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문제 답이 5번이라는데요.
밑에 도움글을보면 이해가 잘안됩니다.
1번부터 5번까지 다 맞는말인것 같은데....;;
5번이 왜 틀린건가요?
(도움글)
신라에서는 왕의 칭호가 거서간,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왕 등으로 여러차례 바뀌었는데 , 이런변화는 신라의 발전과정을 나타낸것으로 보인다. 즉, 정치적 군장과 제사장의 기능이 분리되면서 거서간과 차차웅으로 그 칭호가 나누어지게 되었고, 박,석,김의 3부족이 연맹하여 그 연맹장을 3부족에서 교대로 선출하게 될때에는 연맹장이란 의미에서 이사금을 칭하였다. 이후 김씨가 왕위 세습권을 독점하게 되면서 그 왕권의 강화를 표시하기 위해 대군장이란 의미의 마립간으로 바꾸었다. 그 뒤 왕위의 부자상속제를 확립하고, 이어 6부를 개편하여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면서 마립간 대신 왕이란 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첫댓글 신라 부자상속은 눌지마립간부터니까 5번이 맞는듯..
해설로 봐도 순서는 맞네요. 해설에 아래에서 둘째줄부터 마립간으로 바꾸었다 -> 왕위 부자상속,6부개편 -> 마립간대신 왕칭호 이것만 봐도 5번 지문은 ㅁ 이전이 되겠네요. 순서상으로... (이상 해설설명) // 그리고 왕위부자상속은 눌지마립간이고 6부개편은 소지마립간입니다. 또 왕칭호는 지증왕때부터 시작되니까 순서상 부자상속과 6부개편은 ㄹ 에 들어가야겠지요.