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한문의 어려움"이라는 제목으로 예전에 몇 개 쓴 것이 있었는데 번호가 정확한지 확실하지는 않지만 오랜만에
적어봅니다. 한문 공부를 특별히 하는 것은 아니지만 책을 읽거나 논문을 읽을 때 한문이 나오는 경우 항상 눈여겨보게 됩니다.
그것이 한문 공부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지못합니다만 이 습관은 몸에 배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인터넷에서 우연히
2017년 박광연의 논문 의적(義寂) 『보살계본소(菩薩戒本疏)』의 기초 연구 -쇼묘지(稱名寺)·가나자와(金澤)문고 소장 사본(寫本) 소개를 겸하여-를 내려받기하여 보게 되었습니다.
거기에 쇼묘지(稱名寺) 소장 사본의 보살계본소서菩薩戒本疏序가 번역되어 실려 있습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日夜 相代乎前 而莫知所萌
黃帝曰 天下一氣耳 聚則爲生 散則爲死故
吾將謂生爲始 而今之生者 在乎前死之後 則又爲終矣
吾欲謂死爲終 而今之死者 在乎後生之前 則又爲始矣
故未知死生之果終耶 果始耶 豈唯死生 然後相代哉
雖百年之中代 故日新百齡 晝夜矣 五惡之死生之所在耶
死生猶不知其所在 況窮達之分 焉足以分意哉
낮과 밤이 서로 (시간에) 앞서 바뀌므로 (낮과 밤의) 시작을 알 수 없다.
황제(黃帝)가 말하기를, 천하가 하나의 기일 뿐이니 (기가) 모이면 생(生)이 되고
(기가) 흩어지면 사(死)가 된다고 하였다.
내가 생을 시작이라고 하려 하였으나 지금의 생이 앞 사의 뒤에 있으니 또 끝이 된다.
내가 사를 끝이라고 하려 하였으나 지금의 사가 뒤 생의 앞에 있으니 또 시작이 된다.
그러므로 모르겠다. 사와 생이 과연 끝인가. 과연 시작인가.
어찌 오직 사생 연후에 서로 바뀌는가?
비록 우리네 인생이 백년 안에 바뀌지만 날마다 새로 백살을 먹는다.
낮과 밤에 오악(五惡)의 사와 생이 어디에 있겠는가?
사와 생이 오히려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하는데, 하물며 곤궁과 영달의 나뉨이 어찌 뜻을 구분하는 것으로 충분하겠는가."
논문 저자는 “천하가 하나의 기(氣)일 뿐이라는 황제의 말을 인용하고 있는데, ‘황제왈(黃帝曰)’, ‘천하일기(天下一氣)’, ‘취즉위생 산즉위사(聚則爲生 散則爲死)’는 모두장자(莊子)외편(外篇) 지북유(知北遊)에 나오는 표현이다.”라며 그 출전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황제 왈 앞의 문장 또한 장자 내편 제물론(齊物論)에 나온다는 것은 알려주고 있지 않습니다. 제물론에는 "日夜相代乎前,而莫知其所萌。"이 나옵니다. 아마도 찾아보지 않아 몰랐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알았지만 서문을 쓴 인용자가 원의의 해석과 달리 쓴듯하여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추정하는 것은 너무 나아가는 것 같습니다.
번역에 있어서 인용문인데 인용문인지 알지 못하였을 때 발생하는 번역오류의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한문만이 아닌 번역 일반에 해당하는 말일 것입니다. 인용인데 그것을 모르는 경우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저는 그것을 "주지주의적 영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표현합니다. 그리고 그런 주지주의적 글쓰기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표현이 전고로 뒤덮이는 사태를 초래하여 하고자 하는 말의 전달이 번거로워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번역의 경우 그 모든 것을 알아내어 적당히 번역하는 방법 외에는 없습니다.
위 논문 저자는 "日夜 相代乎前 而莫知所萌"이라고 끊어 읽고 “낮과 밤이 서로 (시간에) 앞서 바뀌므로 (낮과밤의) 시작을 알 수 없다.”라고 옮기고 있습니다. 만약 이것이 장자에 나온다는 것을 알았다면 주를 달아 이렇게 번역한 까닭을 설명해주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장자에서는 日夜를 부사로 보고 의미상 주어(희노애락등)를 앞 문장에서 찾아 相代의 주어로 삼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주어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乎前 또한 "앞에서"가 될 것인데 여기에서는 “앞서”라고 옮기고 있습니다. 인용문의 원문 해석과는 빗나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임스 레게( "day and night succeed to one another and come before us, and we do not know whence they sprout." )는 日夜 를 주어로, 相代 를 동사로 보고 乎前을 "우리 앞에"로 보고 있습니다. 위 논문에서는 밤은 낮에 앞서, 낮은 밤에 앞서라는 뜻으로 "앞서"를 쓰고 있습니다.
또 하나 지적하고 싶은 것은
雖百年之中代 故日新百齡 晝夜矣 五惡之死生之所在耶
死生猶不知其所在 況窮達之分 焉足以分意哉라는 문장입니다.
논문 저자는
雖百年之中代 故日新百齡.
晝夜矣 五惡之死生之所在耶.
死生猶不知其所在 況窮達之分 焉足以分意哉.
라고 끊어 읽고
비록 우리네 인생이 백년 안에 바뀌지만 날마다 새로 백살을 먹는다.
낮과 밤에 오악(五惡)의 사와 생이 어디에 있겠는가?
사와 생이 오히려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하는데, 하물며 곤궁과 영달의 나뉨이 어찌 뜻을 구분하는 것으로 충분하겠는가.
라고 옮기고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雖百年之中代 故日新百齡晝夜矣.
五惡之死生之所在耶, 死生猶不知其所在, 況窮達之分, 焉足以分意哉.
로 끊어 읽어야 된다고 봅니다.
위의 앞 문장은 백년을 기준으로 하면 하루는 백년주야가 된다는 것이고
뒷 문장은 오악 생사의 소재? 생사의 소재도 알지못하는데 오악이나 오선으로 삼악도나 삼선도로 떨어지는 그 소재를 어찌 짐작하겠는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잘못 끊어 읽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 인용문의 전거를 살피지 않았을 경우 생길 수 있는 오역의 한 사례를 살펴 봤습니다.
늘 번역자가 신경써야 할 부분입니다.
2024년 새해 모두들 건강하시길 빕니다.
박 오수 공경합장
*
《莊子 - Zhuangzi》
[Warring States] 350 BC-250 BC
[Also known as: 《南華真經》]
《內篇 - Inner Chapters》
《齊物論 - The Adjustment of Controversies》
English translation: James Legge
齊物論:
大知閑閑,小知閒閒;大言炎炎,小言詹詹。其寐也魂交,其覺也形開,與接為構,日以心鬭。縵者,窖者,密者。小恐惴惴,大恐縵縵。其發若機栝,其司是非之謂也;其留如詛盟,其守勝之謂也;其殺如秋冬,以言其日消也;其溺之所為之,不可使復之也;其厭也如緘,以言其老洫也;近死之心,莫使復陽也。喜怒哀樂,慮嘆變慹,姚佚啟態;樂出虛,蒸成菌。日夜相代乎前,而莫知其所萌。已乎已乎!旦暮得此,其所由以生乎!
The Adjustment of Controversies:...:
Great knowledge is wide and comprehensive; small knowledge is partial and restricted. Great speech is exact and complete; small speech is (merely) so much talk. When we sleep, the soul communicates with (what is external to us); when we awake, the body is set free. Our intercourse with others then leads to various activity, and daily there is the striving of mind with mind. There are hesitancies; deep difficulties; reservations; small apprehensions causing restless distress, and great apprehensions producing endless fears. Where their utterances are like arrows from a bow, we have those who feel it their charge to pronounce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 where they are given out like the conditions of a covenant, we have those who maintain their views, determined to overcome. (The weakness of their arguments), like the decay (of things) in autumn and winter, shows the failing (of the minds of some) from day to day; or it is like their water which, once voided, cannot be gathered up again. Then their ideas seem as if fast bound with cords, showing that the mind is become like an old and dry moat, and that it is nigh to death, and cannot be restored to vigour and brightness. Joy and anger, sadness and pleasure, anticipation and regret, fickleness and fixedness, vehemence and indolence, eagerness and tardiness;-- (all these moods), like music from an empty tube, or mushrooms from the warm moisture, day and night succeed to one another and come before us, and we do not know whence they sprout. Let us stop! Let us stop! Can we expect to find out suddenly how they are produced?
《莊子 - Zhuangzi》
[Warring States] 350 BC-250 BC
[Also known as: 《南華真經》]
《外篇》
《知北遊 - Knowledge Rambling in the North》
English translation: James Legge
知問黃帝曰:「我與若知之,彼與彼不知也,其孰是邪?」
黃帝曰:「彼無為謂真是也,狂屈似之,我與汝終不近也。夫知者不言,言者不知,故聖人行不言之教。道不可致,德不可至。仁可為也,義可虧也,禮相偽也。故曰:『失道而後德,失德而後仁,失仁而後義,失義而後禮。禮者,道之華而亂之首也。』故曰:『為道者日損,損之又損之,以至於無為,無為而無不為也。』今已為物也,欲復歸根,不亦難乎!其易也,其唯大人乎!生也死之徒,死也生之始,孰知其紀!人之生,氣之聚也,聚則為生,散則為死。若死生為徒,吾又何患!故萬物一也,是其所美者為神奇,其所惡者為臭腐;臭腐復化為神奇,神奇復化為臭腐。故曰:『通天下一氣耳。』聖人故貴一。」
Knowledge then asked Huang-Di, saying, 'I and you know this; those two did not know it; which of us is right?' The reply was, 'Dumb Inaction is truly right; Heedless Blurter has an appearance of being so; I and you are not near being so. (As it is said), "Those who know (the Dao) do not speak of it; those who speak of it do not know it;" and "Hence the sage conveys his instructions without the use of speech." The Dao cannot be made ours by constraint; its characteristics will not come to us (at our call). Benevolence may be practised; Righteousness may be partially attended to; by Ceremonies men impose on one another. Hence it is said, "When the Dao was lost, its Characteristics appeared. When its Characteristics were lost, Benevolence appeared. When Benevolence was lost, Righteousness appeared. When Righteousness was lost, Ceremonies appeared. Ceremonies are but (the unsubstantial) flowers of the Dao, and the commencement of disorder." Hence (also it is further said), "He who practises the Dao, daily diminishes his doing. He diminishes it and again diminishes it, till he arrives at doing nothing. Having arrived at this non-inaction, there is nothing that he does not do." Here now there is something, a regularly fashioned utensil - if you wanted to make it return to the original condition of its materials, would it not be difficult to make it do so? Could any but the Great Man accomplish this easily?
'Life is the follower of death, and death is the predecessor of life; but who knows the Arranger (of this connexion between them)? The life is due to the collecting of the breath. When that is collected, there is life; when it is dispersed, there is death. Since death and life thus attend on each other, why should I account (either of) them an evil?
'Therefore all things go through one and the same experience. (Life) is accounted beautiful because it is spirit-like and wonderful, and death is accounted ugly because of its foetor and putridity. But the foetid and putrid is transformed again into the spirit-like and wonderful, and the spirit-like and wonderful is transformed again into the foetid and putrid. Hence it is said, "All under the sky there is one breath of life, and therefore the sages prized that 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