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 삼락둔치. 구포다리도 보이고 뒤편 좌측 멀리 고당봉, 중앙에 파리봉,상계봉, 우측에 백양산 주지봉기슭이 보인다.
1954년 삼락둔치와 신라고무('68년도에 국제상사에서 인수), 오른쪽에 사상초등학교의 모습도 보인다.
사상초등학교에 주둔했던 미육군518통신중대에서 근무한 분이 촬영한 사진이다.
1954년 위 사진보다 좀 더 오른쪽이다. 삼락둔치,사상초교,하강선대,삼락천이 보이고 오른쪽 중앙 사상초교 교장사택도 보인다.
1970년대 삼락둔치 선착장. 뒤편에 구포다리와 고당봉이 보인다.
1970년대 삼락둔치 대저 방향
1970년대 삼락둔치 좌측 백양산 줄기, 우측 엄광산 줄기
1977년 삼락둔치, 백양산자락과 국제상사가 보인다.
1977년 삼락둔치. 논농사도 밭농사도 많이 지었다. 뒤편 국제상사를 비롯한 공장들, 우측 엄광산
1980년대 삼락둔치 행사, 뒤편에 비닐하우스가 많이 보인다.
1980년 감전둔치
1980년 낙동강둑과 감전둔치, 낙동강살리기 삼페인
1989년 삼락둔치와 낙동강둑 자연보호운동
1990년 좌측 국제상사와 삼락천, 중앙 낙동대로와 낙동강둑, 우측 감전둔치와 삼락둔치
1991년 삼락둔치, 모라동 방면
1997년 감전둔치와 삼락둔치
첫댓글 상전벽해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