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학생이 F학점을 받은 이유
미국 코넬 대학교의 한 경제학 교수는 학생들에게 학점을 후하게 주기로 유명했다. 그는 누구에게도 F학점을 준 적이 없었다. 그런데 학기말 시험에서 수강생 전원이 F학점을 받았다.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 교수는 수업시간에 오바마 대통령의 복지정책을 비판했다. 그러자 학생들은 교수의 생각이 틀렸다며 따져 들었다. 당시 오바마 대통령의 복지정책은 미국의 국민이라면 누구도 가난하거나 지나치게 부자로 살아서는 안 되며, 평등한 사회에서는 누구나 다 “평등한 부”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교수는 학생들에게 누구의 주장이 옳은지 시험 성적으로 실험을 해보자고 제안했다. 즉 시험을 치른 후 수강생 전원의 평균점수를 모든 수강생에게 똑같이 주자는 것이었다. 이에 수강생들은 모두 동의했다.
얼마 후 시험을 치렀는데 전체의 평균이 B가 나왔으므로 모든 학생은 B학점을 받았다. 공부를 열심히 한 학생들은 불평했지만 놀기만 하던 학생들은 손뼉을 치며 쾌재를 부렸다.
두 번째 시험이 치러졌다. 공부하지 않던 학생들은 이전처럼 계속 놀았고, 열심히 공부하던 학생들은 “내가 열심히 공부해봐야 평균점수 이상은 받기 어려워”라며 그전처럼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다.
이번에는 평균점수가 D가 나왔기에 모든 학생은 D학점을 받았다. 학생들의 불평이 폭발했다. 그렇다고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은 없었다.
3번째 마지막 고사에서는 전체 평균이 F가 나왔기에 모든 학생은 F학점을 받았다. 학생들은 서로를 비난하며 욕을 했다. 그 교수는 실험결과를 요약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 모두가 F학점을 받았듯이 무상복지 정책은 필연적으로 망하게 되어있습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노력에 대한 보상이 생기면 더욱더 노력하지만, 열심히 일한 사람들의 결실을 정부가 빼앗아 골고루 나누어 주게 되면 누구도 열심히 일하지 않게 됩니다”
공산주의나 사회주의 국가의 경제가 폭망으로 간 이유는 바로 “평등정책”에 있었다. 그 교수는 실험의 결과를 5가지로 요약했는데 그중 두 가지만 소개하겠다.
1. 부를 분배함으로써 부를 재창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2. 국민의 절반이 일하지 않아도 나머지가 먹여 줄 것이란 생각은 국가가 망하는 길이다.
p.s.
오바마의 주장을 다시 들어보자.
“미국의 국민이라면 누구도 가난하거나 지나치게 부자로 살아서는 안 되며, 평등한 사회에서는 누구나 다 <평등한 부>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
2022년 오바마의 재산은 830억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