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7.3 제6기 중장기전략위원회 출범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jsessionid=gDpphswNXhYY0X5AjKAC0hLN.node50?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64744&menuNo=4010100
중장기 관점의 국가미래전략 수립을 위한 제6기 중장기전략위원회 출범 |
-박재완 성균관대 이사장을 위원장으로, 총 20명의 민간위원으로 구성 |
산업·인구·에너지 등 대전환의 시대에 20~30년의 시계(視界)에서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제6기 중장기전략위원회(위원장 포함 총 20명)가 박재완 성균관대학교 이사장을 위원장으로 하여 출범(임기: ‘23.7.3~’25.7.2)한다.
중장기전략위원회*는 중장기전략 수립을 위한 기획재정부 장관의 자문기구로서 민간의 전문적이고 도전적인 의견을 중장기 정책 등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2012년부터 도입되었다.
* 「중장기전략위원회 규정」[대통령령 제31644호]에 의해 근거
제6기 중장기전략위원회는 지난 제5기 위원회(‘21.6월~’23.6월)에서 논의되었던 중장기전략의 기본방향과 정책과제들을 활용하면서, 신규 과제들을 적극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미래성장동력 확보 전략, 노동·교육·복지 분야 정책과제들뿐만 아니라 규제 개혁, 갈등 관리, 지역 균형 발전 등의 다양한 주제들도 함께 다룰 예정이다.
위원회의 효율적 논의를 위해 위원회 내(內) 분과위원회도 ➀경제·산업·기후 분과, ➁노동·교육·복지 분과, ➂정부혁신·규제개혁·지역발전 분과로 개편·운영할 방침이다.
* 기존 제5기 중장기위원회 분과위원회: ➀경제·산업분과, ➁사회·복지분과, ➂기술·기후분과
2년 임기의 위원에는 경제·사회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중장기전략의 주요 정책수요자인 청년·기업인, 국민의 의견을 대변해 줄 수 있는 언론인도 포함하여 다양성을 확보하였다.
작년 하반기부터 구성되어 국가미래전략을 연구 중인 한국개발연구원(KDI) 중심의 작업반과 함께 제6기 중장기전략위원회는 각계각층 전문가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국가미래전략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담당 부서 | 미래전략국 | 책임자 | 과 장 | 심규진 | (044-215-4910) |
| 미래전략과 | 담당자 | 사무관 | 박준백 | (pjb8107@korea.kr) |
| | 담당자 | 사무관 | 오상혁 | (dhtkd23@korea.kr)
분과 | 사진 | 이름 | 현직 | | 사진 | 이름 | 현직 | 위원장 | | 박재완 | 성균관대 이사장 | 노동·교육‧복지 (6명) | | 김희삼 |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경제‧산업·기후 (7명) | | 최종학 (분과장) | 서울대 경영학부 교수 | | 유재은 | 스페셜 스페이스 대표이사 | | 고영선 | 한국개발연구원 부원장 | | 양재진 |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 | 안성배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 이영욱 | 한국개발연구원 재정사회연구부장 | | 남기태 |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 정부혁신‧규제개혁·지역발전 (6명) | | 김세형 (분과장) | 매일경제신문 논설고문 | | 이주완 | 메가존 클라우드 대표 | | 권남훈 |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 | 박주헌 | 동덕여대 경제학과 교수 | | 정지은 | 코딧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