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1급에 관련된 질문과 어문회측의 답변을 모아서 정리해봤습니다.
그리고 질문과 답변 원문또한 뒤에 다시 첨부해놨습니다. 물론 이 이외에 더 많은 답이
있을수 있으니 어문회홈페이지에 가서 질문을 해보시면 더욱 좋겠죠..^^
여기 있는것은 지금시간까지의 질문과 답변만 올려 놓은것이니까 착오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답 : ①아내가 남편에게 순종함
②며느리의 몸가짐
③깍듯이 모심(깍듯이 모시는 대상이 안 나타남.)
④남편의 밥상을 눈썹까지들어 올린다 라는 뜻(전의를 쓴 것이 아님)
◈194번 丹脣皓齒
-정답 : ①젊은 여인의 아름다움
②매우 아름다운 사람
◈195번 三顧草廬
-정답 : ①인재
②귀인이나 인재를 얻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 함
③인재를 얻기 위해 힘씀
-오답 : ①귀한 것을 얻기 위해 노력함(인재나 사람을 얻으려는 것의 뜻임)
②유비가 제갈공명에게 세 번 찾아 갔다는 데에서 이름(전의를 써야함.)
③여러번 찾아가서 뜻을 구함
④정성을 다함
⑤얻고자 하는 것을 위해 고생을 마다 않음
⑥여러번 노력함.
※인재나 어진 사람을 맞아들이기 위한 노력이라는 사실이 드러나야 함
◈196번 羊頭狗肉
-정답 : ①겉과 속이 다른 사람
②양의 머리를 걸고 개고기를 판다 - 남을 속이다
답변 ┃ 정답입니다.
---------------------------------------
질문 ┃ 제가 답안지에 작성한 답안이 아래와 같은데
다소 부족한 듯 하지만 혹시 가능한지 궁금하네요..꼭 좀 부탁드릴께요..
1.唾罵 - 심하게 꾸지람
2.雀躍 - 깡총깡총 뜀
3.蓑笠 - 도롱이삿갓
4.擔架 - 보따리
5.器皿 - 그릇
6.殖 - 불을식
7.自의 상대어 - 自他 와 自依
8.擧案齊眉 - 깍듯히 모심
9.三顧草廬 - 귀한것을 얻기위해 노력함
10.羊頭狗肉 - 겉과 속이 다른 사람
11.어부지리 - 漁夫之利 어부만 찾아보면 漁父, 漁夫 다 있더라구요..^^;;
헷갈리는 부분이 많네요..번거롭지만 꼭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 1.唾罵 - 침까지 뱉을 정도이니 욕하는 것입니다. 꾸지람으로는 안됩니다.
2.雀躍 - 왜 뛰는 지 원인을 밝혀야 합니다.
3.蓑笠 - 도롱이 삿갓으로 띄어쓰거나 조사가 있어야 하지만 띄어쓰기는 엄격하게 적용하지 않으므로 인정될 것입니다.
4.擔架 - 들것의 뜻입니다.
5.器皿 - 그릇은 됩니다.
6.殖 - 불을식은 됩니다.
7.自의 상대어 - 自依라는 말은 없습니다.
8.擧案齊眉 - 깍듯히 모시는 대상이 있어야 합니다.
9.三顧草廬 - 귀한것을 얻기위해 노력함. 사람을 얻으려는 것인데, 것이라고 표현하면 조금 이상합니다. 더군다나 '것'이 사람을 낮추어 표현한 것이라 보더라도 '귀한'하고는 또 어울리지 않습니다. 글로 쓰는 것은 표현을 조심하셔야 합니다.
10.羊頭狗肉 -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은 됩니다.
11.어부지리 - 漁夫之利, 漁父之利 둘 다 됩니다.
---------------------------------------
질문 ┃ 정답은 省察, 省略 이라고 하셨는데
反省, 省略 이라고 해도 맞습니까? 두음으로 따진다면 반드시 맞다고 생각되는데요
답변 ┃ 反省은 문제의 조건에 맞지 않습니다.
유의어를 쓰는 문제이고 뜻이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예를 들어야 합니다.
反과 省은 유의어가 아닙니다.
---------------------------------------
질문 ┃ 뜻을 쓰는 것중에서
唾罵 : 침뱉으며 욕함
蓑笠 : 도롱이와 삿갓
爪痕 : 손톱자국
그리고 "辭" 의 반의어를 "說" 과 "別" 이라고 했는데 어떨지...
답변 ┃ 別은 안되고 나머지는 다 됩니다.
---------------------------------------
질문 ┃ "담가"를 지게라고 썻는데 틀린가요?
"훼"가 무너질"훼"라고 훈음을 썻는데 틀린가요?
"타매" 욕을하고 침을뱉다라고 썻는데요
사립을 "도롱이갓"이라 썻는데 틀린가요?
"거안제미"를 밥상을 눈썹까지 들다 - 며느의 몸가짐이라 썻는데요
"삼고초려"를 유비가 제갈공명에게 세번 찾아 갔다는데에서 이름이라 썻는데요
"양두구육"를 양의 머리를 걸고 개고기를 판다 - 남을 속이다 라고썻는데요
일의대수 관련 답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마직막으로 만약 불합격이라고 채점결과가 나온다면 제 답안지 확인을 하고 싶습니다.
가능한지 또 어디로 가야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뜻이 통하게 써야 하고, 문제에서 지시하는 대로 따르셔야 합니다.
훼"가 무너질"훼"라고 훈음을 썻는데 틀린가요?
"타매" 욕을하고 침을뱉다라고 썻는데요
양두구육"를 양의 머리를 걸고 개고기를 판다 - 남을 속이다 라고썻는데요
위의 것은 맞습니다.
나머지는 어렵습니다.
일의대수의 유의어는 지호지간입니다.
발표후에 본인이 신분증을 지찬하고 내방하시면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질문 ┃ 熔解는 안되나요? 그리고 自行도 안되나요?
답변 ┃ 1, 2는 되고 나머지는 안됩니다.
---------------------------------------
질문 ┃ 한자쓰기 에서 ` 穩 健 과 逮 捕 ` 이거 어문회 일급 책에 장음이라고 나왔는데여
그리고 器 皿 이 `그릇` 맞습니까?
또 살필성 의 다른 뜻 削 , 또 말사 의 다른뜻 詞 라고 써도 맞나요
또 단순호치 젊은 여인의 아름 다움도 맞습니까
답변 ┃穩健 과 逮捕는 단음입니다. 본회 책에 이를 장음이라 표기한 것은 없습니다.
그릇은 됩니다.
削 , 詞는 안됩니다. 문제의 조건에 맞지 않습니다. 한자어를 만드는 경우 쓰이는 말, 사전에 있는 말을 만들어야 합니다.
단순호치의 풀이는 됩니다.
---------------------------------------
질문 ┃ 殘 月 이요 남은달 도 되나요
답변 ┃안됩니다. 뜻이 통해야 하고 훈음을 열거하는 듯한 답변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
질문 ┃ ①"覆"이 자를 전 ebs책에서 다시복/덮을부로 봤고 그렇게 썻고,
다시 확인하니 그렇게 써져있습니다!(책에)
이거 정답 아닌가요 ?
②유의자 반의자 쓸때 한자씩 써도 되는거죠 ??(省 : 166-略, 167-察)
이런식으로 써도 되죠?
③報 유의자 만들긴가? 나왔잖아요.
그거 답을 170-告 171-酬
저 위에 두개 썻는데 하나라도 맞나요?
④乾 반의자만들기에서 176-坤 177-燥
이거 맞나요?
⑤"타매" 뜻풀이를 그냥 "욕함"이라 적어도 맞나요 ?
꼭 답변해 주세요.
답변 ┃ 燥, 욕함
위의 두가지 답은 빼고 나머지는 다 됩니다. 안되는 까닭은 아래 다른 분들의 질문에 답변이 있습니다.
---------------------------------------
질문 ┃ 蓑笠 의 우리말 적을때,, 도롱이 라고 적으면은 틀리나요??
아니면은 비옷이라고 적어도 틀립니까??
답변 ┃ 乾은 여러 뜻 중에서도 하늘과 마르다의 뜻이 널리 통용되고 있습니다.
坤은 답이고 나머지 하나는 濕 정도를 쓰시면 답이 됩니다.
---------------------------------------
질문 ┃ 바로 궁금한 것이 또 생기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문제에서 辭자에 결합어 만드는 거 있었잖아요. 두 개 쓰라는 거 제가 하나는 확실히 틀렸고, 하나에 물러갈 퇴(退)자 적었는데 정답처리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 乾자에 한 문제에서는 燥라고 적었고, 하나는 坤이라고 적었습니다. "건"자가 유의결합어를 만드는 문제였는지 지금 확실히 기억이 안나서 불안하네요.
삼고초려 뜻풀이에서, "여러번 찾아가서 뜻을 구함" 이라고 적었는데 , 답으로 해주셔야 되는거 아닌지요.
답변 ┃退는 됩니다.
상대어 완성 문제입니다. 燥는 안됩니다. 濕이 답입니다.
삼고초려의 풀이는 어렵습니다. 웬만한 사람이면 다 아는 문제입니다. 1급 수험자에게 출제위원이나 채점위원들이 기대하는 수준은 매우 높습니다. 사전적 정의는 아니더라도 정답에 가깝게 답변하셔야 합니다. 뜻을 '인재' 정도로만 바꾸었어도 정답이 됩니다.
---------------------------------------
질문 ┃ 거안제미의 뜻이 "남편을 공경하는 뜻"이라고 해도 됩니까?
답변 ┃'남편을 공경함'은 됩니다. '남편을 공경하는 뜻'이라 적으셨다면 문맥이 조금 이상하긴 하지만 '남편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풀어 정답처리되리라 봅니다.
---------------------------------------
질문 ┃ 삼고초려의 뜻을 "정성을 다함"이라고 했는데 맞나요?
답변 ┃무엇을 위해 정성을 다한다는 것인지 드러나야 합니다. 인재(어진이)를 얻기 위해서 등...
---------------------------------------
질문 ┃ 패각을 "조개껍질"이라고 했는데 맞나요?
답변 ┃下
身
粗管
도롱이 : 蓑만의 풀이입니다. 笠의 뜻도 있어야 합니다.
위의 것은 안됩니다. 나머지는 됩니다.
---------------------------------------
질문 ┃ 한자 표기 諮問 답인 문제에서 "자"에 말씀언 뺀 한자도 뜻이 같잖아요.. 그래서 그렇게 "자문"쓰고 괄호치고 답대로 자문이라고 두 번 적었는데 어떻게 채점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 독음 문제에서 賈竪 문제... 가수(고수)라고 적었는데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諮問, 咨問은 둘 다 가능하므로 문제없습니다.
賈竪는 가수는 틀리고, 고수는 맞습니다. 틀린 것을 같이 쓰면 오답입니다.
---------------------------------------
질문 ┃ 사립(蓑笠) 이게 뜻이 도롱이와 삿갓?이거잖아요/./
근데.. 그냥 비옷.. 이런식으로 쓰면 틀린가요?
器皿 이것두요.. 살림살이에 쓰이는 그릇.. 꼭 이런식으로 써야되나요?
그냥 그릇이라고 쓰면 안되나요?
唾罵이것두요.. 그냥 욕함. 뭐 이런식으로 써도 맞는거죠????
爪痕이것도 손톱자국.. 이렇게 쓰면 되죠??
답변 ┃ 나머지는 됩니다.
唾罵는 唾의 뜻이 드러나지 않아 안됩니다. 1급 수험생에게 기대하는 수준은 높습니다. 단순히 罵의 뜻 정도의 풀이라면 아랫급수 수험자들도 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질문 ┃ 뜻풀이 문제에서요.
爪痕 을 손톱자국, 器皿을 그릇, 殘月을 새벽달이라고 적었는데요.
틀린가요? 궁금합니다^^;
답변 ┃맞습니다.
---------------------------------------
질문 ┃ 삼고초려를 얻고자 하는 것을 위해 고생을 마다 않음이라 쓰면 틀리는지요?
답변 ┃ 노력의 뜻에 가깝습니다.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가 드러나야 합니다.
---------------------------------------
질문 ┃ 1) 殘月의 뜻을 으스름달 이라고 하면 가능한지요?
2) 殖 의 흔음을 번식할 식 도 가능한지요?
3) 검시 라고 쓰기 문제 檢尸 도 가능한지요
4) 自의 반대어로 至 는 가능한지요?
5) 삼고초려의 전의뜻: 귀인이나 인재를 얻기위해 모든 노력을 다 함
으로 했는데.. 가능한지요
답변 ┃번식을 제외하고는 인정됩니다.
훈음은 잦은문답의 훈음의 의미와 채점 기준을 참고바랍니다.
---------------------------------------
질문 ┃ 유사어 문제중에 辭言 이라고 써도 맞나요??
답변 ┃ 됩니다.
---------------------------------------
질문 ┃ 이번에 제가 1급 시험을 봤는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이번에 1급에 새로 생긴 유형에대한 질문인데요 省가지고 만들라고 나온 문제였는데
反省과 省略이라고 썻는데 맞나요???
그리고 둘다 쓰면 오답처리 합니까?
2. 貝殼의 뜻을 쓰라고 했는데 "조가비"라고 써도 맞나요???
답변 ┃두가지 이상의 뜻을 활용하여 유의어를 완성하는 문제입니다. 省은 많이 알려진 것만으로도 '살필 성, 줄일 생'이 있습니다. 省略은 줄일 생의 뜻으로 휼륭한 답이고, 살필 성의 뜻으로는 省察 정도를 들 수 있습니다. 反省의 反은 돌이킨다(지난일을 생각한다)는 뜻이지 省의 뜻(살피다)이 들어 있지는 않습니다.
조가비는 맞습니다.
---------------------------------------
질문 ┃ "故庄"을 “고장”이라고 읽는 게 맞나요.. 그리고 무슨 뜻인지.. 감사합니다.
답변 ┃충절의 고장, 이 고장에서는 인삼이 많이 난다 등에서 보이는 고장을 한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예로부터 많이 쓰입니다. 글자그대로는 '오래된 농막'의 뜻입니다.
---------------------------------------
질문 ┃혹시 떨어졌을경우 저의 답안지를 볼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불안하기도 하고요 모든 시험은 본인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몇가지더요 "사립"을 도롱이갓이라고 썻는데
틀린가요? 점을 못찍었는데요. 그리고 "삼고초려"에서 유비가 제갈량을 3번찾아는데에
유래되었다"라고 썻고요 일의대수의 유의어가 " " 지간 이던데 답좀 알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요. 마지막으로 양두구육을 양의머리를 걸고 개고기를 팔다. 남을 속이다라고 썻는데요 확인부탁드립니다.
답변 ┃발표 뒤에 신분증을 지참하고 방문하시면 됩니다.
고사성어의 경우 轉義를 쓰라고 조건이 있습니다. 양두구육은 되고 삼고초려는 답이 안됩니다.
指呼之間
---------------------------------------
질문 ┃ 먼저 60번 殘月을 "그믐달"이라고 썼는데 정답가능한지요
또 110번에 "절취"를 문맥상 훔쳐갔다는 뜻으로 생각해서 竊取로 썼는데 정답가능한지요
또한 119번에 등귀를 登貴 라고 썼는데 인정가능한지요
또한 131번에 交着이라고 썼는데 인정가능한지요
또한 158번에 款待라고 했는데 인정가능한지요
또한 176번, 177번에 除乘 , 乘下 라고 썼는데 가능한지요
또한 180번에 精管의 반의어를 粗管이라고 썼는데 가능한지요
또한 184번에 刻骨之恨이라고 ㅆ도 가능한지요
또한 190번에 朝領募改라고 썼는데 가능한지요
일일이 설명하시기는 힘드실테니 가능한 문항만 답변해주시면 진심으로 감사드리겠습니다.
답변 ┃맞습니다.
---------------------------------------
질문 ┃ 단어 쓰는 문제에서 질문할 것이 있습니다.
1. 용해 溶解 인가요 鎔解 인가요??
2. 자문 "自問" 인가요 "諮問" 인가요??
3. 비준 "比準" 인가요 "批准" 인가요??
4. 염증 "炎症" 인가요 "厭症" 인가요?? 혹시나 해서 여쭈어 봅니다
이건 사자성어를 쓰는 거였는데요 "刻骨怨恨" 이라고 쓰면 틀릴까요?? 찾아보니 각골통한이던데...한가지 더...;; 음을 쓰는 문제에서요 賈竪 <- "고수" 인가요 "가수" 인가요??
답변 ┃1. 溶解, 鎔解 다 됩니다.
2. 諮問
3. 批准
4. 厭症
刻骨怨恨은 안됩니다.
賈竪 고수
---------------------------------------
질문 ┃ 1.殘月글자뜻을 쓰라는 문제에서요 새벽에 떠있는 달이라고 해도 맞나요?
2.거안제미 뜻을 남편에게 깍듯이 ,예의바르게 대함이라고 써도 맞나요?
3.동음이의에서 관대쓸때 맨처음에 寬對그리고 두번째건 灌大라고 썼고
4.압수에서 壓收라고썼고
5.삼고초려에서 원하는 인재를 얻기 위해 힘씀 이라고 썼는데
위에 것이 다 맞았다고 볼 수 있나요?
답변 ┃본래 略", "察"만 쓰면 됩니다.
---------------------------------------
질문 ┃ 檢屍를 檢視라고 쓰면 틀린건가요?
답변 ┃출제자가 요구하는 답은 檢屍이고, 문장상 檢屍가 적절합니다. 그러나 피살자 檢視라고 하여도 틀렸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인정될 것입니다.
---------------------------------------
질문 ┃ 1.이번에 30회에서 賈竪독음좀 갈쳐주세요.
2질문.전의 문제에서 擧案齊眉전의 쓸떄.. 남편의 밥상을 눈썹까지들어 올린다 라는 뜻..
답변 ┃고수입니다.
거안제미의 글자 그대로의 뜻이 아니라 전의를 쓰라 하였습니다. '남편을 공경하여 받듦' 등의 뜻을 써야 합니다.
---------------------------------------
질문 ┃ 省의두음나게쓰라고한거요
1:省 살피다 省察
2:省 덜다 省略
이렇게했는데 맞나요??
답변 ┃정답입니다.
---------------------------------------
질문 ┃ 唾罵 : 욕하고 매도함
雀躍 : 종종걸음
蓑笠 : 비가 올 때 쓰는 삿갓
爪痕 : 할퀴어서 난 상처
芍藥 : 함박꽃
擔架 : 시렁
殘月 : 남은 달
거안제미 : 아내가 남편에게 순종함
이중에 맞는게 있을까요?
답변 ┃唾罵 : 욕하고 매도함
芍藥 : 함박꽃
이 둘은 되고 나머지는 어렵습니다. 국어사전을 참고바랍니다.
---------------------------------------
질문 ┃ 丹脣皓齒 를 매우 아름다운 사람
三顧草廬 를 여러번 노력함.
이라고 했는데..
역시.............좀 부족한가요?
답변 ┃丹脣皓齒의 풀이는 될 것같지만 三顧草廬는 인재나 어진 사람을 맞아들이기 위한 노력이라는 사실이 드러나야 합니다.
---------------------------------------
질문 ┃ 장단음을 본문에서 10개 찾아서 쓰라고 했는데 차례대로 쓰지 않으면 틀린건가요?
번호 차례가 하나라도 틀리면 모두 틀린건가요 아니면 차례가 틀려도 답이 맞으면
맞게 해주는 건가요?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순서대로 쓰는 것이 좋지만 그런 요구는 없었습니다.
---------------------------------------
질문 ┃ 장담음을 순서대로 써야되나요? 전 그냥 뒤죽박죽 썼는데... 순서대로 쓰라는 말은 없어서...그리고 제 장음답 몇개 맞았는지좀 알려주세요. 갯수만...
114 115 118 136 140 145 121 120 132 127
답변 ┃ 안녕하세요?
순서대로 쓰는 것이 좋지만 그런 말이 없으면 순서 무관합니다.
114 恣行
116 檢屍
118 赦免
125 厭症
126 諮問
130 侮蔑
135 繫留
136 批准
140 掌握
142 採掘
145 敷設
---------------------------------------
질문 ┃雀躍(작약)과
다른 芍藥(작약)의 차이좀 알려주십시오
첫댓글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헛; 제가 올린 질문도 있네요;ㅋㅋ;
어!! 내가 올린것도 있다. 대략 엄청 틀렸음..ㅜㅠ
ㅋ 제가올린것도 있어요..민망하지만 인정 안해주는게 많다는..ㅠ_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