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5의 18번 홀(541야드).
25년 만에 대회 2연패를 노리던 이상희(21·호반건설)는 4라운드 마지막 홀에서 두 번째 샷을 그린 에지(2온성)에 가져다 놓고도 어프로치샷 실수로 승부를 내지 못했다.
올해 일본프로골프투어(JGTO)의 시드를 잃고 국내 무대로 힘없이 돌아온 김형태(36)는 이상희 못지 않게 더 우승이 간절했다.
9개월 만삭의 아내(변희진)가 18번 홀 그린 주변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두 선수는 국내 최고 권위의 메이저 대회 타이틀인 한국프로골프(KPGA) 코리안 투어 동촌 제56회 KPGA 선수권 대회 J골프 시리즈 마지막 날 한여름의 뜨거운 태양처럼 으르렁거렸다.
18일 충북 충주의 동촌 골프장에서 열린 최종 4라운드 연장전 첫 번째 홀.
1타 차 공동선두로 출발했던 김형태와 공동 3위로 추격전을 펼쳤던 이상희는 최종합계 17언더파로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연장전에 돌입했다.
71번째 홀까지 18언더파로 단독선두였던 김형태는 마지막 홀에서 보기를 하는 바람에 연장전에 끌려나갔다.
18번 홀에서 치러진 연장전의 승부는 마지막 퍼트가 끝날 때까지 장군멍군이었다.
두 선수의 티샷과 2온을 노린 두 번째 샷, 그리고 그린 주변에서의 어프로치 샷은 명품이었다.
김형태가 1.8m 거리에서 먼저 버디 퍼팅을 했다.
약간 내리막 퍼팅은 홀 가운데를 타고 멋지게 빨려들어갔다.
이상희는 김형태보다 좀더 가까운 거리였지만 큰 압박을 받았다.
이상희의 퍼팅은 종이 한 장 차이로 홀 오른쪽 라인을 타고 빠져버렸다.
숨박혔던 73홀의 승부는 이것으로 끝이 났다.
김형태는 만삭의 몸으로 자신을 기다리던 아내에게 달려가 생애 첫 메이지 대회 우승트로피를 번쩍 들어 안겼다.
우승상금 1억원.
항상 웃는 모습의 '스마일' 김형태의 눈가에도 촉촉한 기운이 감돌았다.
최근 2년간 김형태의 골프는 최악이었다.
국가대표 출신으로 자부심이 컸던 그는 2004년부터 일본 JGTO를 병행했지만 올해 시드를 잃고 패잔병처럼 국내 무대로 돌아왔다.
사실상 김형태는 KPGA 코리안 투어의 시드도 없었다.
천만 다행으로 KPGA는 올해부터 해외 3대 투어(미국, 일본, 유럽)에서 3년 이상 시드를 보유한 선수에 대해서는 '1년간 국내 시드'를 부여하는 규정을 신설했다.
김형태는 그 첫 수혜자로 우승까지 들어올리는 겹경사를 누렸다.
2010년 한·중투어 KEB인비테이셔널 1차대회 우승 후 3년5개월여만에 통산 5승을 기록했다.
대회 첫날 교통사고(추돌사고)에도 출전을 강행해 명승부를 펼쳤던 이상희는 아쉽게 단독 2위 만족했다.
이어 박상현(30·메리츠금융그룹)이 합계 16언더파로 단독 3위를 차지했다.
첫날 공동 선두였던 김도훈(24)과 최종일 공동선두로 출발한 김대섭은 합계 14언더파 공동 4위로 대회를 마쳤다.
김대섭은 18번 홀에서 트리플보기를 하면서 순위가 밀렸다.
첫댓글 우리나라 메이져 대회인데 우승 상금이 1억..ㅠㅠ
보성CC대회와 해남 솔라시도 대회의 상금 가가 6천만원..
우리나라 대기업들은 왜 유난히 골프에 신경을 안쓸까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