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ak9Cafe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카페지기 방 중국 대표팀의 부진한 성적에 대해 (사견입니다.)
Oscar 추천 2 조회 2,070 17.11.13 19:47 댓글 6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7.11.13 23:16

    예, 감사합니다 😊

  • 17.11.13 23:26

    판젠동이 DHS로 바꾼걸 홍보수단으로 쓰고 싶지 않다고 하시는데. 그립만 바꾼 비스카리아였을 때에는 왜 스티가 인피니티 쓴다고 홍보하셨을까요?

  • 작성자 17.11.14 00:09

    비용을 들여 선수를 통한 홍보의 권한에 대해 선수와 계약을 한 스티가는 선수의 용품에 대해 홍보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브랜드의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디면 그 책임은 계약 위반자에게 있으며 에이젼시인 탁구닷컴은 스티가나 계약 선수로부터 공식적인 답이 없으면 나서서 계약 내용과 다른 사실을 표명할 수는 없습니다.

    지금 상황은 그것과 차이가 있습니다. 계약 당사자인 스티가 선수들이 공공연하게 계약 위반 행위를 대내외적으로

  • 작성자 17.11.14 00:07

    증명하고 있으며 이것은 스티가 에이젼시로서는 매우 슬픈 일입니다. 제 기본적인 입장은 선수가 원하지 않았는데 강제적으로 이런 일이 일어 났다고 생각 됩니다만, 이것은 확정지어 말할 수 없는 일이지요.

    그렇지만 DHS의 에이젼시 입장으로는 타 브랜드 계약 선수가 DHS 제품을 사용함으로 매우 좋은 일입니다. 사안의 내면을 알지 못 하면 DHS를 위해서 홍보용 소스로 사용할 법한 일입니다. 그러나 그 이면을 알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 17.11.14 00:52

    관점을 바꾸게 만드는 좋은글 감사합니다.

  • 작성자 17.11.14 01:45

    예~^^ 항상 수고가 많으십니다 ~^^

  • 2013년 폴리볼로 바뀐해가 서효원의 전성기였고
    주세혁이 회전량이 줄어서 수비수는 앞으로 힘들것이라고 인터뷰도 했었으나
    이후에 걱정한것보다 파장은 없었다고했었죠
    실제로 전성기 만큼은 아니지만 성적은 꾸준했었고 한국을 계속대표해 나갔었구요

    그 당시에도 중국은 공의 회전량이 적어진들 최강 중국을 유지했으니까요

    물론 폴리볼때보다 더 회전량이 죽었으니 영향이 클꺼다 라고 주장할수도 있겠지만

    계속 부진하던 서효원의 수비가 이번 독일오픈에서 더 성장한걸로 보면
    그 영향이 그렇게 크지 않을꺼라봅니다

    물론 파워가 좋고 렐리에 능한 유럽선수들이 다문 몇퍼센트라도 유리한 영향을 받았을꺼라 생각되지만

  • 압도적이던 중국을 무너뜨린 주요 이유라고 생각진 않아요

    너무 답을 찾으려고 머릴싸메고 생각하다보면 남의 의견은 틀림!!으로 보일수 있으니

    모든 주장들이 조금의 근거가 되어
    지금 2017년의 중국탁구는
    세계가 넘사벽으로 바라보던
    예전에 비해 너무 많이 지고있다!!!

    이 현실이 전 너무 즐겁습니다~^^
    더이상 중국애들이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에서 탁구는 재미없다(보나마나 금메달이니) 이 딴소린 안듣게되었으면 합니다
    계속해서 쭈~~욱

  • 17.11.14 08:12

    잘 보았습니다 ^^

  • 17.11.14 08:22

    폴리볼로 바뀔때도 말이 많았지만 큰 변화는 없었지요. ABS볼도 마찬가지일거라고 생각해요. 바닥 하늘색으로 바뀌었을 때 제일 먼저 바닥 바꿔서 준비했던 나라가 중국입니다. 중국이 바뀐 공 관련해서 준비못할 정도의 탁구 인프라가 아니죠. 오스카님의 의견처럼 중국의 정치상황과 탁구가 맞물려 직간접적으로 중국선수들에게 영향이 미쳤다는 것이 가장 reasonable 하게 들리네요.

  • 17.11.14 09:48

    뭐든지 스포츠에 정치가 개입되면 문제가 생기는것 같습니다. 모든 스포츠에는 정치적중립원칙이 지켜져야 하는데 말입니다.
    탁구를 중국이 재패하고 있다보니까 그 영향력들이 참으로 대내외적으로 많이 나타나는것 같습니다.

  • 17.11.14 13:33

    비슷하게 한국스포츠는너무 정치적이다라는 느낌이 들지는 않은가 고민해봅니다.오픈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들은 고인물과 같이 썩기 마련인데 한국에서 예체능의 풀은 정말 편협해 끼 많은 선수들이 재능을 다 발휘못한다는게 너무 아쉽습니다.

  • 17.11.14 09:55

    저도 최근 결과를 보면서 감독의 영향력이 생각보다 컸구나 하고 느끼고 있습니다. 선수들은 탁구는 물론이고 탁구 외적으로도 류궈량에 상당한 신뢰를 갖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 17.11.14 11:33

    지난 월드컵 탁구와 이번 독일 오픈...토너먼트에서 중국선수 이기고 독일선수들끼리의 우승 부럽기도 했지만...한번으로 중국선수들의 변화 특히 경기중 결정적인 순간 류궈량 작전타임으로 선수들 플레이가 변했던 그런게 없더라구요...류궈량 감독이 중국선수들에겐 정말 큰 기둥이였나봅니다^^

  • 17.11.15 17:54

    저도 개인적으로 공때문만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감독문제로인해...중국선수들이 즐겁지 않게 플레이하는거 같은 느낌이고 .. 100%아닌 70~80% 정도로 탁구친다는 느낌받았습니다.

  • 17.11.18 10:03

    스웨덴 오픈에서 쉬신이 하리모토에게 힘겹게 이기고 인터뷰한 내용이 ITTF 뉴스 기사에 떴군요. 아직 새 플라스틱 공에 적응하는게 힘들다고...
    “I was prepared for a long match, a hard match; after losing the fourth game I had to make some changes to my play. I had to try to play with more control; I’m still finding it difficult adjusting to playing with the new plastic ball.” Xu Xin

  • 작성자 17.11.18 18:56

    예, 그렇군요 ~^^

  • 17.12.28 22:52

    좋은글 감사합니다

  • 18.04.10 15:35

    어디서든 정치는 ...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