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주택(게르)의 패시브솔라난방
<개선 컨셉>
1. 기존 난방용 땔감의 사용량 절감.
2. 게르의 단열 정도의 개량.
3. 낮의 태양에너지를 밤에 이용할 수 있을 것.
몽골지역은 위도가 높아 태양고도가 낮지만, 하늘이 맑아 햇빛이 강렬하기 때문에 태양에너지의 집열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기온이 영하30~40도라도 청명한 낮동안에는 파라볼라형 태양열조리기의 초점에 검은종이를 대면 1초 후에 불타기 시작하며
1리터의 물을 20분만에 끓일 수 있을 정도로 햇빛이 강렬하다. (현지 테스트결과 by Fujimura)
4. 게르형 가옥에 솔라난방장치(나무선반)가 잘 매칭될 것.
5. 하루종일 온도가 극단적으로 낮은 조건에 만족할 것.
6. 유목민의 수입레벨에 맞는 비용. (양 4마리 한도)
7. 이동하기 쉬울 것.
<몽골의 기후특성>
몽골의 기후는 전형적인 대륙성기후인 건성 냉대기후(Foreal realm)지대에 속하여 연평균 기온이 영하 2.9℃ 이다. 일년중 6개월이 평균온도 0℃ 이하이고 가장추운 1월은 전국 평균-15℃ ~ -33℃ 이다. 반면 가장더운 시기는 7월이며 14℃~23℃ 이다. 생활하기가 가장 좋은 계절은 여름부터 가을까지로 습기가 없고 상쾌한 날이 이어진다. 일년중 맑은날이 250일 정도이고 흐린날은 9~23일 정도이다. 또한 평균 기온이 0℃ 이상 되는 기간이 전국평균 170~190일 정도인데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많아져 남부 및 동남지방은 200-215일 정도가 된다. 겨울은 낮에도 상당히 추우며 야간의 경우 영하 50℃까지 내려갈 때도 많다. 그러나 체감온도는 생각보다 춥지않은데 그이유는 습도가 낮아 건조하기 때문이다. 봄(4~5월)에는 돌풍, 사풍이 불거나 기압이 갑자기 떨어지는 변화가 자주 일어난다.
몽골의 강수량은 매우 적으나 5월 중순 경에는 비와 눈이 자주온다. 연평균 강우량은 208mm로 매우 적은 편이다. 또 몽골의 강수량은 계절에 따라 매우 불규칙하다. 가장 추운 시기인 10월에서 다음해 3월까지는 년 강수량의 8~10% 정도 밖에 내리지 않는다. 반면 여름인 6월에서 8월까지는 년 강수량의 67%~78%가 집중적으로 내린다. 일년중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 달은 7월이고 가장 적은 달은 1월이다. 사실상의 여름인 7~8월에 년간 강수량의 약 70%가 내린다. 눈은 10월에서 다음해 4월까지 주로 내리며 산간 지방에서는 5월까지도 내린다. 1년에 250여일 정도 구름이 없는 맑은 날씨를 볼수가 있다. 또한, 몽골은 연평균 100~200㎜ 의 강우량을 기록하면서 풀이 자라는 최적의 조건이 형성되며 바람의 연간 평균속도는 2~3m/sec 이다.

▲ 게르의 패시브솔라난방의 기본구조

▲ 나무선반 완성 (아래 위의 틈새는 공기의 上 ,下 이동 통로로서 게르 내부와 연결되어 자연순환)

▲ Pet병 설치 (병속에는 집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검정먹물 첨가)

▲ Pet병 설치완료 (양쪽 날개는 반사 단열판 시공)

▲ 흡열판넬(4장/set)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판(동판, 알미늄판)에 흑색도료 도색 추정. (겉에는 투명유리 덮개)

▲ Pet병 전면에 흡열판넬 설치

▲ 나무선반 주변의 틈새는 현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펠트(Felt 양털)로 촘촘히 단열

▲ 완성

▲ 야간에는 반사 단열판을 닫는다 (난방의 경우)

▲ 측면
※ 하절기(여름)에 냉방이 필요할 경우, 겨울철 난방과 정반대로 하면 된다.
즉, 낮동안에는 반사단열판을 닫아 태양의 열기를 차단하고, 야간에는 반사단열판을 열어 방사냉각을 하면
Pet병속의 물이 차가워져 그 냉기로 다음날 주간에 냉방할 수 있다.
첫댓글 지혜롭네요~~^^허
호르몬 페트병도 모아두었다가 이렇게 쓰면 되겠어요. ^^
멋진 아이디어 입니다. 저도 한번 만들어 봐야겠네요. 그런데 검정먹물은 나중에 가라안자 맑은 물이 되어 버릴텐데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앗차... 그렇군요. 역시 퍼오기를 잘 했네요. 생각도 못했는데 예리하시당!!!
페인트칠이나 검은 천을 감는 건 어떨까요?
일반먹물은 그럴수도 있는데 프린터 무한공급기용 잉크는 끄덕없더군요 워낙 입자기 미세해서 계속 떠다닙니다 주위에 많이 쓰실텐데 좀 얻어다가 넣어보세요
그게 아니더라도 어짜피 펫트병안의 검정물은 햇볕을 밭으면 안에서 열순환을 일이키며 돌기때문에 괜찮을것같습니다
굳~! 아이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