역한양수자인주상복합' 전용 84㎡의 분양권은 4월 11억8000만원에서 지난달 14억1485만원에, 마포구 아현동 '마포더클래시' 전용 59㎡도 4월보다 1억원 오른 5월 13억3000만원에 거래됐다.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1774가구, 2019년 입주)’ 전용 84㎡는 2월 8억4000만원에서 최근 11억5000만원에, 인근 ‘e편한세상인덕원더퍼스트(2422가구, 2012년 입주)’ 같은 평형도 2월 매매가가 7억원에서 지난 6월 1일 8억5000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의왕시 내손동 ‘인덕원 퍼스비엘’은 1순위 평균 경쟁률 10 대 1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