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자연인구증가율은 (출산률-사망률)로 계산됩니다.
그리고 두 시점에서 인구가 주어졌을때 인구 증가율을 계산하는 식은
시작해에서 인구를 P0 라 하고 n년 후의 인구를 Pn 이라 하면
Pn = P0 * exp(r*n)
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r이 인구증가율이 됩니다.
70명으로 시작해서 430년이란 기간후 예를 들어 50만명이 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대입할 수 있습니다.
P0=70, n=430, Pn=5십만명
대입해서 r을 계산해보면 년간 인구증가율이 2% 정도 나옵니다.
인구증가가 아주 많은 나라의 경우 1%내외가 보통인걸 감안할때 매우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아주 허황된 수치는 아닌것 같습니다. 그러나 고대인들의 경우 현대인보다 사망율이 높았으며
역시 신생아 사망율도 높았고 의학이나 토지등의 여러 변수에 있어 현대인 보다 인구증가율이 매우떨어졌다는걸
감안했을때 역시 과장이 들어간것은 맞는것 같습니다.
만일 장정만 60만이었다는 이야기를 한다면 실재인구는 훨씬 더 되니까 역시 과장이 심하다고 결론이 납니다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인구증가율 계산법
토라
추천 0
조회 1,887
03.10.01 02:05
댓글 6
다음검색
첫댓글 그래서 사십년이나 걸린것 아닐까요..?
어이. 중재아찌... 아직도 버티고 있나? 그리고 사십년이 뭐?... 조까~~
430년이 아닌 230년........으로 본다면 알까는 대회를 했다고 봐야지요. 40년 동안 사막에서 알까고 있었다는 중재 목사님은 애가 도대체 몇이유?
1만년전 전제계 인구가 150만명이었댑니다.
^^ 1만년전 150만명이라... 농담이시겠죠.. ㅎㅎㅎ
기원후 1년의 세계 인구 약 1억명......북부유럽 북아프리카 중동을 지배하던 로마군단 총수는 20군단으로 15만명 정도...케케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