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월, 수,금요일은 내가 집에 있어야하고 화,목,토요일은 대외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날이기에 어젠 화요일이여서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래포구 주변을 트레킹할 예정이었다가 오후엔 우천시라는 일기예보가 되어 있어서 비가와도 피할 수 있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소재한 유서(由緖) 깊은 봉은사 주변을 트레킹하려고 새벽부터 계획을 세우면서 자차로 갈까했지만 지하철 로선(路線)을 검색해보니 양주역에서 1호선 전철로 가다가 회기역서 중앙선오로 환숭 왕십리에 가서 다시 분당선으로 환승 강남구 선정릉에서 9호선 다시 환승 봉은사역에서 내리니 01:35분이 소요시간이었는데 정차 시간없이 정상적으로 가면 85분인데 청량리역에서 지체(遲滯)하던 시간이 길어서 도착시간이 늦었답니다. 조선국 건국시 종교이념이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을 자기의 주의나 주장, 처지를 어떤 명목을 붙여 앞에 내세워 표방(標榜)했는데 려말선초(麗末鮮初)를 거치면서 고려말 학자이면서 고관(高官)이었던 정도전이 조선건국에 주도적으로 일정한 자격으로 자신이 하여야 할 맡은바의 역할(役割)을 진행하면서 고려말 부패한 불교와 정도를 어지럽히는 요사스러운 승려들의 일탈한 행위가 백성들의 원성을 불러일으키는 말기현상(末期現象)을 보이는 상태여서 조선건국의 이념에 부합(符合)하지 못하여 산으로 내몰렸다가 내세가 없는 유교가 세퇴하면서 세조를 비롯한 조선 후대의 제왕들이 불교의 사찰들을 재건하고 생명체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고 석가나 승려가 열반계로부터 부활한다는 이른바 살아생전의 업보에 따라 윤회(輪廻)한다는 불교의 교리가 민중의 심리를 파고들면서 고려 때의 불심(佛心)이 되살아나 오랜 불교의 맥(脈)을 이어주어 오늘 날 봉은사 주변은 자유 무역을 통한 업계의 이익 옹호와 공동체 회원국 무역업계의 환경 개선 및 발전을 목표로 1977년에 설립된 한국 무역협회가 유럽 무역업계의 대변인 역할을 하고 유럽 공동체의 자유 무역을 주창하며 무역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교환한다는 국영 기업인 KOTRA가 민간기업의 수출 진흥을 위하여 해외 시장 조사, 국내 산업과 상품의 해외 소개, 수출입 거래 업무 등을 담당하여 우리나라의 무역 진흥을 위한 일을 하는데 무역협회 관련기관들이 강남구 삼성동에 몰려있어서 대한민국의 경제중심지가 되어 작은 산을 포함한 터를 가진 봉은사는 자연재해와 전쟁피해를 입은 세상의 어려움이나 위험에 빠진 사람들을 돕거나 구하여 주고 고통받는 사람들을 제도(濟度)하기 위한 불심(佛心)을 이루려고 노력한다는 느낌을 갖게됩니다.
봉은사경내를 돌고 스님들이나 불자들의 명상코스인 산을 걸으면서 사찰(寺刹)의 웅장함과 땅에서 오래 묵어 높이 자란 나이가 많고 키가 큰 고목(古木)들이 숲을 이룬 자연속의 향기를 호흡하며 걷다가 나와서 빌딩들이 숲을 이룬듯한 그 앞의 대로에는 큰 지하시설물을 건설하느라 대형 공사가 한창인 빌딩 앞의 인조 잔디 길을 걸으며 멋지게 꾸며놓은 조형물(造形物)들을 카메라에 담가도 하다가 해질 무렵 집에 돌아오니 20:30분이었습니다...
봉은사 영산전 신중도[奉恩寺 靈山殿 神衆圖]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봉은사 영산전에 있는 신중도.
내용
신중탱화는 부처의 정법(正法)을 수호하는 신중(神衆: 신들의 무리)을 그린 불화로, 조선시대 이후 사찰의 주요 전각에 빠지지 않고 봉안되어 왔다. 봉은사의 신중도는 영산전을 건립하면서 1895년에 일괄로 제작한 불화 가운데 하나이다. 가로로 긴 화폭에 동진보살이라고도 불리는 위태천이 중앙에 위치하였고 새 날개 모양의 장식이 달린 투구를 쓰고 무기를 가로로 들고 있다. 그 양옆에 제석과 범천, 일궁·월궁천자, 천동·천녀가 자리하였고, 그 앞에 8명의 신장이 무장을 한 채 서 있다. 붉은색을 주조색으로 하고 청색, 녹청 등을 사용하였는데, 짙은 코발트블루의 사용은 시대적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화기에 따르면 수화승 상규를 비롯해 총 5명의 화승이 함께 그렸으며, 비구와 비구니, 그리고 기유생 이씨가 시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신중탱화의 연구(Ⅰ)」(김정희, 『한국의 불화』4, 199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6-21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