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명상의 심리 치유적 효과- 영상관법에 의한 상담사례를 중심으로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of Breathing Meditation - Focused on Counselling Cases through Reflected Image Meditation (RIM) -
저 자 ; 김형록(인경)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발 행 ; 한국불교학회
키 워 드 ; 호흡명상 질적연구 알아차림 주의집중 통찰 통찰
Breathing meditation, Reflected Image Meditation (RIM), Mindfulness, Field studies, Qualitative approach
아래의 항목을 클릭하면 관련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초 록
본 연구는 호흡명상과 관련된 질문지 조사연구와 질적 사례의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하였다. 첫째는 현대 수행자들의 호흡명상의 치유적 효과에 대한인식조사이고, 둘째는 호흡명상이 감정조절에 어떻게 효과가 있었는지에 초점을 맞춘 영상관법에 의한 사례연구를 하였다.
첫 번째, 설문지에 대한 분석은 60개의 설문가운데 회수된 39개를 통계적방법과 질적 분석을 혼합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전통적인 문헌연구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호흡명상의 치유적 효과에 대해서 알아차림, 주의집중, 고요와안정감, 맑은 마음, 감정조절, 이완, 통찰과 같은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여 주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두 번째, 호흡명상은 왜 심리치유적 효과가 있을까에 대한 영상관법의 사례연구인데, 여기에 의하면 호흡명상은 다른 생각을 ‘방지’하고, 산란한 생각에서 ‘중심’을 잡게 하고, 올라간 기운을 아래로 ‘끌어내리고’, 마음의 다양한현상을 ‘관찰’하게 하고, 미처 깨닫지 못한 부분을 ‘통찰’하게 한다는 것이다. 호흡명상을 하게 되면 바로 이런 변화요인들이 심리치유적 효과를 가져다준다고 말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논의에서는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는데, 호흡명상의 효과를 ‘접촉과 분리’의 메커니즘으로 불교심리학적 관점에서 설명하였고, 이것을 다시간단하게 서구의 심리학에서 개발한 생리학적 의미와 체계적 둔감화 등과 비교하였다.
목 차
Ⅰ. 서론
Ⅱ. 호흡명상의 효과에 대한 인식조사
알아차림(sati)
집중(samatha)
주의집중
고요, 안정감
맑은 마음
이완과 감정조절
통찰(vipassana)
Ⅲ. 감정조절과 호흡명상의 역할
1. 개인사례
2. 증거사례의 확장
Ⅳ. 논의
1. 불교 심리학적 이해
2. 서구심리학적 이해
Ⅴ. 결론
참고문헌參考文獻
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大正藏15).
보조법어普照法語, 탄허 역해, 교림, 1982.
잡아함경雜阿含經 (大正藏2). Majjhima Nikāya, PTS. Visuddhimmagga, PTS.
김재성, 「초기불교에서 오정심관(五停心觀)의 위치」, 불교학연구14 (2006).
이필원, 청정도론에 나타난 호흡수행법,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Vol.1 2008).
강운룡, 「佛說大安般守意經의 呼吸修行法」,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이경희. 「청소년이 경험한 작은 명상」, 질적연구 Vol.12. No.2 (한국질적연구센터, 2011).
인경, 명상심리치료 (명상상담연구원, 2012).
최운ㆍ이광호, 「명상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4 권 제3호 (한국교육심리연구학회, 2010).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소장 법안스님), 「2013년 한국의 사회ㆍ정치 및 종교에 관한 대국민 여론조사 보고서」 ≪불교신문≫, 2013.9.12.
명상치료연구 창간호 (한국명상치료학회, 2008).
입출식념의 수행이론과 실제, 제2회 흥원사 근본불교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005.
Anālayo, Satipaṭṭhāna (Cambridge, Windhorse Publications, 2003), p.126 ; Satipaṭṭhāna-깨달음에 이르는 알아차림 명상수행, 이필원 외 변역 (명상상 담연구원, 2003),
Lawrence E. Shapiro, Robin K. Sprague, The Relaxation & Stress Reduction Workbook for Kids, 아이들과 부모를 위한 스트레스 이완명상, 인경스님 옮김 (명상상 담연구원, 2012).
Thomas Roberts, The Mindfulness Workbook, 알아차림 명상 워크북, 고진아 역 (명 상상담연구원, 2011).
Eifert, G. H., Forsyth, J. P. (2005).
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for Anxiety Disorders: A Practitioner’s Treatment Guide to Using Mindfulness, Acceptance, and Values-Based Behavior Change Strategies. Oakland: New Harbinger Publication. 호흡명상의 심리 치유적 효과 / 김형록(인경) 353 접수일:2015.08.09 심사수정일:2015.08.29 게재확정일:2015.09.04
Segal, Z. V., Williams, J. M., & Teasdale, J. D. (2002).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 relaps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Joseph Wolpe, (1990). The Practice of Behavior Therapy 4th ed., Stony Brook: Stanford University & SUNY.
Zindel V. Segal, J. Mark G. Williams, John D. Teasdal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New York London, The Guilford Press,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