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션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구매력이 낮아 중저가 브랜드 선호 -
- 자국 내 의류산업이 늦게 발전해 수입에 의존 -
우크라이나의 경제 침체 및 낮은 급여수준(수도인 키예프 시 2017년 10월 평균 월급 1만1073흐리브냐로 약 418달러임. 달러당26.5흐리브냐 기준)으로, 한국인 구직자들의 평균 기대임금 수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또한 내전 등으로 타 유럽국가에 비해 불안한 정세를 보여, 우리나라 기업의 우크라이나 진출도 아직 더딘 상황이다. 우크라이나에서 청년들이 취업하기는 쉽지 않지만, 창업은 가능성이 있다. 다양한 창업이 가능하지만, 그 중 국내 중저가 브랜드 의류를 현지에 유통하는 창업은 어느 정도의 초기자금이 뒷받침된다면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자국 의류산업의 뒤늦은 발전으로 대부분 의류를 수입 중고 및 수입 중저가 브랜드에 의존
우크라이나는 소련연방 시절부터 중공업 및 방위산업 쪽의 산업이 주로 발전해 의류산업이 속해 있는 경공업이 뒤늦게 발전했다.2016년에 들어서야 우크라이나산 중저가 브랜드 'F 91'이 생기는 등 시장 진입이 늦고 품질이 좋지 않아 경쟁에서 뒤쳐져 있다. 또한경제 위기 이후 흐리브냐 가치 절하로 인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매우 낮아져 소비자들의 품질이 괜찮은 수입 중고 및 수입 중저가 의류에 대한 선호가 급증했다. 이에 2008년부터 다국적 기업인 'Inditex'가 진출해 우크라이나 현지의 유명 대형 쇼핑몰에 'ZARA', 'Bershka', 'Stradivarius', 'Pull & Bear' 등 다양한 SPA 브랜드 매장을 선보이며, 현재까지도 젊은 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또한 다수의 유럽 및 미국에서 들어온 중고 의류를 최대 3~4만 원 정도로 판매하는 시장이 많아, 구매력이 낮은 노년층 및 저소득층의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경기 회복세로 소비자 심리 또한 개선되면서 대형 쇼핑몰들이 다수 생기는 추세이지만, 현존하는 위의 SPA 브랜드 및 기 진출 기업을 제외한 새로운 중저가 패션브랜드가 없어 늘어가는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켜줄 새롭고 가격이 합리적인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의류 수입 현황
(단위: 만 달러, %)
순위 | HS Code 61(편물제 의류) | HS Code 62(편물제 의외 의류) |
국명 | 2016 | 2017 1H | 증감률* | 국명 | 2016 | 2017 1H | 증감률* |
- | 전 세계 | 1,6022.15 | 7,983.86 | 18.27 | 전 세계 | 17,359.86 | 7,785.43 | 5.5 |
1 | 중국 | 5,471.10 | 2,260.09 | 13.21 | 중국 | 6,730.27 | 2,257.33 | -1.9 |
2 | 방글라데시 | 2,213.41 | 1,389.19 | 31.17 | 방글라데시 | 2,028.84 | 1,317.85 | 32.2 |
3 | 터키 | 1,722.88 | 881.43 | 4.3 | 터키 | 1,684.41 | 922.97 | 1.7 |
4 | 벨라루스 | 1,245.88 | 577.66 | 16.82 | 인도 | 5.37.13 | 342.73 | 9.92 |
5 | 콜롬비아 | 749.98 | 389.40 | 20.92 | 이탈리아 | 6.38.32 | 337.12 | 0.52 |
6 | 베트남 | 424.45 | 261.35 | 54.94 | 베트남 | 9.45.77 | 311.80 | 30.05 |
7 | 이탈리아 | 599.41 | 260.96 | 21.44 | 모로코 | 4.25.77 | 241.56 | 8.45 |
8 | 인도 | 397.28 | 208.24 | -0.52 | 파키스탄 | 3.42.93 | 224.29 | 25.17 |
9 | 독일 | 412.97 | 180.66 | -4.56 | 폴란드 | 3.29.81 | 17641 | 17.8 |
10 | 폴란드 | 246.82 | 157.99 | 68.13 | 이집트 | 3.35.14 | 172.68 | 15.96 |
45/52 | 한국 | 11.01 | 2.4084 | 159.5 | 한국 | 14.00 | 1.41 | -66.1 |
주: 2017년 상반기/2016년 상반기 증감률
자료원: WTA
여성 패션시장이 전체 패션시장 중 비중이 매우 높음
우크라이나는 여성들의 의류에 대한 투자 및 관심이 남성에 비해 월등히 높은 편이다. 우크라이나 패션시장에서 활동하는 기업 중 남녀 공용 및 여성 패션을 취급하는 기업이 약 75.8%로 전체 패션시장에서 여성 소비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 창업 시에 여성고객 중심의 제품 구성 및 마케팅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상위 10개 품목별 우크라이나 의류 수입현황
(단위: 만 달러, %)
순위 | HS Code | 품목명 | 2016 | 2017 1H | 증감률* |
1 | 6204 | 여자용 재킷 | 3,803.59 | 2,229.70 | 9.06 |
2 | 6109 | 티셔츠, 싱글리트 | 3,480.49 | 1,884.44 | 18.23 |
3 | 6203 | 남자용 재킷 | 2,888.47 | 1,610.65 | 7.82 |
4 | 6115 | 팬티호스, 타이즈, 스타킹 | 2,733.83 | 992.27 | 18.24 |
5 | 6110 | 저지, 풀오버, 카디건 | 2,272.53 | 973.77 | 7.51 |
6 | 6104 | 여자용 슈트 | 1,797.08 | 922.23 | 12.21 |
7 | 6212 | 브래지어 | 1,602.93 | 796.04 | -5.58 |
8 | 6206 | 여자용 브라우스 | 936.22 | 659.52 | 31.83 |
9 | 6103 | 남자용 슈트 | 845.77 | 519.52 | 43.28 |
10 | 6205 | 남자용 셔츠 | 815.30 | 490.96 | 8.34 |
주*: 2017년 상반기/2016년 상반기 증감률
자료원: WTA
한국 의류에 대한 현지인 대상 설문조사 결과 긍정적
한국외국어대학교 코어사업단 팀이 우크라이나 대학가에서 한 현지 20대 여성 170명 대상 한국 의류 및 의류 구매 시 주요 고려사항에 대한 설문지에 따르면, 한국 의류 브랜드를 구매하거나 들어본 적이 있다는 사람이 86.1%로, 우크라이나 젊은 사람들의 한국의류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편으로 조사됐다. 또한 준비해간 2만~5만 원 사이의 한국 중저가 브랜드 의류를 입어본 후의 평소 스타일과 잘 어울리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77.8%(55.6% 매우 그렇다, 22.2% 그렇다)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우크라이나 20대 여성들의 의류 구매 관련 설문 조사 결과
문항 | 1순위 답변 | 2순위 답변 | 3순위 답변 |
구매 빈도 | 1개월(72.25%) | 1 분기(계절) 27.75% | - |
평균 구매 가격 | 8,000~15,000(40%) | 30,000~65,000(34%) | 15,000~30,000(20%) |
구매 후 입는 기간 | 5년 이상(33.5%) | 1년 이상(26.6%) | 한 달 이상(26.6%) |
구매 장소 | 쇼핑센터(42.2%) | 의류시장(27.7%) | 인터넷(18.1%) |
구매 시 중요 판단요소 | 가격(25.8%) | 편안함(24.1%) | 스타일·디자인(22.4%) |
자료원: 한국외대 코어사업단 'Наша Мода' 현지설문 조사자료
현지인들의 취향파악 및 인지도 구축이 최우선
우크라이나 패션시장에서 창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경기침체로 인해 구매 시 가성비가 좋은 제품을 중시한다는 점. 유럽에 따라 패션 트랜드가 바뀌지만, 비교적 한국과 같이 패션에 민감히 모두가 반응하지 않아 한국과 같이 유행이 빨리 바뀌지 않는다는 점. 타 유럽국가와는 다른 우크라이나인 들만의 스타일이 있다는 점을 파악해 창업 시 올바른 타깃팅을 해야 한다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다는 것을 염두 해야 한다. 또한 한국 패션에 있는 귀여운 스타일 등 몇몇은 우크라이나에서 존재하지 않거나, 현지인들에게 매우 생소하다. 따라서, 현지 수요에 부합하는 스타일을 알기 위해서는 현지인들의 선호도를 설문 등으로 파악하고, 관심이 높은 상품 군을 추려내어 무료로 입어보는 행사 등 현지인들의 패션에 대한 관점 파악 및 인지도 확보가 중요하다.
자료원: WTA, 기타 관련 뉴스자료, 한국외대 코어사업단 'Наша Мода' 현지설문 조사자료, KOTRA 키예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