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석학 및 광물학
1. 남한의 PH와 열원은?
☞알칼리성( PH : 7.7~9.5 )
☞ 옥천지향사대의 대보화강암, 경상계 화강암의 불국사화강암
2. 우리 나라의 경우 온천의 분포를 지질구조적으로 3대분하여라.
☞ 경기육괴, 옥천지향사대, 제3기 화산암대의 경상계
3. 영향반경( radius of influence )에 대해 설명하여라.
☞ 어떤 기간중의 양수로 지하수면이 낮아지는 범위는 대체로 원형으로 나타나며, 이 범위의 반경을 영향반경이라 한다.
영향반경,
( (H-hw) : 지하수의 수직적 변화, C : 계수, K : 투수계수 )
4. 찬정(= 피압정)이란 무엇인가?
☞ 투수층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불투수층이 있을 경우, 투수층이 물을 함유하고 있을 때,
아래로 경사진 구조에서 구멍을 뚫어 투수층에 도달하면 사암층의 물이 솟구쳐 올라오는 우물.
5. 지하수의 화학성분은 ?
☞ 주성분 : HCO3-, SO42-, Cl-, K2+, Na+
Ca > Na > Mg> K, HCO3 > Cl > SO4
6. 온천의 결정요인은 무엇인가?
☞ 온도, 수질, 용출량
7. 온천의 성인을 설명하는 설에는 무엇이 있는가?
☞ ① 순환수설, ② 마그마설, ③ 열수용액설
8. 온천을 온도에 따라 분류하여라.
☞ 일반적으로 온천이란 수온이 25℃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 냉천 : 25℃이하
┣ 미온천 : 25~34℃
┣ 온천 : 34~42℃
┗ 고온천 : 42℃이상
9. 지하수위를 변화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 시간, 유량, 사용량, 대수층의 유형, 기압과 중력의 변화, 조수
10. 지하수위보다 수위가 높을 경우 부분적으로 올라오는 우물은 ?
☞ 피압정( 찬정)
11. 지하수룰 화학성분에 따라 분류하여라.
┏ S1 : Na2SO4형 ..................일차염도(Primary Salinity)
┣ S2 : CaSO4형 ..................이차염도(Secondary Salinity)
┣ A1 : NaHCO3형 ................Primary alkalinity
┗ A2 : Ca(HCO3)형 ................Secondary alkalinity
12. 지하수정을 구분하여라.
☞ ┏ 자유면정(water table well) : 우물물의 높이가 지하수면의 높이와 같은 경우의 우물
┣ 봉압정(unconfined well) : 양수를 계속하면 우물물의 높이가 지하수위보다 낮아지며
┃ 난대수충으로 떨어지는 우물
┣ 피압정(찬정, artesian well) : 우물물의 높이가 지하수위보다 높은 우물로서 지하수면위 ┃ 로 분출될 수 있다.
┗ 자분정(flowing well) : 우물물이 저절로 지표위로 분출되는 우물
13. 온천수룰 화학성분에 따라 분류하여라. 「인 온천」
☞ ┏ 단순천 : TDS가 1000ppm이하일 경우(= 온천수 1ℓ당 유리탄산 및 고형물질이 1g이하
┣ 식염천 : TDS가 1000ppm이상이고, Cl, Na 이온함량이 1000ppm이상인 경우
┣ 단순탄산천 : TDS가 1000ppm이하이고, CO2가 1000ppm이상인 경우
┣ 유황천 : 유황이 미량(1ppm)이상으로 존재할 경우
┗ 방사능천 : 라디움(Ra)이 6×10-7ppm이상으로 존재할 경우
라돈(Rn)이 30×10-10 curie/ℓ이상 존재할 경우
14. 다음 용어들을 설명하시오
☞ ① 간극비(공극비) : 흙입자의 체적에 대한 간극(공극)의 체적의 비
② 간극률(공극율) : 흙덩어리 전체 체적에 대한 공극의 체적의 비율
③ 포화도 : 간극의 체적에 대한 함수부분의 체적의 비율
④ 함수비 : 흙입자의 중량에 대한 수분 중량의 비율
함수율(흡수율) :
★ 흙덩어리의 무게 W와 함수비
을 알 때....
⑤ 비중 : 흙입자의 단위중량에 대한 증류수의 단위중량의 비
⑧포화단위중량
⑥ 전체단위중량
⑦ 건조단위중량
⑨ 수중단위중량
☞ 상호 관계식 ①
②
③
15. 흙의 연경도란 무엇인가?
☞ 점착성이 있는 흙은 함수비가 감소함에 따라 액성 →소성→반고체→고체의 상태로 변화하 며 이러한 흙의 성질을 흙의 연경도라고 한다.(이들 각각의 변화 한계를 Atterberg한계라 한다.)
① 액성한계 (WL) : 흙이 액성과 소성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로서 액성한계 측정접시에 흙(#40)을 넣고 규정된 기구로 홈을 판 다음 1cm높이에서 1초간 2회의 비율로 25회 낙하시켰을 때, 유동된 흙이 약 1.5cm의 길이로 합쳐졌을 때의 함수비
② 소성한계( WP) : 점토질 흙을 1/8inch 정도로 실을 꼬았을 때, 지름 8mm가 된 상태쯤 에서 진흙실 자체에서 수분이 증가되어 금이 생길 때의 함수비
③ 수축한계(WS) : 흙의 함수량을 어떤 양 이하로 감하여도 그 체적이 감소하지 않고,
함수량을 그 이상으로 하면 체적이 증대하는 한계의 함수비
④ 액성지수(I L) : 흙이 자연상태에서 함유하고 있는 함수비의 정도를 표시하는 지수
(Wn : 자연함수비)
⑤ 연경지수 (IC) :
⑥ 소성지수 (IP) : 균열이나 점성적으로 흐름없이 쉽게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는 범위로서 소성한계와 액성한계와의 차이
(소성지수가 크면, 소성이 풍부한 흙, 즉 압축성이 큰 흙)
⑦ 수축지수(IS) : 소성한계와 수축한계와의 함수비 차
⑧ 유동지수(If) : 타격횟수와 함수비의 상관도를 작성했을 때, 그 경사를 말하며 타격횟수 ★ N1일때의 함수비 w1, N2일 때 w2라 하면,
첫댓글 이런식으로 255번까지있고 나머지과목도 정리되어있습니다.
여기 카페에도 있는 자료인데요,,,, 수정이 되어 있다구요?
그래요? 파일안에 수정됐다고 써졌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