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도 해안 산책로(影島海岸散策路)
1.소 재 지: 부산 영도구 남항동, 동삼동
2.개 요
영도 해안 산책로(影島海岸散策路)는 녹색 성장 및 일자리 창출 작업인 희망 근로 프로젝트의 하나로 진행된 부산 갈맷길 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 조성되었다. 갈맷길은 2009년부터 부산의 산과 강, 해안에 조성되기 시작하여 2010년 21개 코스가 지정되었다. 갈맷길은 슬로우 라이프를 실현하고 생태 도시로 나아가는 기초 인프라가 되고 있다. 2009년 조성된 절영 해안 산책로와 감지 해변 산책로에 태종대 순환 코스를 연결하여 갈맷길 코스로 만들었다.
ㅇ절영해안산책로
절영(絶影)은 다름 아닌 영도구의 옛 이름. 그러니 절영해안산책로는 영도의 해안산책로라 할 수 있겠다. 이 길은 본래 지형이 가파르고 험난한 데다,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일반 시민들의 접근이 어려웠던 곳이다. 지금은 드넓은 바다 풍경을 중심으로 약 3km의 산책로가 조성돼 있어, 천천히 바다를 감상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절영해안산책로는 영도의 상징인 영도대교를 지나 영선동 로타리에서 제2송도 바닷가 쪽으로 500m정도 가다 보면 반도 보라 아파트, 그 다음 절영 해안 산책로 입구에 있는 관리동 및 휴게 시설이 산책객을 맞이한다. 대마도와 송도 쪽으로 바다 풍경을 배경 삼아 조성되어 있는 연장 3㎞의 해안 산책로는 걸을 때마다 경치가 달라지며, 장승과 돌탑, 출렁다리, 장미 터널, 파도 광장, 무지개 분수대 등 볼거리, 즐길 거리가 곳곳에 마련되어 있다. 절영 해안 산책로를 지나 영도구 동삼동 쪽으로 발을 돌리면 태종대 감지 해변의 해안선을 따라 조성된 약 3㎞의 산책로가 해안 경관을 자랑한다.
ㅇ감지 해변 산책로
감지 해변 산책로는 1997년 IMF(국제통화기금) 사태 직후 영도구청이 시행한 공공 근로 사업으로 조성되었다. 사업 기간은 2년 3개월, 하루 평균 260명, 연인원 10만 5000명의 근로 인력이 투입되었다
천혜의 관광 자원인 태종대 감지 해변의 해안선을 따라 조성된 약 3㎞의 산책로로 약 40분 정도가 소요된다. 본래 해안을 따라 형성된 옛길로 절영 해안 산책로와 태종대 사이에 있는 중리산 허리를 끼고 조성되어 있다. 이곳에는 운동 시설과 전망대, 파고라 등 부대시설을 설치하여 해안길 트레킹 코스를 만들었다.
감지 해변 산책로 변에는 벌개미취 등 우리 꽃 10종, 2만 4000본을 식재하여 청소년들의 자연 학습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운동 시설, 전망 정자 등의 부대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절영 해안 산책로와 연계한 도심 속의 쾌적한 산책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ㅇ감지 해변 산책로에서 태종대 입구로 이동하면 4.3㎞의 태종대 순환 탐방로 걷기 전용 길이 있다.
☞교통편
절영 해안 산책로를 가려면 부산역에서 88번 버스를 타고 영도 대교에서 내려 다시 6번, 7번, 9번, 70번을 이용해 테크노고등학교에서 내린다.
ㅇ부산 지하철 1호선을 타고 남포동역에서 하차하여, 6번, 7번, 70번 버스를 타고 테크노고등학교에서 내려 걸어간다. 주변에는 오륙도, 태종대 해수욕장, 국제 크루즈 터미널, 함지골 청소년 수련관, 영도 문화 예술 회관 등이 있다
ㅇ코스
영도 해안 산책로는 절영 해안 산책로에서 감지 해변 산책로을 지나 태종대 순환로를 포함하여 총 12.2㎞로 이루어져 있다. 코스는 남항 대교~반도 보라 아파트~중리 해녀촌~75 광장~감지 해변 길~곤포 유람선 선착장~남항 조망지~전망대~태종대 입구~태종대 순환 코스~하리 선착장으로 이어진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0940~47 85광장 주차

09:46 85광장의 이정표

0946 85광장의 안내도

09:46 85광장의 유래

0948 85광장에서 내려서면 태평양전망대

0950 중리해변으로 내려서다

0952 해안가를 걸으며 중리해변을

0953 중리해변 입구의 이정표

0958 중리해변 주차장에서

0959 중리해변의 방파제

1006 중리해변에서 산길을 따르면 중리산삼거리 갈림길

1006 삼거리의 이정표

1009 포장임도 만나는 지점에

1010 임도의 이정표

1015 임도 조망처에서 남항대교를

1015 임도조망처에서 다대포쪽과 암남공원쪽

1017~34 헬기장에서 목을 축이고

1039 경마장 갈림길

1039 경마장 갈림길의 이정표

1044 조망데크서

1046 임도 안전펜스에 갈맷길 푯말

1046 체육시설

1049 조망데크에

1049 조망데크의 안내도

1050 조망데크 아래 정자

1051 감지해변으로 가면서

1054 감지해변의 조망데크

1055 감지해변 조망데크의 이정표

1055 감지해변 조망데크의 포토존

1056 포토존에서 감지해변을

1058 도로 삼거리쪽의 이정표

1059 감지해변으로 내려서면 이정표

1102 감지해변 끝의 조개구이촌

1105 태종대 유원지 입구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1106 태종대 유원지 안내소

1107 다누비 열차 탑승장 광장에

1109 광장의 이정표

1109 곤포유람선 입구에

1110 곤포유람선쪽으로 가다 자연헌장보호비를

1112 순직장병 추모비도 만나고

1114~19 원양 어업 개척비에

1115 원양어업개척비에서 태원자갈마당을

1116 원양어업개척비에서 바위절벽을

1116 원양어업개척비 앞의 벤치

1117 인증샷을 하고

1117

1117

1117 바위절벽과 바다를

1118 팔당도

1118 영호와 회장님

1120 도로로 나오면서 광장의 소나무를

1121 광장의 포토존

1122 도로로 나오면 태원유람선 입간판

1127~30 구명사 입구

1127 구명사 입구에 창건비화

1129 구명사 대웅전과 2층 천불전, 범종각을

1129 구명사 종각 공덕비

1129 구명사 종각을

1132 도로가의 약수터

1135 남항조망지에

1135 남항조망지서 본 조망

1137 남항조망지의 조망도

1137 남항조망지서 본 조망

1144 태종대 전망대 모습을

1145 태종대 전망대전의 조망도

1149 태종대 전망대의 모장사

1149 태종대 전망대의 이정표

1149 태종대전망대의 설명판

1155~1201 태종대 등대의 가파른 길 나혼자 내려선다

1157 가파른길 내려서면 만나는 완만한길에서

1158 해기자 명예의전당에서 등대모습을

1159 해기사 명예의 전당

1206~14 태종사 입구 조망데크

1208 태종사입구의 조망데크의 거울에

1215~22 태종사 입구 이정석에

1216 태종사로 가다 무명용사비에

1216 무명용사비 앞에 유격부대 유적비를

1218 태종사 대웅전 옆에

1218 태종사 대웅전을

1218 대웅전과 석탑을

1219 진신사리탑 전각을

1219 진신사리탑 내부를

1220 진신사리 설명

1220 대웅전 불상을

1221 내부 불상 좌측 탱화를

1225 태종대 유원지 입구로 가며 시민헌장비

1237 다시 다누비열차 승강장 광장에서 우측으로

1238 태종대 유원지 입구로 가다 소나무를

1239 쓰레기 홍보판을

1242~57 태종대 입구 표지석을

1242 유상일씨

1243 윤형석씨

1243 고판용씨

1243 다시 윤형석씨

1244 김영호도

1247 태종대 입구 좌측의 의료지원참전 기념탑 설명판

1248 의료지원단 참전기념탑

1248 의룔지원단 참전기념탑에서 동삼2동쪽을

1251 유원지 입구의 관광안내도

1333 나홀로 다시 중리해변 입구에

1341 85광장 아래 태평양전망대에 다시 회귀

1344 절영해안로로 가다 장미터널을 지나고

1348 가파른 스텐계단을 내려서 해안가에

1350 다시 계단을 오르며 내려온 계단을

1351 절영전망대에

1351 절영전망대서 본 모습

1351 절영전망대의 조망도

1351 절영전망대서 본 남항대교 모습을

1352 절영전망대 위 이정표

1354 절영전망대서 내려서면 노래미낚시터 갈림길

1356 노래미낚시터 모습을

1356 출렁다리를 만나고

1358~1425 매점 앞 갯바위서 오찬을

1404 오찬 메뉴를

1404 갯바위서 본 모습을

1419 오찬 후 모습을

1427 대마도 전망대의 안내도

1427 대마도 전망대 모습을

1428 하늘전망대 갈림길의 이정표

1431 무지개다리 갈림길 계단 모습을

1432 아래서 본 무지개다리

1440 도로서 내려서는 365계단 모습을

1442 해녀촌 모습을

1442 해녀촌에서 본 남항대교와 해안터널 입구

1444 해안터널 입구 모습을

1445 해안터널 내부를

1445 터널 내부 터치러브 판(손을 대면 하트가 반쪽씩)

1446 터널에서 남항대교를

1448 터널을 나와서

1457 절영해안로 벽화모습을

1500 관리동 앞의 안내도

1501 절영해안로 입구 모습을

1509 남항대교 아래서 이정표를

1511 사거리서 횡단보도 건너서 좌측으로

1518 영도전차 종점 기념비 뒷면

1520 길을 건너서 영도전차종점기념비를

1530 기념비에서 계속 직진해 오면 선진앤텍 선박 수리공장에서 자갈치위판장을

1530 영도대교를

1531 자갈치시장 건물을

1540 남포동으로 가는 이정표를 따라서

1545 영도대교 교각에

1545 교각에 새겨진 연혁을

1550 남포동지하철 역에

1552 남포동지하철 내의 부산명품길 안내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