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하익(兪夏益)
[문과] 현종(顯宗) 1년(1660) 경자(庚子)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4위(14/34)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20D558C775B1631X0
자(字) 사겸(士謙)
생년 신미(辛未) 1631년 (인조 9)
졸년 기묘(己卯)【補】(주1) 1699년 (숙종 25)
향년 69세
합격연령 30세
본인본관 기계(杞溪)
거주지 한성([京])【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후기 대사헌, 좌참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사겸(士謙), 호는 백인당(百忍堂).
유대정(兪大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필선 유수증(兪守曾)이다. 아버지는 유비(兪柲)이며, 어머니는 유시보(柳時輔)의 딸이다.
1651년(효종 2)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어 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지평(持平)·사서·정언·부교리·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1667년에 황해도암행어사로 나가서는 수령들에게 신상필벌하여 관리들의 기풍을 진작시키고, 그 뒤 이조정랑·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남인이 숙청될 때 함께 파직되어 문외출송(門外黜送)당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추방되자 풀려나와 도승지에 등용, 그 뒤 이조참판·공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대사헌으로 동지춘추관사를 겸하면서 사고(史庫)의 보존에 대하여 소를 올려 사고의 보존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였다.
1690년 이후 한성부판윤·예조판서·대사헌·좌참찬·형조판서를 역임하고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1694년 갑술옥사로 남인이 정권에서 물러날 때 같이 삭출되었다가 2년 뒤에 풀려났다.
글씨를 잘 썼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유하익(兪夏益))]
[진사] 효종(孝宗) 2년(165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9위(14/100)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비변사(備邊司)
[관인정보]
제수년월 1690 [경오(庚午) 10월 초3일]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출전]
『비변사선생안(備邊司先生案)』(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6005])
[이력사항]
선발인원 34명 [甲3‧乙7‧丙24]
전력 진사(進士)
관직 예조판서(禮曹判書)
관직 홍문관리(弘文館吏)
문과시제 표(表):의당동평장사양염청천하재부진귀좌장(擬唐同平章事楊炎請天下財賦盡歸左蔵)
타과 효종(孝宗) 2년(165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2등(二等) 9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비(兪柲)[進]
[조부(祖父)]
성명 : 유수증(兪守曾)[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유대정(兪大楨)
[외조부(外祖父)]
성명 : 유시보(柳時輔)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허륙(許稑)[生]
본관 : 양천(陽川)【補】
[처부(妻父)2]
성명 : 목행선(睦行善)[文]
본관 : 사천(泗川)【補】
[가족과거]
자(子) : 유세중(兪世重)[文]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거주지 : 『신묘식년사마방목(辛卯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01])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06])
유비(兪柲)
[진사] 인조(仁祖) 5년(162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61위(91/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720BE44FFFFB1605X0
자(字) 여병(汝柄)
생년 을사(乙巳) 1605년 (선조 38)
합격연령 23세
본인본관 기계(杞溪)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수증(兪守曾)[進]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안악군수(行安岳郡守)
[생부(生父)]
성명 : 유시증(兪是曾)[生]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진위현령(行振威縣令)
[안항(鴈行)]
본생가 형(兄) : 유극(兪極)
[출전]
『천계7년8월초4일정묘식년사마방목(天啓七年八月初四日丁卯式年司馬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B13LB-1])
유수증(兪守曾)
[문과] 선조(宣祖) 39년(160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6위(09/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20C218C99DB1578X0
자(字) 자약(子約)
생년 무인(戊寅) 1578년 (선조 11)
졸년 병자(丙子)【補】(주1) 1636년 (인조 14)
향년 59세
합격연령 29세
본인본관 기계(杞溪)
거주지 한성([京])【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시대 전적, 사예, 장령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자약(子約).
유관(兪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호(兪灝)이다.
아버지는 병조참판 유대정(兪大禎)이며, 어머니는 정의신(鄭誼臣)의 딸이다.
1605년(선조 38)에 음보(蔭補)로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에 임명되었다가 시직(侍直)에 전임되고, 같은 해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606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주서(注書)를 거쳐 평안도병마절도사의 막료(幕僚)가 되었다.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일찍이 장인 유영경(柳永慶)이 영창대군(永昌大君)으로 세자로 삼으려 하였던 사실로, 정인홍(鄭仁弘)·이이첨(李爾瞻) 등의 탄핵을 받아 죽임을 당하였다. 그리고 자신도 탄핵을 받자 관직에서 물러나 동교(東郊)의 노원촌(蘆原村)에 은둔하여 경사(經史)를 읽으며 10여년을 지냈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으로 다시 기용되어 함흥 판관(判官)을 거쳐 형조·호조·예조의 정랑을 역임하였다. 이어 전적(典籍)·사예(司藝)를 거쳐 1635년 장령(掌令), 이듬해 필선(弼善)에 이어 강계부사로 나갔다가 임지에서 죽었다.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유수증(兪守曾))]
[진사] 선조(宣祖) 38년(160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17위(47/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甲3‧乙7‧丙23]
전력 세자익위사시직(世子翊衛司侍直)
관직 세자시강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
타과 선조(宣祖) 38년(160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17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대정(兪大禎)[文]
[조부(祖父)]
성명 : 유호(兪灝)
[증조부(曾祖父)]
성명 : 유관(兪綰)[生]
[외조부(外祖父)]
성명 : 정의신(鄭誼臣)[文]
본관 : 광주(光州)【補】
[처부(妻父)]
성명 : 유영경(柳永慶)[文]
본관 : 전주(全州)【補】
[안항(鴈行)]
제(弟) : 유시증(兪是曾)[生]【補】
제(弟) : 유여증(兪與曾)[進]【補】(주3)
[가족과거]
손(孫) : 유하익(兪夏益)[文]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거주지 : 『만력33년을사증광사마방목(萬曆三十三年乙巳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의산古6024-118])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3]안항 : 『만력33년을사증광사마방목(萬曆三十三年乙巳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의산古6024-118])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유대정(兪大禎)
[문과] 선조(宣祖) 21년(158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위(11/34)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20B300C815B1552X0
자(字) 경휴(景休)
생년 임자(壬子) 1552년 (명종 7)
졸년 병진(丙辰) 1616년 (광해군 8)
향년 65세
합격연령 37세
본인본관 기계(杞溪)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시대 동지중추부사, 오위도총부부총관,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경휴(景休).
호조판서 유여림(兪汝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관(兪綰)이다. 아버지는 단성현감 유호(兪灝)이며, 어머니는 한수온(韓守溫)의 딸이다.
1582년(선조 15) 사마양시에 합격하고, 158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과 대교를 지냈다.
1589년 기축옥사에 관련되어, 북평사(北評事)에 좌천되어 가던 도중 파직당하였다.
1591년에 이천현감(伊川縣監)으로 다시 등용되었다. 그 뒤 여러 고을을 다스리고 1609년(광해군 1) 충청도관찰사로 승진하였으며, 1612년 동지중추부사로 오위도총부부총관을 겸임하였다.
1614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 등 대북파의 전횡이 심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1615년에는 오위도총부도총관 겸 비변사당상·병조참판 등에 등용되었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유대정(兪大禎))]
[생원] 선조(宣祖) 15년(158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66위(96/100)
[진사] 선조(宣祖) 15년(158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33위(63/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4명 [甲3‧乙7‧丙24]
전력 참봉(參奉)
관직 한림(翰林)
관직 병조참판(兵曹參判)
타과 선조(宣祖) 15년(158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66위
선조(宣祖) 15년(158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33위
기타 유하익찬지(兪夏益撰誌)
부모구존 영감하(永感下)【補】(주2)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호(兪灝)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단성현감(行丹城縣監)【補】(주3)
[조부(祖父)]
성명 : 유관(兪綰)[生]
[증조부(曾祖父)]
성명 : 유여림(兪汝霖)[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한수온(韓守溫)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정의신(鄭誼臣)[文]
본관 : 광주(光州)【補】
[안항(鴈行)]
형(兄) : 유대희(兪大禧)【補】
형(兄) : 유대기(兪大祺)【補】
형(兄) : 유대록(兪大祿)【補】(주4)
[가족과거]
숙부(叔父) : 유홍(兪泓)[文]
자(子) : 유수증(兪守曾)[文]
[주 1] 거주지 : 『만력무자문무방목(萬曆戊子文武榜目)』(국사편찬위원회[MF A지수532])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구존 : 『만력무자문무방목(萬曆戊子文武榜目)』(국사편찬위원회[MF A지수532])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3] 부관직 : 『만력무자문무방목(萬曆戊子文武榜目)』(국사편찬위원회[MF A지수532])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4] 안항 : 『만력무자문무방목(萬曆戊子文武榜目)』(국사편찬위원회[MF A지수532])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유호(兪灝)
[중앙관] 조선전기 중앙관 병조판서(兵曹判書)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720D638FFFFU9999X5
문무구분 문관
생년 미상(未詳) (미상)
졸년 미상(未詳) (미상)
시대 조선전기
왕대 세조(世祖)
본관 기계(杞溪)
활동분야 관료
항목 병조판서(兵曹判書)
[관인정보]
제수년월 1458 [무인(戊寅)]
[품관 정보]
품관 정2품
[과거 정보]
과거 무과(武科) 급제
[출전]
『청선고(淸選考)』(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603])
유관(兪綰)
[생원] 중종(中宗) 23년(152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61위(91/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720AD00FFFFU9999X0
자(字) 관지(綰之)
본인본관 기계(杞溪)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여림(兪汝霖)[文]
품계 : 가선대부(嘉善大夫)
관직 : 행홍문관부제학(行弘文館副提學)
[처부(妻父)]
성명 : 남충세(南忠世)【補】(주1)
본관 : 의령(宜寧)【補】
[주 1] 처부 : 『계곡집(谿谷集)』 卷之14, 碑銘, [증시충목 유공신도비명(贈諡忠穆兪公神道碑銘)]과 『오봉집(五峰集)』 卷之15, 碑銘○墓誌, [행통훈대부 신계현령 유공묘지명(行通訓大夫新溪縣令兪公墓誌銘)]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출전]
『가정7년무자2월24일생원진사방목(嘉靖七年戊子二月二十四日生員進士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74])
유여림(兪汝霖)
[문과] 연산(燕山) 10년(1504) 갑자(甲子) 별시2(別試2) 병과(丙科) 1[探花]위(03/19)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20C5ECB9BCB1476X0
자(字) 계옥(啓沃)
시호(諡號) 경안(景安)
생년 병신(丙申) 1476년 (성종 7)
졸년 무술(戊戌)【補】(주1) 1538년 (중종 33)
향년 63세
합격연령 29세
본인본관 기계(杞溪)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대사헌, 홍문관부제학,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계옥(啓沃), 호는 정당(政堂).
유집(兪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해(兪解)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유기창(兪起昌)이며, 어머니는 능주 구씨(綾州具氏)로, 훈련원참군(訓鍊院參軍) 구안우(具安愚)의 딸이다.
1498년(연산군 4)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1504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의 검열·봉교, 성균관의 전적·직강을 거쳐 단양과 한산의 군수를 지냈다.
그 뒤 홍문관직제학·전라도관찰사·도승지 등을 역임하고, 1526년(중종 21) 사헌부대사헌이 되었다. 홍문관부제학을 거쳐 1529년 형조판서가 되었으나, 2년 뒤인 1531년 김안로(金安老)의 탄핵을 받아 삭직되었다.
1537년 김안로가 축출되자 예조판서에 복직되었다.
시를 잘하여 남의 애송하는 바가 되었다. 비인의 청절사(淸節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정당유고』 3권이 있다. 시호는 경안(景安)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유여림(兪汝霖))]
[이력사항]
선발인원 19명 [甲1‧乙1‧丙2‧丁15]
전력 생원(生員)
관직 예조판서(禮曹判書)
관직 한림(翰林)
문과시제 시(詩) 3수:춘개이원한열방락(春開梨園閑閱芳樂) 기전군사득충여갈(期剪群邪得忠如渴) 진주조명욕취순성(盡誅釣名欲取純誠)
타과 연산(燕山) 4년(149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연산(燕山) 4년(149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기창(兪起昌)
[조부(祖父)]
성명 : 유해(兪解)
[증조부(曾祖父)]
성명 : 유집(兪輯)
[외조부(外祖父)]
성명 : 구안우(具安遇)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성담명(成聃命)
본관 : 미상(未詳)
[가족과거]
자(子) : 유강(兪絳)[文]
손(孫) : 유홍(兪泓)[文]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五(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유기창(兪起昌)
출생일 1437년(세종 19)
사망일 1514년(중종 9)
조선전기 만포진첨절제사,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자성(子盛), 호는 서호산인(西湖山人). 아버지는 참판 유해(兪解)이다.
무과에 급제한 뒤 1496년(연산군 2) 만포진첨절제사(滿浦鎭僉節制使)가 되고, 뒤에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1504년 좌의정 성준(成俊)이 왕의 난정(亂政)을 극간하다가 교살될 때 그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으며, 그 뒤로는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1506년(중종 1) 중종반정으로 석방되어 병조참지에 임명되었으나,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不事二君]하여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인 비인현(庇仁縣)에 은거하면서 사냥으로 나날을 지냈다. 성품이 청렴결백하고 근엄하며, 9개 군(郡)의 수령을 역임할 때 명성과 공적이 있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유기창(兪起昌))]
............................................................................................................................
유강(兪絳)
[문과] 중종(中宗) 36년(1541) 신축(辛丑)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1[亞元]위(02/05)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720AC15FFFFB1510X0
자(字) 강지(絳之)
시호(諡號) 숙민(肅敏)
생년 경오(庚午) 1510년 (중종 5)
졸년 경오(庚午)【補】(주1) 1570년 (선조 3)
향년 61세
합격연령 32세
본인본관 기계(杞溪)
거주지 한성([京])【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도승지, 한성부판윤, 호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강지(絳之).
증참판 유해(兪解)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유기창(兪起昌)이다. 아버지는 예조판서 유여림(兪汝霖)이며, 어머니는 창녕성씨(昌寧成氏)로, 증판서 성담명(成聃命)의 딸이다.
1531년(중종 26)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541년(중종 36)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承文院正字)에 등용되고, 주서(注書)를 거쳐 1551년(명종 6) 집의(執義)가 되었다.
이듬해 전한(典翰)에 이어 직제학(直提學)·동부승지를 역임하고, 1554년 전라도관찰사, 1555년 대사간, 1557년 대사헌이 되었다.
이듬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
그 뒤 특진관(特進官)·병조참판을 거쳐 도승지·한성부판윤·공조판서·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인품이 관후하고 인자하였으나, 관직에 있으면서 일을 처리할 때에는 매우 엄하여 자연히 탐관오리들의 비행이 없어지게 되었다. 특히, 평안도관찰사로 있을 때에는 인재를 모아 가르쳐서 문풍(文風)을 크게 일으켜, 관서지방의 유생들이 중앙에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으며, 문하에 많은 제자를 배출하였다. 호조판서로 있을 때에는 국고의 절약에 힘써, 비록 권귀(權貴)라 할지라도 사정(私情)을 두지 않고 법대로 처리하였다.
묘는 양주 차유령(車踰嶺)에 있다. 시호는 숙민(肅敏)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유강(兪絳))]
[진사] 중종(中宗) 26년(153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47위(77/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05명 [甲1‧乙2‧丙2]
전력 진사(進士)
관직 호조판서(戶曹判書)
관직 한림(翰林)
문과시제 표(表):의본조사협강모경변민치죄쇄환(擬本朝謝夾江冒耕邊民治罪刷還)
타과 중종(中宗) 26년(153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三等) 47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여림(兪汝霖)[文]
[조부(祖父)]
성명 : 유기창(兪起昌)
[증조부(曾祖父)]
성명 : 유해(兪解)
[외조부(外祖父)]
성명 : 성담명(成聃命)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남숭원(南崇元)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2]
성명 : 이억년(李億年)
봉호 : 무송수(茂松守)
본관 : 전주(全州)【補】
[가족과거]
손(孫) : 유대수(兪大脩)[文]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거주지 : 『가정10년[중묘26년]신묘8월방목(嘉靖十年[中廟二十六年]辛卯八月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B13LB-6])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유홍(兪泓)
[문과] 명종(明宗) 8년(1553) 계축(癸丑) 별시(別試) 병과(丙科) 9위(19/41)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720D64DFFFFB1524X0
자(字) 지숙(止叔)
호(號) 송당(松塘)
시호(諡號) 충목(忠穆)
생년 갑신(甲申) 1524년 (중종 19)
졸년 갑오(甲午)【補】(주1) 1594년 (선조 27)
향년 71세
합격연령 30세
본인본관 기계(杞溪)
거주지 한성([京])【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진사] 명종(明宗) 4년(1549)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9위(14/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41명 [甲1‧乙9‧丙31]
전력 진사(進士)
관직 의정부좌의정(議政府左議政)
관직 홍문관리(弘文館吏)
공신 평난공신(平難功臣)
봉호 기성부원군(杞城府院君)
문과시제 책문(策問):치효(治效)
타과 명종(明宗) 4년(1549)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2등(二等) 9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유관(兪綰)[生]
[조부(祖父)]
성명 : 유여림(兪汝霖)[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유기창(兪起昌)
[외조부(外祖父)]
성명 : 남충세(南忠世)(주3)
본관 : 의령(宜寧)【補】
[처부(妻父)]
성명 : 이준인(李遵仁)[文]
본관 : 광주(廣州)【補】
[처부(妻父)2]
성명 : 김광렬(金光烈)(주4)
본관 : 강릉(江陵)【補】
[안항(鴈行)]
제(弟) : 유순(兪洵)【補】(주5)
[가족과거]
자(子) : 유대건(兪大建)[文]
자(子) : 유대진(兪大進)[文]
손(孫) : 유백증(兪伯曾)[文]
증손(曾孫) : 유장(兪樟)[文]
[주 1] 졸년 : 『계곡집(谿谷集)』 卷之14, 碑銘, [증시충목 유공신도비명(贈諡忠穆兪公神道碑銘)]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 거주지 : 『가정28년기유9월초9일사마방목(嘉靖二十八年己酉九月初九日司馬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1549)])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3] 외조부 : 『계곡집(谿谷集)』 卷之14, 碑銘, [증시충목 유공신도비명(贈諡忠穆兪公神道碑銘)]과 『오봉집(五峰集)』 卷之15, 碑銘○墓誌, [행통훈대부 신계현령 유공묘지명(行通訓大夫新溪縣令兪公墓誌銘)]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주 4] 처부 : 『계곡집(谿谷集)』 卷之14, 碑銘, [증시충목 유공신도비명(贈諡忠穆兪公神道碑銘)]을 참고하여 처부2 본관을 추가.
[주 5] 안항 : 『오봉집(五峰集)』 卷之15, 碑銘○墓誌, [행통훈대부 신계현령 유공묘지명(行通訓大夫新溪縣令兪公墓誌銘)]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